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성수는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 저 있나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수는 종교에따라 일반적인 샘물, 강물을 사용하거나 성지 등의 특별한 장소의 물을 사용하기도 하며, 물에 소금이나 향료들의 첨가물을 섞는 것도 있습니다.가톨릭의 경우 성수를 한번 만들면 몇개월 , 쓸 일이 별로 없는 일반 신자들 같은 경우 집에 몇년씩 보관하기도 했는데, 이때문에 물이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 소금을 넣었습니다.정교회의 성수는 단순히 식수 입니다. 이는 축복의 용도와 더불어 마시는 기능을 함께 했습니다.이슬람의 경우 성지 메카의 카바 신전 옆에 있는 잠잠 우물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사용합니다.힌두교는 강가 강의 물을 성스러운 물로 숭상하기 때문에 이러한 물을 사용합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장보고 장군의 업적을 소개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보고는 조직적인 함선세력으로 해적을 소탕하여 신라의 백성을 보호하였으며 신라와 당, 일본의 삼각무역을 주도하고, 중국 남부지역에서 이슬람과의 중계무역을 개척하였습니다.신라방, 신라촌 등의 재당 신라인의 무역을 조직화하고 교민들에게 모국에 대한 자각을 일꺠우고, 활발한 해양활동을 통해 신라의 조선, 항해 기술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장보고의 대사활동으로 우리 민족은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해상질서를 확립하고, 해상 무역으로 부를 축척하고 상업자본가의 출현을 촉진시키고 국민의 진취적인 해양사상을 고취시켰습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로마 제국이 멸망한 이유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마제국이 붕괴한것은 내부적 원인이 있어서입니다.4세기경 로마 제국은 큰 변화 두가지를 경험하는데, 첫째로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내린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공인한 사건이며 두번째는 380년 기독교를 국교로 인정한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359년에 사망하자 로마 제국이 로마를 중심으로 한 라틴문화의 서로마 제국과 고대 그리스를 바탕으로 하는 비잔티움 문화의 비잔티움 제국으로 분활되는 사건입니다.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를 인정하던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330년 비잔티움을 기독교적 도시로 개축한 후 콘스탄티노폴리스라는 이름으로 붙이고 제국의 수도를 옮긴것은 로마를 중심으로 한 제국의 문화 중심이 동방, 그리스적 요소가 강한 비잔티움 지역으로 이동하게 하였습니다.수도를 옮기고 56년 뒤 제국의 동서 분할로 통일된 제국의 유지가 더는 불가능한것이 증명되며, 로마 문명의 발생지인 이탈리아 반도와 유럽 대륙은 다양한 게르만 민족이 들어와 사는 지역이 됩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나폴레옹이 사실은 평균 이상의 키라던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폴레옹이 키가 작았다는 것은 부검 후 5피트 2인치, 즉 157.5cm였다는 소문이 퍼졌기 때문입니다.5피트에 2인치를 영국식 피트 단위로 부르면서 와전된 것입니다.나폴레옹의 실제 키는 영미식 피트로 환산하면 약 5피트 6인치로 167.6cm였습니다.당시 프랑스 성인 남성의 평균 키가 164.1cm로 나폴레옹은 평균보다 3cm정도 컸습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차가운 추상화와 뜨거운 추상화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차가운 추상화는 최소한의 형태와 색만을 사용하여 수직, 수평적 느낌의 기하학적, 이지적인 화면 구성이 특징입니다.뜨거운 추상화는 작가의 직관과 감정에 중점을 두고, 즉흥적, 표현주의적, 비정형의 화면을 특징으로 합니다.격렬한 색채와 역동적인 붓질이 특징입니다.
학문 /
미술
23.01.16
0
0
매너리즘과 나르시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매너리즘은 항상 틀에 박힌 일정한 방식이나 태도를 취함으로 신선미와 독창성을 잃은것즉, 매번 똑같은 일을 반복적으로 하다보니 열정도 없어지고 재미도 없고 무기력해지고 흥미도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나르시시즘은 자기 자신에게 애착하는것을 뜻합니다. 자기애 라고도 표현할수 있겠네요
학문 /
철학
23.01.16
0
0
한국이 원래 korea가 아니라 corea라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알파벳 표기인 corea, korea는 고려에서 비롯한 것입니다. 언어에서 로마자 C와 K가 음이 같은 문자로 쓰이며 언어마다 어느 쪽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차이가 있습니다.프랑스어, 스페인의 경우 C를 사용하는데 해당언어의 경우 K는 드물게 사용됩니다.반대로 독일어 등은 대부분 K를 주로 사용합니다.게르만민족은 모음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C보다 똑같이 발음하는 K를 선호하기 때문입니다.영어는 중세에 잉글랜드를 정복한 노르만인들은 ㅋ~ㄲ 발음을 적을때 전설모음 앞에 구개음화되지 않는 북게르만계 단어의 /k/ 표기에는 K를 쓰고 그 외 라틴어처럼 C를 쓰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중세~현대 영어 철자에 영향을 주었습니다.다른 유럽언어들은 ㅋ~ㄲ 발음을 표기할 때 C와 K중 한쪽에 편중되는 반면, 영어는 역사적 이유로 둘 다 사용합니다.그래서 e,i,y앞에 K를 쓰고 그 외에는 C를 쓴다는 경향으로 영어에서 과거 corea로 적었지만, 나중에는 China와 헷갈릴것을 염려하여 korea로 바뀐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은 언제 어디서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올림픽은 하계 동계로 나뉘어 4년마다 개최하는데, 기원전 8~5세기에 올림피아에서 열린 경기에서 19세기 말 피에르 드 쿠베르탱이 올림픽이라는 개념을 성립했으며 최초의 올림픽은 1896년 아테네에서 개최된 1회 올림픽입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고려장이라는 악습은 실제로 존재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장은 설화로 19세기 만들어진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려장은 10세기말~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에 생겨난 단어입니다.한국의 경우 고대 문헌을 봐도 기근이나 전쟁 등 특수한 상황이 아닌 평상시에 이러한 행위를 풍습처럼 삼았다는 기록이 없으며, 실존하지 않는 풍습을 다룬 설화로 보고있습니다.설화로 존재하던 이야기들이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제국에서 조선 내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제작한 조선의 동화를 다운 동화집에 실리고, 설화로 여겨지던 이야기가 어느 순간 민중들에게 역사적인 사실로 받아들여진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16
0
0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싸게 팔린 그림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기준으로 알아보면 앤디워홀의 샷 세이지 블루 마릴린이 가장 비싸게 팔렸습니다.우리나라 돈으로 248,676,000,000원 이라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1.16
0
0
1927
1928
1929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