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울력이리는 말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울력은 일손이 모자라는 집에 시기를 놓쳐서는 안될 급한 농사일이 있을 때, 마을 사람들이 보수나 노동대가를 기대하지 않고 도와주는 봉사적 노동협동 방식입니다.전통사회에서 행해진 울력 관행을 보면 일손이 모자라는 과부집이나 환자가 있어 일손이 모자라는 집, 초상을 당한 집 등과 같이 어려운 사정으로 노동력이 모자라는 집의 일을 도와주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대한민국 최초로 월드컵에서 골을 넣은 선수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박창선 선수 입니다.1986년 피파 월드컵 멕시코에서 대표팀의 주장으로 참가해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중거리 슛으로 득점하면서 대한민국 월드컵 역사의 본선 무대 첫 골을 기록한 선수십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장보고가 청해진을 만들어 소탕하고자 했던 해적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통일신사 시대인 828년에 장보고가 완도에 설치했던 진으로 장보고는 중국인들이 우리나라 사람들을 잡아 노비로 삼는것에 격분하여 청해진을 설치하고 해적을 소탕했습니다.여기서 해적은 중국 해적을 말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조선이 억불숭유 정책을 추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는 고려의 귀족세력을 경계하고 제거하기 위해 그들이 추숭했던 불교를 견제합니다.역성혁명으로 세워진 조선으로서 부패한 불교와 춘추대의 성리학이라는 기치는 새로운 나라의 건국을 합리화 하기 위한 좋은 명분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전쟁이 엄청 짧게 끝난 나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상 가장 짧은 전쟁은 영국-잔지바르 전쟁입니다.전쟁시간은 38분으로, 선전포고>군대투입->교전->부상자와 사상자-> 항복 순 입니다.이를 전쟁으로 칭하는것은 짧은 시간동안 정식으로 선전포고가 이루어지고 군대가 투입되고 교전을 통해 사상자가 나왔으며 항복으로 마무리하는 절차가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1896년 8월 25일 하미드 술탄은 급사하고 칼리드 빈 바르가시가 왕위를 이어받으나 영국은 노예무역에 반대하고 영국에 호의적인 입장을 보이던 하무드 빈 무함마드를 술탄으로 삼는 구테타를 계획하였고 칼리드 술탄은 전군을 소집합니다.영국군은 칼리드에게 즉시 병력을 물리라고 강요하나 칼리드는 듣지 않고, 25일 오후 3시 칼리드는 선전포고를 합니다.26일 영국 해군 소장 해리 로우손은 칼리드에게 27일 아침 9시까지 군대의 무장을 해제시키고 궁궐에서 떠날것을 종용하는 최후통첩을 합니다.칼리드가 답을 하지 않자, 영국군은 잔지바르의 왕궁에 포격명령을 내리는데 이때 시간이 오전 9시 정각으로 잔지바르 앞바다에는 영국 군함5척이 대기하고 있어 포격명령을 들은 영국군은 잔지바르를 향해 포격을 게시, 이 시간이 9시 2분.잔지바르의 전함 HHS 글래스고는 선전포고 개시 직후 바로 영국군의 공격으로 침몰하고 술탄의 궁도 영국군의 포격에 박살나고 잔지바르 육군 500여명이 전사합니다. 이 과정에서 영국군 피해는 부상자 1명으로 술탄은 독일 대사관으로 피신했고, 38분에 걸친 포격 끝에 잔지바르는 항복하는데 이 시가기 9시 40분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집배원을 왜 옛날에는 벙거지꾼이라고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벙거지꾼은 도포자락을 휘날리며 벙거지 모자를 쓰고 다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6.25전쟁때 제주도는 어땟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주도는 전쟁 당시 한국 정부를 피난시키는 방안으로 나타났습니다.전쟁 초기 낙동강 방어선으로 대한민국 국군이 밀려났을때 이승만 대통령이 측근으로부터 제주도로 피난해야 한다는 제안을 들었으나 묵살했고, 월튼 워커 미8군 사령관은 아예 대한민국 정부를 서사모아로 이전하는 계획을 고려하기도 했으나 이때 정부 이전 후보지 중에 제주도도 포함되어있었으나 제주도는 면적이 너무 좁고 농경, 식수 환경이 척박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적되어 후보지에서 제외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조선 후기 오가작통법은 어떤 제도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가작통법은 조선시대 다섯집을 1통으로 묶은 호적의 보조조직으로 조선 최초의 오가작통법은 단동 연간에서 시행된걸로 추정합니다.1485년 한명회의 발의에 따라 채택되어 경국대전에 오르는데 이에 의하면 한성부에서는 방 밑에 5가작통의 조직을 두어 다섯집을 1통으로 하여 통주를 두고, 방에 관령을 두었다고 합니다.조선시대 유민을 방지하기 이해 실시하여 5가구를 1통으로 묶어 서로 도망가는 것을 감시하였습니다.유민이 발생하면서 국가에서는 조세 대상자와 군역 대상자가 줄어들어 재정, 국방상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유민방지를 통해 국가 재정과 국방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실시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아바타는 어디에서 유래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바타는 고대 힌두 신앙에서 유래한 말로 본뜻은 지상에 신이 강림하다, 지상에 강림한 신의 화신이라 합니다.
학문 /
미술
23.02.04
0
0
태극기를 어떻게 대한민국의 국기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국기제정에 대한 논의가 처음 있었던 것은 1876년 1월 운양호 사건을 계기로 한,일 사이에 강화도 조약 공방전이 오가면서 계기가만들어졌습니다.이후 1882년 8월 박영효 일행이 인천에서 일본 배를 타고 일본에 들어가면서 당장 게양해야 할 국기의 필요성을 절감해 조정의 국기 도안 내용을 약간 고쳐 태극사괘가 그려진 기를 게양했다고 합니다.이것이 태극기의 효시라고 보며,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있는 태극기의 모습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946년 문교부 고시 제2호로 공표한것으로 42인의 국기시정위원회의 수차례 의논을 거쳐 결정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1837
1838
1839
1840
1841
1842
1843
1844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