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구운몽의 주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운몽의 주제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견해가 제시되고 있지만 인생무상을 주제로 불교 금강경의 공사상이 소설로 형상회 되었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그 밖에 유교와 불교, 도교의 3가지 사상이 화합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견해도 제시됩니다.
학문 /
역사
23.06.16
0
0
조선시대 선비 김득신은 공부방법으로 유명하던데, 어떤 공부법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득신은 책을 수없이 읽었습니다. 사마천의 사기열전 백이열전 부분을 1억 1만 3천번 읽은 것으로 유명하며 부인이 먼저 죽어 장례를 치르는데 곡은 하지 않고 백이열전을 읽었으며, 당시 1억이 지금의 10만을 나타내는 단위로 현대 기준으로 11만 3천번 읽었습니다.
학문 /
철학
23.06.16
0
0
임진왜란때 항왜라는게 있었다는데 항왜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항왜는 조선시대 투항하여 울산 지역에 정착한 일본인을 뜻합니다.투항한 이후 조선으로 귀화하거나 친조선적인 성향을 띠는 이들이 많아 항왜는 귀화왜, 양화왜로 해석되기도 합니다.임진왜란 시기 항왜인들이 크게 증가는데, 일은 고달픈데 배는 고프다, 수자리가 힘들다, 사역이 과중하고 장수가 포악하다는 등 일본군 내부의 문제로 탈영한 일본인들이 조선에 투항했으며, 강회 회담이 장기화되는 동안 조선 정부가 전쟁 초 일본군을 포로를 참수하던 정책을 바꾸어 조선군으로 편입시키거나 조선 내 노동력으로 활용하고자, 투항하는 일본인이 늘어났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6
0
0
청와대는 언제 지어졌는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들어와 1426년 경복궁을 창건하면서 궁궐 후문으로 삼아 이곳에 연무장, 융무당, 경농재 및 과거장이 마련, 왕의 친경지로 사용되었고 후 일제의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안에 청사를 신축하면서 1927년 오운각 외 모든 건물과 시설을 철거하고 총독관저를 지었으며 청와대 본관은 이때 건축한 것입니다.해방이 되면서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조선 총독 관저를 재활용하여 미군정 치하에서 미군정 사령관인 미합중국 육군 중장 존 하지 장군의 관저로 쓰다가,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하지 장군이 물러나며 이승만 전 대통령에게 관저를 주면서 쓰이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6.16
0
0
일본의 욱일기는 어떤 의미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욱일기는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일본의 군기로, 일본의 국기인 일장기의 붉은 태양 주위에 욱광이 퍼져나가는 모양을 덧붙여 형상화한 일본의 군기 입니다.욱일기는 2차 세계대전까지 일본의 육군과 해군에서 군기로 사용되었으며 문양은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합니다.
학문 /
역사
23.06.16
0
0
우리나라 역사상 인재중 하나인 성수대교 붕괴사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수대교 붕괴 사건은 공권력을 이용해 사익을 위해 추구하여 왔던 한국 사회 부정부패가 사건의 배경이며 건설사의 부실공사와 감리담당 공무원의 부실감사가 연결되어 만들어진 사건이며, 정부의 안전검사 미흡으로 일어난 사건입니다.이 사건으로 출근, 등교하고있던 시민 49명이 한강으로 추락, 그 가운데 32명이 사망했습니다.1977년 4월 착공하여 1979년 10월 준공된 성수대교가 1994년 10월 붕괴합니다. 이 붕괴사건으로 인해 건설분야에 만연되어 있던 부실공사와 부실감리, 안전 검사 미흡이 집중적으로 폭로되었고 사고 책임을 물어 그 당시 서울 시장이었던 이원종 시장이 사임, 이후 우명규 시장을 거쳐 최병렬 시장이 취임하면서 부실공사 대책이 적극 추진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6
0
0
갑오개혁의 한계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갑오개혁은 봉건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조선 사회 내부의 개혁적 요구를 반영하는 점에서 자율적 개혁의 성격을 가지지만, 일본의 영향력 아래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타율적 개혁의 성격도 가집니다.조선의 침략과 예속화를 꾀한 일본의 이해관계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이루어진 개혁이므로 군사 부분의 개혁이 미흡했으며 일본 등 외세에 의존한 일부 세력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국민들에게 폭넓은 지지도 받지 못했습니다.신분제를 철폐하는 등 근대적 제도개혁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으나 김홍집 등 중심인물들이 백성들에게 살해되거나 일본으로 망명하는 것으로 귀결됨으로 근대국가 수립이라는 원래의 목적은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6
0
0
인조가 올린 삼궤구고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궤구고두는 중국 청나라때 시행한 황제에 대한 경례법 입니다.삼배구고라고도 하며, 궤는 무릎을 꿇는 것이고 고는 머리를 땅에 닿게 한다는 것으로 무릎을 꿇고 양손을 땅에 댄 다음 머리가 땅에 닿을 때까지 숙이기를 3번, 이것을 한 단위로 3번 되풀이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6
0
0
인도사람들은 손으로 밥을먹는 역사적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에서는 오른손만을 이용해 식사를 해야 하는데, 왼손은 불경한 것이라 여기고 오른손은 청결한 것이라 믿습니다.또한 오른손의 각 손가락은 자연의 다섯요소를 의미하며 엄지는 공간, 검지는 공기, 중지는 불, 약지는 물, 소지는 대지를 뜻하여 성스러운 오른손으로 식사를 하는 것은 자연을 하나로 연결해 음식을 먹는 하나의 의식이 됩니다.또한 인도는 음식을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이는 삶과 음식이 밀접한 관련이 있고 동시에 오감을 자극시키고 종교적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으로 인도 사람들은 식기를 사용하면 시각, 청각, 후각, 미각으로 밖에 음식을 느낄수 없다고 생각해 촉각을 느끼게 하는 손의 사용을 선호합니다.
학문 /
역사
23.06.16
0
0
조선시대 소의 가치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425년 조선왕조실록 기록에 귀신에게 제사하고 손님을 대접하는데 쓰거나 먹기 위해 끊임없이 소를 잡는데 1년 동안 잡은 소가 수천마리에 이르렀다고 하며, 제사를 지낼때 외 명절에도 소를 잡아 잔치를 벌였습니다.이에 나라에서 소를 잡지 말라 우금령을 내려 소 도살을 금지하나 사람들의 소 탐식은 그치지 않았고, 조선 후기 영조 임금때 하루에 잡은 소가 1000여 마리로 늘어나고, 1775년 명절에 도축한 소만 해도 2만~3만 마리에 달했습니다.당시 소를 많이 길렀고 번식을 많이 하도록 노력한것으로 보아, 조선 왕조는 농업을 나라의 근본으로 삼던 나라였기 때문에 소는 대단히 중요했고 빈부를 가르고 국력을 재는 척도가 소였습니다.이러다보니 나라 허락 없이 소를 잡아먹는 사람을 반역죄로 몰아 벌을 주는 일도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6
0
0
1081
1082
1083
1084
1085
1086
1087
1088
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