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에는 냉장고 대신 어떻게 음식을 보관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 음식을 보관할 서빙고 같은 것들은 일반 서민이 사용하기에는 힘들었기 때문에 조상의 지혜를 담은 보관이 길수 있는 음식들을 만들었습니다예를 들어 채소 등을 건조하여 보관하거나 (시래기, 말린 굴비 등) 염장법을( 젓갈류)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1
0
0
합창악보의 tutti가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투티(tutti) 는 총주 라고도 하며 연주에 참가하고있는 여러악기 (연주자) 가 다함께 연주하는 것을 뜻합니다
학문 /
음악
22.12.11
0
0
우리 역사속 '삼강오륜'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강오륜은 유교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되는 3가지의 강령과 5가지의 인륜으로 구성됩니다3가지의 강령 즉, 삼강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뜻하며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할 도리입니다오륜은 오상, 오전 이라고도 불리는데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으로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는 친애에 있으며,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고, 부부사이에는 서로 침범하지 못할 인륜의 구별이 있으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 벗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설명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1
0
0
백제 시대 왕3000궁녀 의자왕 뜻이 뭐에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천궁녀의자왕은 조선의 한 선비가 낙화암 근처를 지나다 삼천궁녀라눈 말이 나오는 시를 읊었고 그 시를 들은 사람들이 낙화암에서 삼천궁녀가 뛰어내렸다 생각하게 되었으며 그 뒤 여러 선비들이 시를 지을때 삼천궁녀라는 말을 즐겨썼다고 합니다이에 낙화암의 전설이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실제 백제가 멸망할 당시 수도인 사비성의 인구는 5만명,그 중 궁녀가 삼천명이었다는것은 가능 할 수 없으며현재 남아있는 백제왕궁의 터를 보면 삼천명의 궁녀가 살기에는 좁다는 것으로 증명되어집니다
학문 /
역사
22.12.10
0
0
세상에서 제일 짧게 마무리된 전쟁은 몇 시간만에 종료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 잔지바르전쟁입니다1896년 영국과 잔지바르(탄자니아의 지역) 사이에 일어난 전쟁으로 공식적으로 기록된 전쟁기간은 38분입니다38분동안 정식으로 선전포고가 이루어졌으며 군대투입, 교전을 통해 사상자 발생, 항복으로 마무리 되었기때문에 시간이 짧아도 전쟁으로 인정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0
0
0
중국의 4대기서는 무엇을 말하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나라시대의 소설인 시내암의 수호지나관중의 삼국지 연의명나라 시대 오승은의 서유기왕세정의 금병매 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0
0
0
주상전하 세자저하 할때 전하/저하 이런 용어의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하: 왕을 높여 부르는말로 왕보다 낮은 사람들이 왕을 부를때 쓰는 명칭저하: 왕세자 또는 왕세손을 높여 부르는 말
학문 /
역사
22.12.10
0
0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요즘 시대에 행복을 돈으로 살 수있다는 말이 사실인듯 느껴지는게 현실입니다돈이 있어야 무엇이든 하고, 아파도 돈 걱정없이 치료를 받기되니까요너무 돈만 따지는것도 어리석지만 행복을 위해서는 돈은 필수조건이 된 현실이라고 생각합니다돈 이라는 믿는 구석이 있어야 무엇이든 시도를 해보고 배우고 얻을수 있으니까요
학문 /
역사
22.12.10
0
0
영화 관상에 나오는 마지막 명대사가 무엇이 였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난 사람의 얼굴만 봤을뿐 시대의 모습을 보지 못했어시시각각변하는 파도만 본 격이지바람을 보아야 하는데파도를 만드는건 바람인데 말이오당신들은 그저 높은 파도를 잠시 탔을 뿐이오우린 그저 늦게 쓸려가는 중이었소만뭐 언젠간 오를 날이 있지 않겠소높게 오른 파도가 언젠간 부서지듯이 말이오
학문 /
역사
22.12.10
0
0
희망가는 언제쯤부터 불린 노래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희망가의 원곡은 1850년 영국 춤곡을 바탕으로 미국인 제레미아 인갈스의 찬송 모음집이 수록된 The Lord into His Garden Comes 이라는 제목의 찬송가 이며 국내에서 1921년에 발표되어 1930년대 크게 유행한 대중가요입니다 1910년 기독교 신자 임학천이 작사하여 이 풍진 세상을 이란 제목으로 박채선, 이류색 두 민요가수가 1921년 발표하였습니다여러 악보집이 여러 제목으로 소개되다가 여러 악사, 가수들이 부르며 가요에 보급되었으며 탕자자탄가 등의 원래 비탄조의 제목들도 희망가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0
0
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