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경북 경주에 가면 왕들의 묘가 엄청 커다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왕의 무덤 크기는 도굴에 대한 염려와 왕의 권위를 뜻했습니다.선사시대부터 한 국가의 지도자의 묘는 크게 만들었고 이를 통해 왕의 권위를 세우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우리가 흔히 외톨이 되었다고 할때 낙동강 오리알 신세다 하는데 이말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낙동강과 오리알이라는 두 단어가 붙어 이런 관용어가 되었는지 어원은 정확히 밝혀져있지 않으며 여러 설이 있습니다.-낙동강 갈대 숲 둥지의 오리알이 장마로 갑자기 불어난 물에 떠내려 가는 모습에서 따온 관용구라는 설, 실제 낙동강 하구는 남한 지역에서 가장 삼각주 지형이 발달해 철도 도래지로 유명할 정도로 새가 많아 새알이 떠내려가는 장면도 있을 법한 상황입니다.- 낙동강은 철새인 오리가 많이 날아드는 곳이어서 오리알이 많은데 오리알은 기름기가 많아 비린내만 나고 맛이 없어 사람이나 짐승들이 거들떠보지 않았고 그래서 낙동강 주변에 여러 오리알들이 그냥 방치, 혹 철이 바뀌어 산란지로 이동해 낳았어야 할 알을 제때 이동하지 못해 낙오한 오리가 낙동강에 낳고 떠나버려 제대로 부화되고 클 여력이 없어집니다. 그래서 버려져 소외되고 처량한 모습을 비유해 낙동강 오리알 이라는 말이 생겼다는 설- 6.25 전쟁 당시의 격전지였던 낙동강 전선의 상황이 유래라는 설로낙동강 남측에서 한국군이 기관총과 박격포를 쏘면 인민군이 거기 맞고 하나하나 낙동강 물속으로 퐁당퐁당 빠져들어가는 상황이 계속되었고 이를 보며 병사들을 독려하던 12연대 11중대장 강영걸 대위가 낙동강에 오리알이 떨어진다 라고 했다고 합니다.-인민군과 한국군이 낙동강에서 고착상태에 있던 도중 지원으로 미군의 폭격기가 폭격을 시작, 이때 강영걸 대위가 폭격기에서 폭탄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야! 낙동강에 오리알이 떨어진다! 하고 한게 낙동강 오리알의 유래라는 설
학문 /
역사
23.11.22
0
0
정조 이산은 몇 살에 아버지를 잃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는 11살때 아버지 장조는 뒤주에 갇혀 죽었고, 할아버지인 영조가 요절한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해 왕통을 계승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망이 망소이의 난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특수 행정 구역의 대우에 대한 불만으로 일어난 난으로, 이 난을 계기로 고려는 특수 행정구역을 폐지하기 시작했고 이후 조선 태종은 고려 때의 속현과 향, 소, 부곡을 군, 현에 편입시켜 향, 소, 부곡은 사라지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우라나라의 tv프로그램중 최고에 시청률 역사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드라마 역대 시청률 1위는 드라마 첫사랑으로 65.8%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우리나라 최초에 통조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통조림은 전복 통조림 입니다.1892년 일본이 신선한 전복을 완도에서 일본까지 공수해가기 위해 공장을 설립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들 때 극비리에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만리의 상소문을 보면, 첫째는 새 문자를 만들어 단독으로 쓴다는 말이 중국에 흘러들어가면 비난을 받을 수 있다는 것둘째, 중화의 문자인 한자를 대신해 훈민정음을 쓰면 스스로 오랑캐가 된다는 논리셋째 , 설총의 이두로써 가능한 일을 굳이 훈민정음으로 대체할 필요가 없다는 것넷째 , 창제 취지 중 하나로 훈민정음 보급이 억울한 사람을줄일수있다는 논리가 옳지않다는 것당시 대개의 유학자들은 성리학을 삶의 지표로 삼고, 동시에 대국인 중국을 섬기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겨 그들은 이 원칙을 국가를 유지시키는 철칙으로 여기고 이러한 철칙은 그들의 권력을 지키는 수단이었습니다.또, 그들 내면에 학자 또는 선비로서 갖는 권위주의가 도사리고 있었으니 문자는 자기들만의 것이고 학문은 자신들의 고유 영역으로 생각, 그들의 학문을 떠받치고 있는 것은 유학과 한자로 그들에게 평민은 그저 이두 정도나 알고 있는 무식쟁이였고 천민은 그것조차도 모르는 짐승같은 존재에 불과했습니다.이런 그들에게 훈민정음 창제는 달가운 것이 아니었으니, 반대하였고 세종은 그런 현실을 미리 간파, 비밀리에 제작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22
0
0
유럽의 켈트 신화라는 것은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켈트족이 믿던 켈트 다신교와 관련된 신화입니다.일종의 영웅신화로 보여집니다.
학문 /
역사
23.11.21
0
0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일좋아하는 삼겹살은 언제부터 먹기 시작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겹살 구이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나온 음식으로, 한반도에서 돼지고기를 구워먹는 문화 자체는 고구려때부터이나 당시 돼지고기구이는 양념구이로 구워먹는 경우가 많았고 삼겹살처럼 생고기를 불판에 굽는 형태는 흔하지 않았습니다.조선시대 전기에 고기는 수육, 국이나 찌개로 끓이거나 만두처럼 다른 음식에 첨가해서 먹었고 후기에 들어 간장, 고추장, 된장에 넣어 숙성기켜 비린내가 안나고 양념이 스며든 보관한 고기를 구워먹는 요리가 생겼습니다.언론에서 삼겹살이 처음 언급된 것은 동아일보 1934년 11월 3일치 4면으로 당시에는 세겹살이라 했습니다.삼겹살이 널리 보급된 것은 여러 설이 있으나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1980년대 강원도 탄광촌의 광부들이 기름기 있는 음식을 머그면 목의 먼지가 씻겨나가겠거니 하며 먹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1
0
0
영국에서 에펠탑을 경쟁하기 위해 똑같은 왓킨스타워를 건설한 배경과 지금은 철거된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왓킨스 타워는 영국 런던 웸블리 파크 에 있는 부분적으로 완성된 철제 격자탑입니다. 그것의 건설은 철도 사업가 에드워드 왓킨 경이 주도하여 도시의 북쪽에 있는 웸블리 공원에 358미터 높이의 방문객 명소를 만들기 위한 야심찬 프로젝트였습니다.런던의 위대한 탑으로 시판된 이곳은 파리 에펠탑의 높이를 넘어서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웸블리 공원이 휴양지로 부상한 것의 일환이었습니다.그 탑은 결코 완성되지 않았고 1907년 철거되었습니다.웸블리 공원은 1894년 5월 공식적으로 대중에게 개방되었는데 비록 탑의 건설이 아직 진행중이고 1단계가 아직 완성되지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공원은 1895년 동안 1만 2천명의 방문객들을 끌어 모았고 런던 시민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임이 증명되었습니다.1895년 9월 그 탑의 첫번째 단계는 약 47미터 높이에 서있는 것으로 완성, 이때 왓킨이 건강 악화로 은퇴하면서 일이 예정보다 늦어졌고 곧 그 구조물의 기초가 불안정하다는 것이 밝혀집니다.즉 비용을 줄이기 위해 수행된 찹의 다리 수가 줄어들면서 각 다리에 압력이 증가, 이것은 침하를 야기했습니다.1904년 ~1907년 사이 완성된 탑의 구간은 다이너마이트를 이용해 철거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1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