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술의 역사는 언제 어디에서 시작이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5000년 전부터 메소포타미아, 이집트에서 포도주를 빚었고, 당분이 많은 과일이면 과실주를 담글수 있는데 특히 포도는 당이 많아 과실주를 담그기 좋은 과일이었으며, 농경시대 들어와 곡류를 생산하면서 곡식으로 빚은 양조주가 생겼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보성이 녹차가 유명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 기록상으로 삼국시대 후반부터 중국에서 수입해 상류층에서 소비하다 828년 신라 흥덕왕 시대에 당나라로부터 씨앗을 선물받아 지리산 일대에 차나무를 심은것으로 확인되며 이에 보성군이나 광주광역시 등 지리산 일대에 야생으로 자라는 차 나무가 많습니다.보성은 산과 바다, 호수까지 있으며 해양성 기후와 대륙성 기후가 만나는 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까다로운 차의 성향을 만족시키기 좋은 재배지 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한글 창제 이후 조선시기 내내 한글은 어떠한 대우를 받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선비들은 한글을 무시하고 홀대했으며 연산군은 한글 사용을 탄압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이슬람 건축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초기 이슬람 건축은 고대 로마의 전통과 비잔틴 제국, 사산왕조페르시아의 건축적 요소에 지역적 특색을 결부한 형태로 이후 공동적인 이슬람적 요소는 있으나 지역별로 다양한 형식의 건축물이 지어졌습니다.비잔틴 건축은 그리스도교 교회 건축을 중심으로 발전하며, 둥근 돔 지붕을 첸던티브 돔이라 부르며 돔을 지지하기 위해 아치와 돔 사이에 생기는 삼각 구조인 펜던티브, ,스퀸치를 도입해 만들어졌습니다.본래 중앙에만 돔을 두었으나 점차 그 주변에 작은 돔을 더한 형태도 등장했으며 9세기 이후 보다 작은 규모, 중간 규모의 교회가 건설되며 네 방향의 길이가 같은 그리스 십자식 성당의 형태를 취했습니다.
학문 /
미술
23.06.30
0
0
온건개화파는 신분제도를 유지하자고 주장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온건개화파는 신분제도의 철폐를 주장했으나, 급진개화파와는 달리 점진적으로 진행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역사적으로 의사들의 복장은 왜 하얀색인걸까요? 어떤 역사적 유래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사들이 흰 가운을 입은 것은 100여년 전으로, 처음 입은 사람은 당시 몬트리올 종합병원의 외과 의사 겸 캐나다 의사협회 회장이었던 조지 암스트롱입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더운 여름에 삼계탕을 먹는 문화는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시작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계탕의 원형으로 보는 닭백숙은 조선시대에도 있었고, 복날에 먹는 삼계탕 문화는 1960년대 이후 정착되었습니다.일제강점기 부자집에서 닭백숙이나 닭국에 백삼 가루를 넣어 만들면서 시작되었고, 인삼이 귀하던 시절 부자들이나 맛볼수 있는 약선음식으로 여겨졌으며 1924년 일제강점기때 일본 중추원에서 조사한 조선인의 생활 풍속을 보면 조선의 부잣집에서 여름철 암탉의 배에 인삼을 넣어 우려낸 국물로 약을 하는 사례가 많았다고 소개합니다.이것이 1940년대 후반부터 이를 식당에 파는 경우가 늘어났고 1950년대 전후로 계삼탕이라는 별개의 요리로 정착, 1960년대 이후 삼계탕에 수삼을 넣기 시작으로 보편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존 케이지의 '4분 33초'라는 곡은 왜 아무 소리도 연주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51년 존 케이지는 하버드 대학교의 방음 시설이 된 빈 방에 들어간 적이 있는데 아무 소리도 안 들릴거라 생각했던 방에서 아주 미세한 소리를 느꼈고, 이때 완벽한 무음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어 이 곡을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또 로버트 라우센버그 때문에 이 곡이 작곡되었다고 전해지는데, 존 케이지의 친구인 화가 라우센버그가 한 전시회에서 아무것도 그리지 않은 빈 캔버스를 전시한 적이 있는데 빈 캔버스는 빛의 방향이나 그 앞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그림자 등에 의해 변화되며 새로운 모습을 보여줬고, 이것을 보고 케이지도 들려주는 음악이 아닌 주변의 소리로 채워지는 음악을 생각했다고 합니다.4분 33초는 공연장에 따라 다른 음악이 만들어지는데 연주자가 아무것도 연주하지 않아도 공연장의 연주자와 관객이 만들어 내는 소리가 음악이 되기 때문에 관객은 기침, 속삭임, 연주를 안한다는 투덜거림, 등 모든 소리가 음악이 됩니다.
학문 /
음악
23.06.30
0
0
고려시대 음악인 아악, 향악, 당악은 어떻게 구별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악은 고려와 조선시대 궁중에서 연주되던 음악으로 아악의 어원은 논어의 오정성지란아악야에서 연유합니다.아정한 소리 즉 바른 소리를 가르키며, 1116년 고려 예종 11년 송나라 휘종때 대성아악을 수입했고 아악은 이때부터 우리나라에서 시작되었습니다.아악은 각종 제사와 국빈 만찬등에서 연주되었고 고려 예종때부터 시작하나 국가의 보존 의지가 약해지고 전쟁이 발발해 제대로 이어지지 못하다가 조선 세종때 박연이 아악을 대대적으로 정비해 대성아악을 넘어 그 뿌리가 되는 주나라의 아악에 가깝도록 질과 위상을 끌어올렸고 이후 다시 쇠락하여 현재는 문묘제례악 중 선전악, 팔일무만 연주되고 있습니다.당악은 중국에서 들어온 음악을 통칭하는 것으로 송나라 때 궁중음악 중 속악이 대표적이며, 향악과 대비한 개념입니다.고려시대 당악과 악기, 연주자들이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이래 조선 초까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었고, 세종 이후 당악은 그 위세가 꺾이면서 30곡 이상에 달하는 그 곡 수가 영조때 15곡이 전해지고 현재는 보허자, 낙양춘 딱 2곡만 남아있습니다. 이 마저도 한국 음악화했으며 처음 당악과 향악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궁중에서도 분리된 특정 위치에서 연주했고 당악은 서쪽, 향악은 동쪽에 자리 잡았습니다. 악기 편성도 당악기, 향악기로 구분되었으나 점차 혼합되는 향당교주 즉 당악기와 향악기의 협연, 합주되는 경향으로 바뀌게 됩니다. 당악은 성악곡으로 보허나는 6음계, 낙양춘은 7음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향악도 아악, 당악처럼 궁중에서 연주하던 음악으로 당나라 이전에 서역 등으로부터 수입된 외래 음악, 불교 음악을 포함하며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전래 음악입니다.궁중 의식 때 향악은 우방악이라고 하여 좌방악이라고 불렀던 당악과 자리를 구분해서 배치하기도 했습니다.아악은 송나라의 정악을 들여온 것이고 당악은 당나라를 포함해 송나라의 속악을 수입, 향악은 우리나라에서 작곡한 궁중음악입니다.
학문 /
음악
23.06.30
0
0
우리 나라 노래 중에 제목이 가장 긴 노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잔나비의 사랑하긴했었나요 스쳐가는 인연이었나요 짧지않은 우리 함께했던 시간들이 자꾸 내마음을 가둬두네 총 42자 입니다.
학문 /
음악
23.06.30
0
0
1027
1028
1029
1030
1031
1032
1033
1034
1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