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유의 여신상이 의미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유의 여신상은 미국독립전쟁 승리 100주년 기념으로 자국의 미국진출을 위해 미국의 독립을 지원했던 프랑스가 만들어 선물했으며, 자유의 여신상은 7개의 뿔로 된 왕관을 쓰고, 장대 대신 횃불과 책을 들고 있는데 7개의 뿔로 된 왕관은 미국이 이룬 자유와 평등이 7개 대륙으로 햇빛처럼 퍼지는 것을 나타내고, 왼손에 든 책에는 'JULY IV MDCCLXXVI' 가 적혀있는데 이는 로마 숫자로 1776년 7월4일, 즉 미국 독립기념일 이기 때문에 미국 독립선언서를 상징한다고 알려져있습니다.오른손에 든 횃불은 세계 만방에 이성의 빛을 밝히는 것을 상징합니다.또, 끊어진 쇠사슬을 밟고 서있는 것은 노예 상태에서의 해방을 묘사하기 위함으로 이러한 의미로 인해 자유의 여신상이 곧 미국의 상징이 됩니다.
학문 /
미술
23.02.09
0
0
헤이그 특사가 만족 평화 회의 입장을 실패한 이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헤이그 특사는 고종이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고자 네덜란드에서 열리는 만국평화회의에 보낸 특사입니다.우리나라는 을사늑약으로 이미 외교권이 일본에게 빼앗겨 일본의 방해로 들어가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요크타운 전투에서 프랑스와 에스파냐가 미국을 도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항해시대부터 시작된 식민지 개척과 쟁탈전은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영국함대가 격파하면서 영국 우위로 흘러갑니다. 후 네덜란드로부터 북미 대부분 해안지방을 빼앗은 영국은 스페인, 포르투갈이 장악한 남미쪽으로의 진출을 꽤하며 스페인과 적대를 늘렸으며 미국 독립전쟁 직전 프랑스와는 플라시 전투로 인도 패권을 두고 다툰바 있습니다.더군다나 미국독립전쟁 직전 7년전쟁으로 동맹의 역전이 일어나서 유럽 열강이 프로이센- 영국 연합 VS오스트리아,스페인-프랑스연합으로 재편된 상황이었습니다.영국이 잘못 되는 일이라면 합스부르크가 발벗고 나설 이유는 충분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석기 시대에는 어떻게 생활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석시 시대 사람들은 주로 동굴에서 살았습니다. 이시기엔 빙하기와 간빙기가 번갈아가며 계속되어 날씨가 추워지면 따뜻한 곳으로 이사를 가야했습니다.날씨가 바뀌면 그곳에 사는 동식물도 달라지기때문에 먹을거리를 찾기 위해서라도 움직여야 해서 동굴을 집으로 삼았습니다.짐승을 사냥해 불에 익혀 먹고, 커다란 나뭇잎이나 말린 짐승의 가죽이 옷감으로 쓰였고 나무 열매나, 식물, 식물의 뿌리를 캐서 먹기도 했습니다.이 시기 사람들은 뗀석기를 만들어 썼는데 돌을 깨거나 큰 돌에서 돌 조각을 떼어내 만든 도구 입니다.주먹도끼, 찍개, 긁개, 밀래, 슴베찌르개 등이 있습니다.신석기 시대에는 주로 강가나 바닷가에 움집을 짓고 살았는데 이는 날씨의 변화때문입니다.빙하기가 끝나며 날씨가 따뜻해져 당시 사람들은 강이나 바다에서 그물과 낚시로 물고기와 조개를 잡아먹는게 사냥하는 것보다 쉬웠기 때문에 강가에 정착하여 생활했습니다.이 시기 사람들은 조,수수 등의 농사를 지었고 개, 돼지, 소 등을 울타리에 가둬 기른 후 잡아먹기도 했습니다.음식을 담거나 저장할땐 흙으로 빚은 그릇 빗살무늬 토기를 사용했습니다.사람들의 옷차림은 짐승 가죽, 식물에서 얻은 실로 짠 옷감을 사용했고 돌을 원하는 모양이 될 때까지 갈아서 만든 도구인 간석기를 사용했으며 돌괭이, 돌보습, 갈판, 돌도끼, 돌화살촉, 돌그물추, 가락바퀴 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조선시대 한의학의 역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졌으며 이에 따라 삼국 시대의 의학에 관련된 기록을 많이 찾아볼수 있습니다. 신라군이 백제 ,고구려, 당나라와 싸울때 병참 보급품으로 우황, 인삼 등 약재를 갖고 다니거나 머리카락 , 자석 등 응급처치 도구로 사용할수 있는 물자를 운용하기도 했고, 나당전쟁이 끝난 후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사 최초의 국립의과대학인 의학을 효소왕 재위기인 692년 설립해 의료인을 배출하는 산실을 일구었습니다.신라의 의학에서 본초경, 갑을경, 소문경, 침경, 맥경, 명당경, 난경을 기초 교재로 삼고 2명의 박사를 두어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일본의 옛 역사 기록에 백제신집방, 신라법사방 등 신라나 백제의 처방이 기록되거나 의사의 행적이 기록된 것을 찾을 수 있는데 이를 보면 당시 의술은 불교 및 도교의 영향을 받아 주술적인 행위와 혼합되어 시행되었으며, 일본에서의 의학을 집대성할 때 바다 건너 한국의 처방을 일부 소개할 정도로 한국 의학의 인지도가 있었음을 알게해줍니다.고려시대에도 의학의 교류는 활발하였고 의서, 약재의 수출과 수입이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이 시대에 작성된 향약구급방은 현재까지 존재하는 의서 중 가장 오래된 책입니다.조선시대에 한국의 한의학은 거대한 발전을 이루며 세종대에는 당시 국내에 존재하던 처방을 모두 모은 향약집성방이 완성되었고, 당시 의학의 백과사전 격인 의방유취 또한 세종조에 만들어집니다. 의방유취는 양이 방대하여 현재 조금씩 연구가 이뤄지고있으나 가장 위대한 작업은 동의보감이었고, 한국의 한의학은 이론의 발전보다 대중화를 초점으로 방향을 돌립니다.19세기 말 사상의학의 등장으로 한국의 한의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합니다.구한말 현대의학이 들어오면서 한의학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현대 의학을 수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현대의학으로 이행시킬 기회가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경성의학교 교장이자 종두법을 최초로 소개하고 시행한 지석영은 한의사 였고, 얼마 지나지않아 일제강점기를 맞이하게 되며 한국의 한의학은 암흑기를 겪습니다.일본은 한의학을 시대에 맞지 않는 의학으로 생각하고 한의사들은 의생으로 격하되었고, 현대의학과 한의학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 또한 컸습니다.일제강점기에 서양의사가 부족해 기존 의료인력을 활용할 필요가 있어 기존에 존재하던 의생을 적극적으로 없애려고 탄압하지는 않았지만 점진적으로 새로운 의생의 배출은 억제함으로 도태하려는 시도가 있어 이로 인해 의생 규칙이 시행된지 1년 뒤인 1914년 말 당국에 등록된 의생 수는 5,827명이었는데 해방 직전인 1943년 3,337명으로 30년 사이에 40%감소합니다.해방 이후 잔존한 의생들이 모여 의생협회를 설립하고 동양학관이라는 한의학 강습소를 설립하였고 1951년 국민의료법에 의원, 치과의사를 1종, 한의사를 2종의료인으로 구분하였고 1962년 이래 이러한 구분은 사라집니다1961년 5.16쿠테타가 발생하면서 학교정비령에 따라 동양의학관이 폐교위기에 몰렸으나 로비로 기사회생했고, 1963년 경영난에 빠져 폐교 위기에 처하고 동양의과대학은 이후 경희대학교에 흡수 합병되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이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여수전쟁이 일어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쟁의 원인은 수의 대외적인 팽창 정책에 있었습니다. 581년 건국된 수는 돌궐을 격파하고 이어 589년 남중국의 진을 멸망시킴으로 300여 년간 분열되었던 중국을 통일합니다.이에 동아시아 국제 정세는 그 전 시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양상을 띠소 5세기 중반 이래 동아시아는 중국의 남북조, 몽고 고원의 유목민 국가인 유연과 이를 이은 돌궐, 티베트 고원 서북 지역의 토욕혼, 동북아시아 지역의 고구려 등 주요한 몇몇 국가들을 중심으로 다원적인 세력 균형 상태를 장기간 유지해오고 있었습니다.이중에서도 고구려는 동북 아시아 지역에서 독자적 세력권을 유지하고 있었고, 고구려와 중국 왕조간에는 서로의 세력권을 인정하며 공존하는 상태였는데 이런 상황에서 수가 중국 대륙을 통일한것은 기존의 다원적인 세력 균형 상태를 근본적으로 흔드는 사건이었습니다.수는 동아시아 대륙전체를 지배하여 중국 중심의 일원적인 국제 질서를 구축하고자 하고 이러한 의도 아래 돌궐을 격파하고 진을 멸망시킨 수의 차기 침공 대상은 고구려였습니다. 진이 멸망했다는 소식을 접한 고구려가 바로 전쟁준비에 착수한 것은 이 상황을 예견했기 때문입니다.수는 고구려의 독자적인 세력권을 부정하고 수에 복속할 것을 강요합니다. 수의 세력이 점차 동북 아시아 방면으로 뻗치자, 고구려 휘하에 복속되어 있던 거란족과 말갈족의 일부가 그 영향력에 끌려 수 쪽으로 이탈하고 이런 양상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가속화되었고 고구려 제국의 해체를 몰고 올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습니다.이에 고구려는 수에 복속하느냐, 그렇지 않으면 독자적인 세력권을 지키기위해 전쟁의 길을 택하느냐의 갈림길에 서게 되었고 고구려는 후자를 택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대한민국 최초의 소설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최초의 소설은 금오신화 입니다.그러나 현재 원본은 우리나라에는 없고, 최남선이 일본에서 간행된 목판본 금오신화를 발견하여 1927년 국내 잡지인 계명 19호에 소개했고 시간이 흘러 1999년 조선 명종때의 문인 윤춘년이 편집한 금오신화가 중국의 대련 도서관에서 발견되었습니다.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오신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과거 내시들은 혼인을 안하고 평생 혼자 살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반들이 내시가 아내를 두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내시가 혼인을 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상소를 올리나, 왕들은 이 상소를 다 물리치고 내시들이 결혼도 하고 양자도 들일수 있도록 해주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공감각적 심상이라는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감각적 심상은 하나의 시 구절에서 두 가지 이미지가 함께 제시되는 경우 입니다.
학문 /
미술
23.02.09
0
0
내용이 오래 남는 효과적인 독서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효과적인 독서법에는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금방 잊힐것들은 너무 많이 읽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메모하고 노트를 만들어 읽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이 노트의 내용을 반복적으로 활용해야 그 값어치가 높아집니다.또 독서를 할 때 중요한 단어를 파악 한 후 핵심적인 단어를 읽어내며는 것이 중요하고 책을 읽을때 쟁점과 대안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9
0
0
1810
1811
1812
1813
1814
1815
1816
1817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