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총독부가 동아일보 조선일보를 강제 폐간한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창간 당시부터 민족대변지라는 자각으로 출발하여 창간사에서 조선민족의 표현기관으로 자임하노라, 민주주의를 지지하노라, 문화주의를 제창하노라 라는 3개 주지를 밝히며 일제의 주요 탄압 대상이 됩니다.베 번에 걸친 무기정간 처분 가운데 첫번째는 일본 왕실의 상징인 3종신기를 비판해서, 두번째는 국제농민조합본부에서 보내온 3.1운동 6주년 기념축사를 번역해 게재해서, 세번째는 한민족의 항쟁을 고무한 미국 언론인의 서한을 실어서, 네번째는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우승한 손기정의 유니폼에서 일장기를 삭제한 사진을 개제해서 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2
0
0
화산 이씨는 베트남 왕족의 성씨라는데 고려에 정착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산 이씨는 11~13세기 대월 이가 황족의 후손으로 진씨가 제위를 찬탈하고 이가가 멸망할 때 멸족을 두려워한 황제 혜종의 숙부 이용상이 자신의 가족들을 데리고 고려로 망명, 귀화하면서 그를 시조로 삼았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2
0
0
잠자리[잠자리]와 잠자리[잠짜리]는 동음이의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곤충 잠자리와 잠자는 자리인 잠자리는 동형-이음으로 동음이의어에 해당합니다.동음이의어는 소리만 같을 뿐 낱말의 뜻은 서로 아무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학문 /
음악
23.05.22
0
0
중국 춘추전국시대를 춘추시대와 전국시대로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통은 진나라가 한나라, 위나라, 조나라의 3국으로 나누어진 때, 제나라에서 역성혁명이 일어난 때 , 월나라가 오나라를 멸한 때를 경계로 삼아 구분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2
0
0
색채의 마술사 "샤갈"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 출신의 프랑스 화가로 백러시아의 비데브스크에서 출생했으며 1910년 파리에 왔습니다.이 시대의 작품에는 고향의 풍물이 추억처럼 나타나며 나와 마을 등이 있고, 1914년 러시아에 돌아가 혁명 후 미술행적의 요직을 차지하나 1922년 재차 파리에 왔으며 제 2차 대전 중 도미, 1947년 프랑스로 돌아왔습니다.샤갈의 주제는 지상의 중력의 법칙을 벗어난 영원의 사랑이며 샤갈에 있어 인간이나 동물들, 그 중에서도 연인들은 자유롭게 하늘을 나는데 이 사랑의 신화를 지탱하는 것이 신선하고 강렬한 색채이며 이는 전후에 더 심해졌습니다.유채 외에 고골리의 죽은 영혼 등의 삽화, 예루살렘 하다가 병원 시나고그의 스테인드 글라스, 파리의 오페라 극장 천장화도 있으며 동판화가, 석판화가로서도 뛰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05.22
0
0
하프시코드는 피아노와 근본적으로 완전 다른 악기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피아노가 나오기 전 건반악기로, 생긴것 비슷하지만 발현악기 이기 때문에 소리가 완전 다릅니다.
학문 /
음악
23.05.22
0
0
바로크 시대때 유행했던 대위법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두 개 이상의 선율을 독립적으로 활용해 조화로운 음악을 만드는 작곡 기법입니다.조성의 범위가 확장되거나 조성성을 희미하게 만드는 시도가 시작된 20세기 이후로는 각 성부가 독립적으로 들리기만 한다면 사실상 제약이 없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며 바르톡, 힌데미트 등의 푸가 작품에서 볼수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5.22
0
0
직업공무원제도는 어떻게 생겨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수한 젊은 인재들을 공직에 유치하고 그들이 공직에 근무하는 것을 명예로 인식하고 정년 퇴임시까지 장기간에 걸쳐 성실하게 근무하도록 조직, 운영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한국은 중앙집권적 정치체제가 일찍부터 확립되었고 엄격한 신분중심사회였기 때문에 관료적 전통이 강하며, 관은 민 위에 군림하는 존재란 관념이 지배적이었으나 제헌헌법이 공무원을 주권을 가진 국민의 수임자로 규정함에 따라 적어도 법제적 의미에서는 공복으로서의 공무원이라는 관념이 생겼고, 이것이 제도로서 구체화된 것은 국가공무원법 제정 (1949년 , 법률 44호)이후입니다.국가 공무원법은 그 후 수차 개정되었고 이는 직업공무원제의 확립을 위한 노력으로 볼수있으며 현행 국가공무원법은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신분보장, 실적제에 입각한 충원, 중앙인사기관의 설치, 직위분류제의 도입, 적정의 보수체계확립, 공무원의 권익보장 등을 규정해 직업공무원의 정착을 지향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2
0
0
안중근의사의 의거가 일어난곳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중근은 1909년 10월 대동공보를 읽고 이토 히로부미가 러시아 대장성 대신 코코프체프와 협상을 벌이기 위해 하얼빈에 온다는 소식을 접했고 안중근은 동지 우덕순 및 통역 유동하와 10월 22일 하얼빈에 도착 후 지형을 정찰하고 하얼빈 역에서 이토히로부미를 기다립니다.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30분 안중근은 코코프체프의 안내를 받으며 도열한 의장대를 사열하던 이토 히로부미에게 권총을 발사해 명중시킵니다.
학문 /
역사
23.05.22
0
0
일본이 노골적으로 조선의 내정에 간섭하게 된 계기가 된 조약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강화도 조약은 고종 13년 운요호사건으로 인해 일본과 맺어진 불평등 조약으로 외국과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기도 합니다.당시 조선은 근대적인 국제관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결국 일본의 요구를 그대로 수용할수 밖에 없었고 강화도 조약은 조선을 자주국으로 인정하여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했지만 이는 조선에 대한 청의 종주권을 부인함으로써 일본의 조선 침략을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2
0
0
1180
1181
1182
1183
1184
1185
1186
1187
1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