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새끼 손가락 아래 손목에서 뚝뚝 소리-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설명해주신 내용으로 보면, 손목 바깥쪽(새끼손가락 쪽)의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 가 다쳤던 이후에 완전히 안정화되지 못한 상태로 보입니다. 뚝뚝 소리는 TFCC 손상 후 요골과 척골 사이 관절이 약간 불안정해지면서 나는 마찰음일 가능성이 크고, 튀어나온 느낌은 원위요척관절(DRUJ) 이 살짝 틀어진 상태일 수 있어요.완전 파열이 아니라면 근육 강화, 보호대 착용, 부하 조절로 충분히 호전이 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5시간 전
5.0
1명 평가
1
0
정말 감사해요
300
엑스레이로 척추 찍으면요. 어디까지 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엑스레이로도 어느 정도 척추의 회전 여부를 추정할 수는 있습니다. 정면 엑스레이에서 갈비뼈나 척추 가시돌기(척추 가운데 돌출된 뼈) 가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거나, 늑골 그림자가 비대칭하게 나타나면 척추가 회전하며 틀어진 상태로 판단할 수 있어요.
의료상담 /
정형외과
1일 전
0
0
ct를 찍으면 어떤것들을 더 볼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CT(컴퓨터단층촬영) 은 엑스레이보다 훨씬 세밀하게 뼈 구조와 내부 금속 주변 상태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어요. 엑스레이는 단면 한 장으로 겹쳐진 그림을 보는 느낌이라, 금속(철심) 뒤쪽이나 내부 구조는 잘 안 보입니다.반면 CT는 단층(슬라이스) 으로 잘라서 3D처럼 재구성하기 때문에,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1일 전
0
0
거북목 개선을 위해 어떤 운동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거북목은 앞으로 빠진 머리를 다시 척추 위로 세우는 근육 밸런스 회복이 핵심이에요. 즉, 목 앞쪽(심부 굴곡근)을 강화하고, 가슴 근육(대흉근, 소흉근)을 이완해주는 게 중요합니다.턱 당기기 운동, 가슴 스트레칭, 흉추 신전 스트레칭 등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1일 전
0
0
허리통증에 등쪽 운동을 많이 하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를 자주 삐끗하는 사람은 사실 허리 자체보다 등과 엉덩이 근육이 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기립근, 다열근, 둔근 등과 같은 근육이요) 이 근육들이 약하면 척추를 안정적으로 지탱하지 못해서, 허리 근육이 혼자 과도하게 일하다가 쉽게 삐끗하게 됩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1일 전
0
0
자고 일어나면 고개를 숙이는게 힘들어요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지금 증상으로 보면, 목 디스크보단 경추 주변 근육 긴장으로 인한 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고 일어났을 때 특히 숙일 때 뻣뻣하다면, 자면서 목이 과하게 젖혀진 자세로 고정됐을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1일 전
5.0
1명 평가
0
0
허리에 좋은 스트레칭이나 운동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 세워 누워서 골반을 살짝 들었다 내리는 브릿지 운동, 무릎을 가슴 쪽으로 당기는 허리 스트레칭, 고양이 - 소 자세 3가지를 추천드립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1일 전
0
0
계단타는 운동할때 무릎에 물찬다면 어떤 운동을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 상황은 퇴행성 관절염이나 연골염증으로 무릎 내에 염증성 삼출액이 자주 생기는 상태인 것 같은데요. 이때는 무릎에 하중이 많이 실리는 계단 오르기 보단 평기 걷기나 실내 자전거 같은 저충격 운동으로 대체해 주시면 좋습니다. 또한 다리 전체 근육 강화 운동도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1일 전
5.0
1명 평가
1
0
지식 레벨업
100
엑스레이 방사선량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 CT3회, 일반 엑스레이 100회, 총 약 50mSv 정도의 피폭량이라면 건강에 영향을 줄 수준은 아닙니다. 앞으로는 불필요한 검사만 줄이면 충분히 안전하니, 너무 불안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1일 전
0
0
무릎을 구부리면 뚝뚝 소리가 나더라구요?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통증이 없고, 북거나 잠기는 느낌이 없다면 연골 손상보단 근육 불균형이나 슬개골의 정렬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소리가 계속 나더라도 통증·붓기·걸림이 없다면 큰 문제는 아니지만, 혹시라도 무릎이 딱 하고 아프거나 부으면 병원에 가셔서 꼭 진료를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1일 전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