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검은색물설사하는거같은데..걱정되서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설사가 검은색에 가까운 녹색이어서 걱정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결론: 현재로써는 경과를 관찰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흑색변의 경우 위장관출혈, 그러니까 상부위장관에서 출혈이 있는 경우에 해당이 됩니다.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환자분이 말씀하신 궤양이나 암 같은 것도 포함이 되기는 합니다.일단 흑색변의 경우 그야말로 새까맣습니다. 마치 석탄같지요..환자분은 검은 녹색이라고 하였으니 어두운 색깔의 대변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어두운 색인지 검은 색인지 잘 모르겠어서 불안하신 것이면 현재 불편한 증상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세요흑색변이라면 위장관 출혈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빈혈로 인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어지럽고 몸에 기운이 없고 심장이 두근거리고 뭐 그런 증상이 있지요. 환자분한테는 조금 애매할 수도 있겠네요 지금 설사를 계속하고 있으니 이로 인하여 증상이 헷갈릴 수도 있을 것 같네요결국 증상이 있거나 검은색인지 잘 알 수 없는 색의 변이 지속이 된다면 네 그 때는 할 수 없습니다. 병원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응급실 진료가 가능하다면 그렇게 하셔야 하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21
1
0
정말 감사해요
100
대변을 보는데 피가 나왔습니다 문제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혈변을 보셔서 걱정이 되시는 것이군요결론은 검사를 해보셔야 합니다. 혈변의 원인중 대부분이 항문출혈입니다. 이는 눈으로 확인하기 전까지는 환자분 본인을 알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20대 젊은 남성이 대장에 병변이 있을 가능성은 정말 적습니다.따라서 빈도상 환자분이 대장내 병변, 특히 악성병변이 있을 가능성은 정말 적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되 됩니다.Predictive values of colorectal cancer alarm symptom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British Journal of Cancer (2019) 120:595–600)단지 언제나 말씀을 드시는 것인데 혈변의 경우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증상이기 때문에항상 확인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일단 항문외과 진료를 보셔서 항문질환 여부를 확인을 하시고 크게 이상소견이 없다면대장내시경을 하셔서 대장내악성병변을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만약 항문에서출혈이 있다고 한다면 이를 너무 가볍게 여기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항문출혈이 생각보다 양도 많고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으니까요
의료상담 /
내과
25.11.21
0
0
산부인과 복부초음파 질문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복부초음파로 난소 자궁이 잘 보이는지 궁금하셨군요결론은 비교적 잘 보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가스로 인하여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방광을 소변으로 가득채우면 (그러니까 소변을 가능한 참으면) 초음파 화면이 더 잘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이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잘 보입니다. 영상이 잘 보이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검사가 금방 끝납니다. 어차피 눈으로 모양을 확인하는거 잘 보이기만 하면 힐끗 보기만 하면 끝납니다. 하지만 잘 보이지 않는다면 이리로 누르고 보고 저리오 누르고 보고 여러가지 조치를 취하게 되지요복부초음파와 질초음파를 비교를 한다면 골반내장기를 관찰하기에 질초음파가 더 잘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이는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만약 복부초음파고 골반내장기가 손쉽게 잘 보이는 분이라면굳이 질초음파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초음파를 위치를 이동해야 더 잘보이고 제자리에서 검사를 하면 잘 보이고 그런 것은 아닙니다. tilting이라고 해서 초음파 probe를 기울이면서 얼마든지 양질의 영샹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환자분이 초음파를 검사하시는 분께 확인을 하셨다고 하면 더욱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초음파 검사하시는 분이 보이지도 않은 것을 잘 보였다고 말하지는 않을테니까요환자분이 검사결과 특별한 문제가 없는 분이시고 복부초음파로 골반내장기가 잘 보인다면 숙련된 의사가 검사를 할 때 금방 끝날 것입니다. 아마도 환자분을 검사를 한 대학병원 의사분이 경험이 충분하지 않아서 시간이 오래 걸린 것일 수도 있습니다. 대학은 병원이기도 하지만 교육기관이기도 하니까요.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의료상담 /
산부인과
25.11.21
5.0
1명 평가
1
0
정말 감사해요
100
첫 혈압이 높고 그 뒤로 낮아집니다 ㅠㅜ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혈압이 높게 나와서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계시는 군요결론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상태에서 혈압을 측정하세요가장 좋은 것은 하루 2회 측정하는 것입니다. 기상후 1시간 이내 식사전 용변 후 그리고 자기전에 측정하시면 됩니다.술 담배 커피 하시고 측정하면 안 되구요앉아서 10분이상 휴식을 취한 다음에 손을 심장높이로 해서 측정하면 됩니다.커프는 손가락 하나 정도 들어가게끔 묶으시면 되구요간격은 1-2분 정도 간격을 두고 측정하시면 됩니다.수축기 120mmHg 이완기 80mmHg를 넘지 않아야 정상이며 수축기 140mmHg 혹은 이완기 90mmHg를 넘게 되면 고혈압으로 분류가 됩니다. 특이 수축기 180mmHg 이완기 120mmHg을 넘게 되는 경우 악성고혈압으로 분류가 됩니다. 만약 첫번째 측정한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게 나온다면 이 혈압을 제외하고 나머지 혈압으로 평균을 내시면 됩니다. 환자분의 경우 첫번째 혈압을 제외한 나머지 혈압으로 확인을 하시면 되겠네요 그리고 수축기 혈압보다는 이완기혈압이 더 중요하니 이 역시 꼭 확인해주세요
의료상담 /
내과
25.11.21
0
0
혈당을 집에서 측정하게 되면 식사 이후 몇 시간 뒤에 재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혈당기기를 사셔서 꾸준히 측정을 하시려고 하는군요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공복혈당, 식후혈당 2가지가 있습니다.환자분은 현재 기저질환이 없으시고 드시는 약물도 없으신 것이네요혈당의 경우 아무때나 측정을 해도 되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비교를 하고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공복혈당 식후혈당 이렇게 2가지를 측정하시면 도비니다.공복혈당의 경우는 식사를 끝내고 나서 8시간뒤입니다. 몇몇 분들이 잘못 아시는 것은 8시간 이상 지난 다음에 측정하면 된다라고 알고 계시는데 그렇지는 않구요식사를 끝내고 나서 8시간, 그러니까 8시간 정도 지난뒤 측정을 하시면 됩니다. 이게 공복혈당입니다.반면 식후 혈당의 경우는 식사를 시작하고 나서 2시간뒤 측정하시면 됩니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식후혈당입니다. 공복혈당은 100mg/dL 보다 낮으면 정상이고 식후혈당은 140mg/dL보다 낮으면 정상입니다공복혈당은 126mg/dL 도다 높으면 당뇨이며 식후혈당은 200mg/dL보다 높으면 당뇨입니다. 추가적으로 혈액검사로 당화혈색소를 확인하시면 전반적인 혈당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21
0
0
이거 정신과 의사가 하기에 적절한 말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정신과의사분이 "어떻게 그걸 모를 수가 있죠?" 이렇게 말씀하셨다는 말이네요의사로서 하기에는 적절한 말이라고 할 수는 없겠네요단지 뭘 잘 못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조치를 취하는 것은 어렵겠네요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5.11.21
0
0
병원에 원래 복용하던 약 들고가면 무슨 약인지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아니요 가능하지 않습니다. 약 모양만 보고 알기는 어렵습니다.처방전을 찾아서 가주세요아니면 처방병원에 전화해서 약 이름을 알아서 가시면 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21
0
0
미주신경성 실신 진단은 어떻게 내려지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이전부터 피를 보면 "속이 울렁거리고 눈앞이 핑핑 돌다가 한 30초에서 1분정도 쓰려졌다가 깨곤 했다"란 말씀이시네요. 미주신경성 실신이 맞는지 궁금하셨군요결론을 말씀드리면 미주신경성 실신의 증상이 맞습니다.일반적으로 미주신경성 실신은 보통 병력과 증상으로 진단을 합니다. 물론 미주신경성 실신의 진단으로 가끔 기립경검사를 하기는 하지만 증상 자체가 상당히 특징적이고 기립경검사가가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문진만으로 진단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치료도 특별한 치료보다는 위험요일을 피하는 것이 주된 치료입니다. 환자분의 경우는 피를 피하는 것이 되겠군요단지 병원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다른 원인을 배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심장병등..)진료는 심장내과를 방문하시면 됩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5.11.21
0
0
뜨거운 국물을 먹고 피가 날 경우 어떻게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뜨거운 국물을 마시고 놀랄 정도의 느낌이 있었고 뭔가 걸쭉한 피가 났다는 말씀이네요결론만 말씀드리면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뜨거운 것은 먹거나 마신 다음 식도가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식문화 때문에 생각보다 흔합니다. 저도 몇 몇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뜨거운 물 뜨꺼운 국물 등도 있으며 뜨거운 감자 뜨거운 토마토등도 있었네요헬스조선에 나온 자료를 캡처했습니다.식도화상의 경우 식도 협착, 출혈, 천공, 종격동염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경우 식도암에 이르기도 할 수 있습니다.Hot Tea Consumption and Esophageal Cancer Risk: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Front. Nutr. 9:831567.)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EC risk was observed when drinking tea at higher temperature (odds ratios (ORs) = 1.79, 95% CI: 1.48–2.15, p =0.00).일부 메타분석 자료에 따르면 반복적으로 뜨거운 차를 섭취하는 경우 식도암의 위험이 79% 상승한다고 보고하였습니다.따라서 현재 일단은 금식을 해주세요 그리고 병원 진료를 받아주세요 내과 그것도 소화기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담당선생님한테 환자분이 경험한 일은 먼저 자세하게 이야기를 해주시구요
의료상담 /
내과
25.11.20
0
0
20대 후반 위, 대장내시경 질문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환자분은 여러모로 증상이 있고 걱정이 되시는 것이지요? 그래서 내시경을 받을까 걱정을 하시는 것이구요사실 환자분과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결론은 무슨 검사를 받으실지 고민하지 마세요. 병원 진료를 받으세요.우리나라의 경우 건강검진이 발달해 있어서 그런지 많은 분들이 환자분과 같은 고민을 합니다. 인터넷이 발달해 있는 것도 이유가 되겠지요소화가 안 된느데 내시경을 해봐야 할까요?머리가 쭈삣쭈삣 서는 느낌이 드는데 MRI를 찍어봐야 할까요? 등등검사라는 것은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 가지고는 아무런 결론을 내릴 수 없습니다. 중요한 결론은 진료를 통해서 확인을 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 검사입니다. 그 중 내시경은 기계가 몸 안으로 들어오고 화면으로 내장이 보이지 상당히 "검사스럽고" 왠지 "그럴 듯해" 보입니다. MRI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비용이 들기 때문에 뭔가 이걸 찍으면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 같은 판타지가 있지요.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단순한 검사일 뿐입니다. 단지 다른 검사에 비하여 손이 더 가고 비용이 더 나가는 검사일 뿐이지요. 과거에는 이런 검사를 하지 않아도 충분히 진단하고 치료 했습니다. 환자분이 위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해서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면 좋겠지만 경험상 많은 경우병 원: 검사상 특이사항이 없습니다 환자분:아니 그런데 저는 여기에 이상한게 만져지고 변도 이상하고 피도 나는데요?병 원:글쎄요....원인은 뭐라 단언할 수는 없지만 검사결과에는 이상이 보이지 않아요. 내과 진료를 받아보세요이런 식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따라서 무슨 검사를 할지는 잊어버리시고 내과 진료를 받아보세요 환자분의 경우 소화기내과가 되겠군요그리고 담당선생님이 내시경을 해보자 하시면 그 때 해보시면 됩니다. 환자분 자신이 무슨 검사를 할지 고민하실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20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