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야간자율학습은 언제부터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야간자율학습은 1980년 7월30일 교육개혁조치로 과외, 보충수업이 전면 폐지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단소를 사용하게 된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소는 악학궤범은 물론 그 이후의 문헌에도 나오지 않아 정확한 기원은 알수 없으나, 함화진의 한국음악소사에서는 단소는 4천여 년 전 황제때에 기백이 만들었으며 우리나라에는 19세기 초 조선 순조 때 청에서 들어왔다고는 하나 정확한 근거는 없습니다.
학문 /
음악
23.01.24
0
0
일제 시절 친일판에는 누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시대의 친일파로는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이완용, 송병준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김대중 대통령님께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신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대중 대통령은 2000년 12월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 평화상을 받았습니다.민주주의와 인권을 향한 40년에 걸친 긴 투쟁 역정과 6.15 남북 공동선언을 이끌어내어 한반도 긴장완화에 기여한 공로를 국제사회에서 인정, 노벨 평화상 부문에서 세계 81번째로 수상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사람들이 미신을 만드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신은 전혀 관계가 없는 두 사건이 연달아 일어나면 사람들은 그것에서 인과관계를 찾게되고, 우연성을 필연성으로 착각합니다.또, 과학이 발달하지 못한 시절 당시 인간의 지식으로는 인과관계를 설명할수 없는 일들이 발생하면, 관련한 경험 등을 토대로 금기 등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미신으로 발전하게 됩니다.또, 지키는 편이 좋거나, 그렇게 여겨지는 경우, 좋은 의미를 가지고있는경우 , 지키는 편이 실질적인 이득이 있는 경우, 인간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수 없는 운 적인 요소와 관련되었거나 심리적으로 불안감이 클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미신을 만드는 이유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일주일을 7일 한달을 30일 1년을 365일 이라는 기준은 어떻게 생긴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주일은 성경의 창세기에서 유래한것으로 기본적으로 일년은 지구의 공전주기 , 월은 달이 지구를 한바퀴 도는것을 기준으로 합니다.현재 사용하는 달력의 시초는 로마에서 기원했으며 각 공전 주기는 정확하게 맞지는 않습니다.달의 공전 주기는 29,30 인데 1년을 12달 30일로 하면 지구의 공전주기 1년에서 5일이 남아 맞추기 위해 사이사이 1일씩 끼워 넣은 것으로 공전 역시 딱 떨어지지 않아 약 1/4 정도가 남는데, 4년에 한번 2월29일인 윤달이 생깁니다.이에 오차가 있어 100년에 한번 29일을 뺍니다.즉 날짜는 소수점을 가질수 없어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규칙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맞춘 형태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티베트는 장례를 왜 조장으로 합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장은 티베트인이 사망 후 이승을 떠라는 처리 방식으로 독수리가 시신을 먹고 날아가 영혼을 하늘에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고 믿고있습니다.생을 마감한 노인을 위해 라마승은 포와의식을 한 후 상여와 관도없이 묶어서 사원으로 갑니다.천장터에서 염불을 외자 독수리떼가 날아와 시체를 뜯어먹는데 이를 가족들이 지켜봅니다.조장은 티베트인들에게는 환생을 위한 신성한 의식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떡국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떡국은 문헌에서는 기원전 3세기경의 중국의 시집인 확사 속에 갱과 확이 나타나는데, 갱은 채소가 섞인 고깃국, 확은 채소가 섞이지 않은 고깃국으로 풀이합니다.우리나라는 1월은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 때로 흰 가래떡을 얇게 썰어 장국에 넣어 끓이는데 병탕이라고 하는 떡국을 먹었습니다.조선헌종 15년 홍석모가 쓴 동국세시기에 떡국을 백탕, 병탕이라고 소개하며, 떡의 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고 하여 병탕이라고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차례상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사는 신이나 신령, 조상 등에게 봉헌하는 의식은 유교뿐만 아니라 수많은 종교에서 관찰되며, 지중해 문화권의 고대 종교들에서는 훌륭한 제사는 경건함의 주요한 예시였으며, 동아시아에서는 갑골문에 수많은 제의를 확인할수있습니다.오늘날 종교가 개인의 사적 영역으로 인식되지만, 종교가 공적 영역으로 인식되던 고대에는 개인과 공동체의 신심을 외적으로 표현하는 제사가 자연스럽게 중시되었습니다.한국의 전통적인 제사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한자문화권 바탕에 한반도의 지역적 특성이 섞여 형성된것으로 고대 중국 상나라의 왕조갑이 주변 토착신을 배제하고 조갑의 직계 조상만 섬기는 조상신 풍습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조상을 섬기는 문화에서부터 제사가 시작된 것입니다.상나라는 주나라에 의해 명말했지만, 주나라는 위에서 조갑이 퍼뜨린 풍습을 따라 상나라의 제사방식을 이어받았으며, 상나라의 전 지도층을 제후로 임명해 상나라 조상에 대한 제사를 계속 이어가도록했으며, 이는 다른 가문의 제사가 끊기게 하면 그 사람에게 제사가 끊어진 조상 귀신들이 재앙을 내린다고 믿었기때문입니다.우리나라의 제사는 조상제사가 대부분이며, 근세에 이르러 유교와 결합하면서 조상숭배의 제도로 고착되었으며, 종교적 의미를 가지면서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정교가 분리된 후 황제는 하늘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며, 자신의 조상을 신격화하여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권위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도 사용했습니다.다만 제후국을 자처한 조선의 왕은 하늘에 대해 제사를 지낼수 없고, 왕조의 조상인과 땅의 신에는 제사를 지냈으며, 대한제국 선포후 환구단을 지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으며 가정에서는 효의 의미를 가져 가문의 통치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했으며 종교적 면은 사후 세계의 인정을 통한 유교 특유의 간접적 영생의 의미를 가졌습니다.고려, 조선 전기까지는 아들땅 상관없이 재산을 공평하게 분배받고, 제사의 주체에서도 남녀차별이 없었습니다.조선 전기까지만 해도 출가외인이라는 개념이 없어 남녀 구별없이 돌아가면서 제사를 모셨으며, 기혼 남성이 돌아가진 아버지 제사를 지내기 위한 시집간 누나의 집을 방문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조선 중기 후 소중화 의식이 강해지며 유교에서 제사를 지내는 장남이 아버지의 재산 2/3을 받고, 나머지를 다른 아들들이 나누고, 딸은 받지 못하는 인습이 집성촌일 경우 현재까지 유지되고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캘리그라피를 응용한 작품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캘리그라피를 이용한 작품들에는 초 만들기, 부채만들기, 액자, 초대장, 청첩장 만들기 등의 다양한 응용작품이 많습니다.
학문 /
미술
23.01.24
0
0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