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천연기념물은 어떤 기관이 지정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25조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의 지정) 문화재청장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념물 중 중요한 것을 사적, 명등 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할수있다.제1항에 따른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의 지정기준과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일제강점기 시대에 창씨 개명 요구 이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창씨개명은 조선 총독 미나미 지로가 주도한 조선인의 황민화 정책중 하나였습니다.미나미의 조선총독부는 부계 혈통에 기초한 조선의 종족집단과 여자가 결혼을 해도 남편의 성을 따르지 않고 본래의 성을 유지하는 조선의 가족제도가 황민화에 장애가 된다고 보며, 창씨개명은 조선인들에게 모든 가족이 호주의 씨를 쓰는 일본식 이에제도를 따르게 함으로 일본 천황을 정점으로 한 국가체계에 적합하도록 조선의 가족제도를 개조한다는 목적 아래 강요된 조선총독부의 내선일체 동화정책의 일환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한국에 담배는 언제 처음 들어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에 담배가 처음 들어온 시기와 경로는 알려진것이 별로 없습니다.이수광이 1614년에 쓴 지봉유설이나 장유가 1635년에 펴낸 계곡만필에서는 모두 담배가 일본에서 전해졌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이러한 기록들로 보아 조선에서도 1610년 무렵 담배가 이미 일부계층에서 기호품으로 이용되었으며 1620~30년대에는 민간에서도 폭넓게 재배, 유통되었음을 알수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손없는 날은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손없는날은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사람에게 해코지 한다는 악귀나 악신이 돌아다니지 않아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길한 날이며, 음력 중 끝자리가 9와 0인 날을 기준으로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스님들의 동안거 수행은 스님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안거란 불교에서 음력10월 보름부터 정월 보름까지 승려들이 바깥출입을 삼가하고 수행에 힘쓰는 일을 말합니다.스님에게는 내가 내년을 살기위해서 지금 내가 모자람을 갖추기 위해 모자람을 갖추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충무공이란 말 뜻이 어떤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충무공이라는 뜻은 나라에 무공을 세워 죽은 후 충무 라는 시호를 받은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입니다.
학문 /
철학
23.01.27
0
0
우리나라에 유교는 언제 어느시대때 전래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미 진흥왕 때 화랑 제도를 창설함에 있어 효제충신은 나라 다스림의 대요 라고 하여 유교이념을 근본으로 했고, 화랑들이 연마한 것은 유교경전입니다.진흥왕 순수비속에 나오는 몸을 닦아 백성을 편안케 한다 란 논어의 구절이나, 충신정성,위국진절 등의 용어가 나오는 것은 치국의 이념으로 유교사상이 기초가 되고있음을 보여줍니다.유교사상은 이미 삼국시대 오경사상을 중심으로 정치이념이 되고, 국민을 교육하는 원리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소울푸드라는 말이 있는데 어디서 유래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울푸드는 2001년 2월 5일 한국일보의 흑기사 하니발 나가신다 라는 기사에서 처음 쓰였습니다.본래 소울푸드의 뜻은 미국요리의 일종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고유 식문화를 가리키는 말로, 전통적으로 미국 남부 흑인들과 관련된 음식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서양에선 왜 집안에서 신발을 신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온돌이라는 문화가 발달하여 바닥이 따뜻하니 신발을 실내에서 신을 필요가 없었으나서양의 경우 벽난로 같은 난방기구를 이용했기때문에 바닥은 차가운 상태였습니다.그래서 실내에서도 신발을 신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7
0
0
음악 악보가 5줄인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8세기 초기에는 네우마 , 점과 획을 문자위에 사용했으나 복잡한 음악적 표현은 가능했으나 음높이와 시간을 기록할수 없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오선보가 나왔다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3.01.27
0
0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1880
1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