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육아
개미는 도대체 어떻게 멀리서도 방향을 잡고 음식을 찾아서 다른 동료들을 불러오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개미는 페로몬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합니다.개미 몸속에서 여러가지 물질들을 조합해 페로몬을 만들어 뿜는데, 휘발성이 너무 강해 멀리있는 동료들에게도 전달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의사소통을 한답니다.페로몬을 땅에 바르거나, 공기중으로 휘발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먹이의 발견, 동료를 부를때, 위험발견 등 상황에 따라 여러물질들을 조합하여 페로몬을 생성/ 뿜어냅니다.따라서 개미는 음식을 발견하면, 혼자 가져가거나 동료들에게 페로몬으로 의사소통하여 협력하여 음식을 가져갑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13
0
0
멀미할 때 먹는 멀미약은 어떤 원리인기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멀미약은 일반적으로 멀미를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멀미약의 원리는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식이 있습니다.1) 항히스타민제항히스타민제는 뇌 내의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히스타민은 뇌 내에서 전정기관과 시각 정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데, 항히스타민제가 이를 차단하여 뇌 내의 상반된 정보를 일치시켜주어 멀미 증상을 완화시킵니다.2)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는 혈관 수축을 일으키는 호르몬 안지오텐신을 차단하여 혈관의 수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이로 인해 혈액의 순환량이 늘어나고, 전신의 혈액 순환 상태가 개선되어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3) 항코리네르제항코리네르제는 전정기관에서 분비되는 세포 외 매트릭스인 코리네르를 차단하여 전정기관의 자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이로 인해 뇌 내에 전달되는 정보가 상반되는 것을 방지하여 멀미 증상을 완화시킵니다.4) 세포막안정제세포막안정제는 전정기관 내부에서 이온의 교환과 세포막의 안정을 유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이로 인해 전정기관의 자극이 완화되어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이처럼 각각의 멀미약은 다양한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집니다.하지만, 약물은 개인마다 효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정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10.13
0
0
지구에 있는 빙하가 다 녹는다면 어떤 일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빙하는 지구에서 가장 많은 민물을 저장하고 있습니다.바다 다음으로 가장 많이 물을 저장하고 있으며, 지구 육지의 약 10% 수준의 면적을 가집니다.이 빙하는 대부분 남극대륙과 그린란드에 빙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빙하가 저장하고 있는 물은 전체 민물의 7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이러한 빙하가 모두 녹는다면, 해수면이 약 60m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참고로 영국 리즈대학교 앤드류 셰퍼드 교수는 "해수면이 1cm 높아질 때 마다 600만명이 터전을 잃는다"라고 말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2
0
0
사진이 찍히는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필름카메라의 원리에 대해 답변드립니다.가장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피사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내부에 거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YTN)렌즈를 통해 들어온 상은 이 거울을 통해 뷰 파인더로 전달되고 이를 육안으로 볼수있는 구조입니다.이때 카메라 셔터를 누르면 순간적으로 거울이 움직이게되고 렌즈로 들어온 상이 필름안에 화상을 남기게 되어 사진이 되는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 YTN)이렇게 하나의 렌즈를 가지고 있으며 거울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의 카메라를 SLR(Single Lens Reflex)라고 합니다.현대에는 Digital이 적용된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이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10.12
0
0
우주의 팽창화는 어떻게 증명 된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팽창화에 대한 일반적인 역사 먼저 전해드립니다.태초에 아무것도 없던 시절, 은하도 별도 원자도 없고 시간과 공간마저도 태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처음 시간과 공간이 탄생하는 시점을 "대폭발" 또는 "빅뱅"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현대 우주론의 출발점은 1917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정적우주론이었으며, 아인슈타인은 "우주는 팽창하지 않으며 수축하지도 않는다"고 주장했었습니다.그러나 1916년 러시아 수학자 프리드만과 벨기에 르메트르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그들의 생각은 우주가 팽창해야한다는 것이었으며 각각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나 아인슈타인은 이를 무시하였습니다.1929년 아인슈타인에게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합니다.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이 은하들이 후퇴하고 있음을 관측해내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발표한 것입니다.결국 아인슈타인은 1931년 자신의 논문을 철회했습니다.상기 말씀드린 것과 같이 우주 팽창화의 가장 첫번째 근거는 "허블-르메트르 법칙" 입니다.이 법칙에서는 "적색편이"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적색편이(Red shift)는 물체가 멀어질수록 파장이 늘어지기 때문에 물체의 스펙트럼이 붉은 빛으로 치우친다는 의미이며, 빛을 내는 천체가 우리와 멀어진다면 빛의 파장이 길어져 붉은 빛을 띈다는 것입니다.이와 반대로 청색편이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1
0
0
구름 모양은 어떤 것에 영향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크게 적운형, 층운형이 있으며, 모양이 다른 이유는 공기의 상승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1) 적운형 구름위로 높이 솟는 모양의 구름이며, 상승기류가 강할때 생성됩니다.좁은 지역에 소나기를 일으킬수 있습니다.적운, 고적운, 적란운 등이 있습니다.2) 층운형 구름옆으로 퍼지는 모양의 구름이며, 상승기류가 약할때 생성됩니다.넓은 지역에 지속적인 비를 일으킬수 있습니다.층운, 고층운, 난층운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진운의 경우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발생된다고 주장되고있으나, 학계에서는 근거부족으로 학설로 인정되지 않고 있습니다.현재로서는 유사과학으로 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1
0
0
하늘에 구름은 어떠한 과학적 원리로 각양각색으로 생기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크게 적운형, 층운형이 있으며, 모양이 다른 이유는 공기의 상승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1) 적운형 구름위로 높이 솟는 모양의 구름이며, 상승기류가 강할때 생성됩니다.좁은 지역에 소나기를 일으킬수 있습니다.적운, 고적운, 적란운 등이 있습니다.2) 층운형 구름옆으로 퍼지는 모양의 구름이며, 상승기류가 약할때 생성됩니다.넓은 지역에 지속적인 비를 일으킬수 있습니다.층운, 고층운, 난층운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1
0
0
방 중간에 있으면 모기에게 덜 물리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는 날개로 날아다니기도 하지만하루의 대부분은 벽이나 천장에 앉아있습니다.사람의 피를 빨 때도 벽이나 천장을 많이 활용하며특히 모기쫓는 행위를 통해 생명의 위기를 느낀 모기는 벽 또는 천장으로 도망가는 경우가 많습니다.그 후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서, 모기는 해당위치(벽 또는 천장)을 기준으로 다시 사람을 찾을 것이며 그 타겟은방한가운데 있는 사람보단 벽 쪽에 위치한 사람이 될 확률이 높을 것입니다.과학 유튜브에서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방 한가운데를 추천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10
0
0
어제 저녁쯤에 핑크색 구름을 봤는데 왜 이런 색깔이 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에는 대기(공기)가 있습니다.햇빛은 공기에 의해 산란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빛이 산란이 잘 되어 우리눈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구름이 핑크색 인 이유도 이와 유사합니다.밤이 되어가며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워지면서 햇빛의 총량이 줄어들게 되고, 줄어든 햇빛 중 파란빝 대부분은 짧은 파장으로 인해 우리 눈 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사라지게 됩니다.반면, 긴 파장인 붉은빛은 우리눈까지 도달할수 있기 때문에핑크색 또는 보라색 구름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0
0
0
인간의 뇌는 10%만을 사용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이 사실일까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인 영화나 드라마에서 인간의 뇌가 10%만 사용되고 있었으나 약물 등으로 인해 100% 뇌 활성시 초능력을 사용할수 있게되는 스토리가 많이 있습니다.그만큼 대다수의 사람들도 인간의 뇌가 10%만 사용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뇌신경 학자들에 따르면 이는 거짓된 정보라 합니다.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신경과학자 배리 고든 교수는 이런 속설이 틀린이유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습니다.1) 뇌의 10%만 사용하고있는게 사실이라면, 나머지 90%가 손상되어도 뇌의 성능에는 문제가 없어야한다.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아주 일부만 손상을 받아도 제기능을 수행하기 어렵습니다.2) 뇌의 10%만 사용하는게 사실이라면, 전극다발을 뇌에 삽입하여 뇌 신경세포의 활동을 관찰할 경우 10번 중 9번은 아무활동이 없는 신경세포가 측정되어야하나 그렇지 않습니다.3) 뇌스캔 이미지를 통해 뇌의 활동을 확인을 해도 자주활동하는 부분이 있을지언정, 아무런 활동을 보이지 않는 부분은 없습니다.추가로 질문하신 뇌 부위별 특징, 역할을 소개드립니다.1) 대뇌감각정보 분석, 운동, 언어, 기억 등 고등정신 기능 뿐만 아니라생명유지에 필요한 각성, 자율신경계 및 호르몬 조절 등의 기능 수행합니다.- 전두엽 : 대뇌의 총사령관으로 인지와 정서기능에 관여(판단력, 창의성, 사고력, 계획성 등)- 두정엽 : 신체를 움직이는 기능에 관여하고 계산, 연산능력에 관여(입체, 공간감각, 계산, 연산능력 등)- 측두엽 : 기억력, 학습능력에 관여(장기기억, 이해력, 치매와 연관)- 후두엽 : 시각정보 파악에 관여(안면인식, 운동물체 파악 등)2) 사이뇌(간뇌)시상상부는 변연계와 뇌의 다른 부분을 연결하며 감정조절 수행하고시상은 후각을 제외한 모든감각을 대뇌피질로 전달합니다.시상하부는 자율신경 중추로서 수분대사, 식욕, 수면, 체온조절 등을 수행하고시상밑부는 기저 신경절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3) 소뇌몸의 균형 유지 및 운동기능 조절을 수행합니다.4) 중간뇌시각신경과 청각신경이 있으며 눈의 운동, 눈동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등 수행합니다.5) 다리뇌소뇌와 대뇌 사이의 정보전달읓 중계하며숨뇌와 같이 호흡조절을 수행합니다.6) 숨뇌호흡과 심장박동 순환을 조절하며 침분비, 재채기, 하품 등 무의식적인 활동을 일으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10
0
0
55
56
57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