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병자호란때 의병이 없었던 이유는 무엇 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 이후 정치적 혼란, 경제적 파탄, 사회적 불안이 연속되면서 왕조를 중심으로 한 당국과 백성 사이에 일체감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숫자가 최초로 사용된 기록은 어떤 시기에 어디에서 발견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라비아 숫자에 관한 최초 기록은 825년 알 콰리즈미가 쓴 책에서 찾을수 있습니다.기원전 4세기경 이루어진 알렉산더의 정복 전쟁을 통해 인도인들은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그리스 수학을 접하게 되고 5세기경 인도인들은 그리스와 비슷한 자신들의 숫자 체계를 바빌로니아 방식으로 바꾸는데 그들은 60진법과 달리 10진법 체계를 사용했습니다.10진법은 약 2000년 전 인도에서 시작되었고 그로부터 약 1000년 후 힌디어 원전의 아라비아 번역본이 라틴어로 다시 번역되어 유럽에 전해집니다.오늘날 사용하는 숫자 체계는 1442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서양에서 최초로 활판 인쇄술을 발명한 다음부터 표준화되었습니다.인도의 숫자 체계는 매우 편리해 주판의 도움 없이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같은 연산들을 쉽게 할수 있었고, 인도 숫자에 숙달된 사람들은 주판을 다루는 사람보다 더 빨리 계산이 가능했습니다.수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의 상형문자 기호부터 혁신적인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에 이르기까지 진화해 우리 삶의 다양한 측면을 형성했으며 세계를 이해하고 수량화하려는 노력은 각각 고유한 특징과 영향력을 지닌 다양한 수치 시스템의 탄생으로 이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케이팝이 인기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10년 유명 가수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한류 열풍이 불면서 신생 아이돌 그룹이 등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대중들의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철저하게 준비된 그룹만이 생존하게 됩니다. 이에 잘 준비되고 실력이 뛰어난 가수들이 등장하면서 한류 열풍을 주도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아비뇽 유수 사건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랑스 왕이 교황청을 자신의 지배하에 두었던 시기로,프랑스의 필리프 4세는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와 대립, 그는 삼부회를 소집해 지지를 받고 교황에게 도전해 승리하게 되며 교황은 패배 직전 사망하고 그 뒤 프랑스인이 계승하여 교황청을 아비뇽에 두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어디에 물어봐야 할 지 몰라 여기에 물어봅니다. 고양이를 '나비'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양이를 나비라 부르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습니다.원숭이처럼 나무를 잘 타기 때문으로 원숭이의 옛이름인 잔나비에서 따와 나비라고 불렀다는 설고양이의 쫑긋하고 세모난 귀모양이 나비를 닮아서라는 설고양이의 사냥본능 때문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가 잡는 고양이가 나비를 보고 잡으려는 모습에서 나비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라파엘로의 대표작은 어떤 작품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의 작품으로는 피레트로 벰보의 초상, 삼위일체를 묘사한 행렬용 깃발, 천사, 솔리 성모, 처녀의 결혼 등이 있습니다.단정한 선과 형태, 명료한 색상, 기품있는 인물의 자세 연출, 배치와 구도의 극한에 다다랐으며 고전 미술의 최고 덕목이자 서양 미술사에서 오래 교과서처럼 여긴 우아한 아름다움의 원형을 만들었으며 서정적인 동시에 역동적이며 회화적으로 풍요로우면서도 조각적인 견고함을 갖추었습니다.그는 피렌체에 머물면서 미켈란젤로의 작품에서 인체 해부학에 대한 지식을 배웠고 레오나르도 다빈치로부터 간결한 피라미드 구조와 효과적인 빛의 사용, 친밀감, 부드러운 색조 변화로 형태에 입체감을 주는 스푸마토 기법을 익혀 이를 통해 호소력 짙은 고요하고 평온한 작품을 창안했습니다.로마로 건너가 미켈란젤로의 시스티나성당 천장화에서 조형적 파악법을 배워 공교한 율동적 구도를 바탕으로 고전적인 격조 높은 걸작을 이룩했습니다.
학문 /
미술
23.11.13
0
0
중국의 자금성은 왜 나무도 별로 없고 그늘이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무는 자객이 숨을 수 있으므로 심지 않았습니다. 즉 자객이 숨어드는 것을 원천봉쇄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몽골에선 몽고라는 말을 굉장히 싫어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은 수천년 전 흉노시대 때 몽골로 인해 수많은 전쟁에 시달려야 했고, 고생도 많이 해 만리장성도 결국 흉노가 무서워 만든 것입니다.이런 민족이니 과거 중국 입장에서 몽골이 싫고 비하하고 싶었으므로 등장한 것이 몽고 입니다. 우매할 몽, 옛 고의 조합으로 이는 우리는 조센진으로 불렀던 의미와 비슷한 느낌입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날짜를 세는 용어가 하루 이틀 사흘 나흘로 이어지는데 사흘 니흘의 어원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서 셋은 솋으로 나타나므로 이에 -ᄋᆞᆯ이 붙어 셰ᄒᆞᆯ이 되었고 나흘도 마찬가지로 -ᄋᆞᆯ이 넷을 뜻하던 녷에도 붙어 녜ᄒᆞᆯ이었다 변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양쯔강은 중국에서 양쯔강으로 불리우지 않고 장강으로 불리운다고 하는데 양쯔강은 어디서 유래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자강은 원래 장강의 최하류 300KM정도를 부르는 말이었으나 와전되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이 됩니다.원래 전체 강의 이름은 장강이고 양저우~쑤저우~상하이 인근 장강 하류를 일대 주민들이 부르는 명칭이 양자강이라 불렀는데 그 지역에 파견나왔던 서유럽 선교사가 해당 강 전체를 양자강이란 명칭으로 서구에 알리면서 장강의 일부를 의미하던 양자강이 장강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3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