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독립운동가 호칭 중 열사와 의사는 무슨 차이 인가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열사: 나라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 사람나라를 위하여 이해를 돌아보지 않고 절의를 지킨 사람맨몸으로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내는 사람의사: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 제 몸을 바쳐 일하려는 뜻을 가진 의로운 사람의리와 지조를 굳게 지키며, 때로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바칠수도 있는 사람무력으로써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
학문 /
역사
23.01.26
0
0
과거 다모는 어떤 역활을 했나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모는 기본적으로 관아에서 식사, 차를 끓이고 대접하는 일을 하던 관비였습니다.필요에 따라 포도청 산하에서 운영되어 사대부를 은밀히 내사하고 필요하면 체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예술 관련 철학자는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술관련 철학자는 레오나르도다빈치 가있습니다.레오나르도다빈치는 화가, 조각가, 음악가, 해부학자, 공학자, 발명가, 수학자, 건축학자 등의 많은 분야에 기여했습니다.
학문 /
철학
23.01.26
0
0
중국에도 차례지내는 문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에는 춘절에 제사를 올립니다.매년 중국인들은 재물신에게 제사를 올립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다비드상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비드의 예술적 가치로는 아름다운 육체와 힘을 표현했으며, 미켈란젤로는 이 다비드로 인간의 내면에 도사린 잠재력이 발휘될때 인간은 어떠한 어려움도 극복할수있고 꿈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을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미술
23.01.26
0
0
대만은 왜 일본에 호의적인 태도를 취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만이 일본에 호의적인 이유는 옛날부터 대만은 중국은 물론 여러 유럽국가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침략을 당하고 수탈의 대상이 되었습니다대만에 자리잡은 국민당조 대륙으로 돌아가겠다고 하지만 대만사람들을 위해서는 뭘 하는게 없었습니다.그러니, 그나마 도로, 철도, 항만 등 기간산업을 구축하고 교육제도와 생활환경을 개선해 준 일본에 그나마 일본이 지배하던 시절이 좋았다 라는 생각을 합니다.또 대만은 일본과 함께 아시아를 대표하는 부유한 나라로, 대만의 경제성장의 기반이 일본 점령 시절 구축해놓은 인프라 덕분이기도 합니다.그러다보니 서로 잘 되는 입장에서 경제, 외교, 문화적으로 일본과 대만간 교류가 잦았고, 대중문화에서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일본 문화에 대해 거부감이 적고 친근함을 가지고있으며 친일파 정치인들도 많고 총리는 야스쿠니신사 참배, 다오위다오가 일본영토라 주장, 일본은 자신의 조국이라고 말할 정도입니다.또, 대만에 원주민과 사탕수수 농장 운영을 위해 대륙에서 잡혀온 한족들이 대만을 점령한 네덜란드에 의해 수탈을 당하고 괴로워할때 네덜란드 세력을 몰아낸 구국의 영웅 정성공의 어머니가 일본인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영국, 미국 발음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어는 미국식 영어가 역사적으로 더 오래되었습니다.과거 영국에 남부쪽에 부유한 도시가 있었는데 그곳에 상위 계층들은 보통의 사람들과 차별화된 영어를 구사했다고 합니다.이런 영어의 발음이 영국 남부쪽에 퍼지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우리나라에 김씨나 이씨가 많은 이유는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 성은 양반들만 가질수 있었고, 평민, 천민의 경우 이름만 존재했습니다.시간이 지나 사람들이 이름있는 족보를 사고, 성을 가지기도 하고, 주인의 성을 따라가며 족보를 사는 경우 왕족인 이씨 성을 선호했다고 합니다.김, 이, 박은 한국에서 왕족들의 성이었으니 선호도가 높아 명문가들이 선호했고, 후대에 와서 평민이나 명문가에 딸린 권속들은 주인의 성을 자연스럽게 사용했다고 보면 됩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고려시대도 조선시대처럼 신분사회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의 신분제도는 조선시대와 흡사합니다.귀족계층으로 양반, 그 밑으로 중류계층, 그 밑으로 양민과 천민이 있었고, 이들의 신분은 세습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조선시대에 불교를 배척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신진사대부는 고려 후기 충렬왕 때 안향에 의해 도입된 성리학을 수용한 이들입니다.이들 일부는 급진사대부로 조선개창의 주역이되고 고려왕조를 지속하길 바라던 온건사대부들도 낙향하며 후학을 양성해 사림파가 되어 정권을 장악합니다.이들은 성리학적인 나라를 만들려는 것으로 그들의 사상과 고려 불교의 타락과 부패상이 고려의 멸망원인으로 봤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6
0
0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1880
1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