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음악장르에서 포크와 컨트리는 같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포크와 컨트리의 뿌리는 완전히 하나입니다. 이 두 음악은 모두 유럽 민요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초기 이민자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며 부른 노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06
0
0
잘못된 원인에서는 잘못된 결과가 나온다는 내용의 명언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라시안- 위대한 결과는 위대한 출발에서 나온다.앤드류 매튜스 - 좋은 결과를 얻고 싶다면 몸으로 연습하는 것과 꼭 같이 마음속으로도 연습할 필요가 있다.
학문 /
역사
23.07.06
0
0
동양은 무술이 다양하게 있는 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전통 무술로는 태껸 , 수박 이 있습니다.수박은 한국의 맨손 격투기의 원형으로 고대부터 한반도에서 전래된 맨손 격투기의 명칭으로 봅니다.
학문 /
미술
23.07.06
0
0
뉴에이지 음악은 언제,어디에서부터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뉴에이지 라는 단어가 음악으로 쓰인것은 미국 음악시장이 원조 입니다.고전 음악, 전자 음악 , 포크, 재즈 등 다양한 장르에서 영향을 받아 1960년대 후반에 탄생했으며, 미국 플루트 연주자 폴 호른의 1968년 앨범 인사이드가 초기 뉴에이지 음반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학문 /
음악
23.07.06
0
0
삼복더위에 양양가음식 챙겨먹는 거는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진 덕공 2년 처음으로 복날을 만들어 개를 잡아 열독을 다스렸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6
0
0
덕수궁 석조전은 왜 그리스양식으로 설계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석조전이 그리스 신전의 건축 양식에 기초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것은 서구의 근대 국가를 모델로 한 새로운 국가 체제인 대한제국의 정전으로 석조전을 건축했기 때문입니다.대한제국 재정고문이던 영국인 총세무사 존 맥리비 브라운이 건립을 발의 했습니다.설계는 영국인 건축기사 존 레지날드 하딩이 맡았습니다.
학문 /
미술
23.07.06
0
0
의적 홍길동은 실존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실존한 유명한 전국구 도적 홍길동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 연산군 편에 기록되어있습니다. 정승과 판서를 지낸 소설판 홍길동만큼은 아니지만 이 홍길동도 아버지 홍상직이 무관직을 지낸 적이 있는 양반 집안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6
0
0
초복 중복 말복은 어디에서 유래한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복의 유래는 고대 중국 진, 한나라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조선 후기 간행된 동국세시기를 보면 사기에 이르기를 진덕공 2년에 처음으로 삼복제사를 지냈는데 성 사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를 방지하였다. 라는 기록이 있습니다.단순히 기운을 보양하기 위함이 아니라 해충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행위의 일환으로 개를 잡았고 삼복일을 그 날로 잡아 액운을 막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6
0
0
혹시 스미싱이라는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미싱은 SMS(문자메시지)와 피싱(Phising)의 합성어 입니다.1900년대부터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6
0
0
아내를 말하는 마누라는 어떻게 생긴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재난고의 저자이자 조선 후기 학자 황윤석은 마노라를 쓴 뒤 '이는 옛말의 마립간이다'라는 주석을 덧붙이고 사도세자를 이르면서 '사도마립간'이라 쓴 뒤 주석으로 마립간이 마노라를 뜻하는 표현임을 덧붙였습니다. 조선시대 학자 황윤석은 마노라 를 옛말의 마림간과 같은 뜻으로 보았습니다.또 사대부들은 한국어와 합성된 한자어 표기 말루하를 어원으로 보았고,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경칭들은 폐하, 전하, 저하 등 건축물 아래에서 예를 갖춘다는 의미로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마노라 역시 마루 아래에서 예를 갖춘다는 의미의 존칭이 됩니다.
학문 /
역사
23.07.06
0
0
1000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