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을지문덕 장군은 살수대첩에서 어떤 역할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나라군이 압록강 근처에 다다랐을 때 고구려에서 을지문덕이 항복을 구실로 홀로 적군의 본진에 갔고, 별동대가 피로와 굶주림에 지쳐있어 작전을 실행하는데 문제가 없음을 직접 확인, 수나라군의 피로를 가중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교전을 강요하면서 수나라 군대가 발을 빼지 못하도록 짐짓 패배하는 척 더욱 깊숙이 뜰어들이면서 수나라 군대의 체력을 빼놓게 됩니다.지속적인 유인으로 수나라 군대를 평양성 30리까지 끌고 오는데 성공, 우중문에게 항복을 약속하는 듯한 거짓 항복 문서를 보냈습니다.수나라군이 도하를 시작해 총병력의 절반 쯤 강을 건너는 순간 고구려군은 전 병력을 집중시켜 최후 총공격을 개시하게 됩니다.을지문덕은 수나나라는 당대 동아시아 최강대국의 압도적인 군세를 맞아 적군의 야전 병력을 전멸시켜 고구려의 대승을 이끌었고, 이순신과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는 인물로 평가됩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이슬람을 믿는 국가는 왜 금요일이 휴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휴일이라는 개념보다 합동예배를 보는 날이 더 정확한 표현으로 금요일 한낮 예배를 주무아 라고 하는데 하루 다섯번씩 하느님께 기도하는 무슬림에게 일주일 중 가장 중요하며 꼭 모스크에 모여 기도를 드려야 하는 때가 바로 이때입니다. 이것은 꾸란에 계시되어있는 부분으로, 이는 창세기를 근거로 합니다.하느님의 천지창조 순서를 보면 하느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신 날이 여섯째 날이니, 이 날을 기념하여 사람들이 모여 하느님께 기도를 올린다는게 금요일 합동예배의 이유입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왜 딱히 종교색이 크게 없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양의 유교, 불교, 도교는 모두가 인이나 자비 , 영생불사 같은 관심사가 남을 공격하기보다 스스로의 수양을 얻으려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반대로 중동과 유럽은 대부분 일신교의 전통을 가지는데 일신교의 특징은 배타성으로 내가 믿는 하나님만 옳았으므로 다른 나라가 믿는 하나님을 이해하지 못하니, 여러 종교전쟁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만주족이나 일본에서는 왜 변발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 냉병기 시절 전투는 두꺼운 옷 위에 쇠로 된 갑옷을 입고 역시 쇠로 된 투구를 쓰고 격렬히 움직이는데 이때 체온이 급격하게 상승해 열을 빨리 식히기 위해 머리를 밀었습니다. 또한 변발이 유행했던 지역은 대부분 물이 부족하므로 스텝, 사막이거나 강수량이 적은 냉온대기후 지역들인데 물을 아끼기 위한 면도 있었습니다.또 가설이지만 , 변발이 매우 독특한 모습을 한 이유는 피아식별을 하기 위함으로 유목인들의 군대는 복식이나 무장에서 적군을 구별하기 어려웠기때문에 종족별로 고유한 헤어스타일을 고수하느라 그랬을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왕이 이닌 사람으로 조선왕조실록에 이름이 가장 많이 나오는 인물은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실록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 중 왕을 제외하면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조선 후기 정치가 송시열 입니다.송시열에 대한 실록의 기록은 총 2848건으로 생전기사가 2000건 가까이되고 사후에 그에 대한 언급과 사건도 1000건 가까이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조선시대 붓글씨체 중에 추사체라는 게 있는게 어떤 글씨풍을 말하는 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추사체는 조선시대의 문신, 서화가 추사 김정희가 완성한 글씨체 입니다.굵고 가늘기의 차이가 심한 필획과 각이 지고 비틀어진 듯하면서도 파격적인 조형미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입니다.오늘날의 한자서체는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의 다섯가지로 크게 구분됩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조선의 당파 이름이 동인, 서인, 남인 등 방향 이름으로 정해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인과 서인은 도성을 중심으로 하여 지어진 것으로 동인은 도성 동쪽 낙산 건천동에 김효원의 무리들, 서인은 도성 서쪽 정동에 살던 심의겸의 무리들북인은 북악산 아래 살던 이발의 무리들, 남인은 남산 아래 살던 우성전의 무리들을 말합니다.즉 처음의 시발점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름입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조선 왕조에서 장희빈을 제외하고 후궁으로 입궁하여 중전이 된 사람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후궁 출신 중전으로는 안순왕후, 폐비 윤씨, 정현왕후, 장경왕후, 희빈 장씨 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삼국시대 장수 중 여포는 실제로도 최강의 장수가 맞았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사에서는 전한 시대 비장이라 불린 이광과 비견될 정도의 무명을 떨쳤고 조만전에서는 인중여포 마중적토로 기록되는 등 당대 이름을 날리던 여러 명장들 중 특히나 명성을 떨치던 맹장이었습니다.중국에서 관우를 더 치켜올리기는 하나, 여러 매체에서 여포가 최강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어느정도의 실력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비장이란 매우 날렵하여 전장을 날아다니는 장수라는 뜻으로 기마술과 마상 사격에 능할 정도로 상당히 작고 호리호리한 체격을 가진 인물을 말하는데 이는 중국 민간에 전해지는 여포의 모습 역시 이와 다르지 않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이방원과 정몽주의 사이가 나빠진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몽주가 이성계 일파와 갈라서게 된 결정적 이유는 이성계 일파가 고려체제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세우는 혁명을 모도했기 때문으로, 고려사회의 체제를 지키며 개혁을 도모하려는 정몽주의 체제수호론과 고려사회의 체제를 폐기하고 새로운 체제를 수립하려는 이성계의 역성혁명론이 갈라지게 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11.15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