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관료들은 출퇴근을 하여 궁에 출입을 했는데 식사는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수라간은 왕의 식사만을 만들 수 있는 곳이었으므로 관료들은 주로 도시락을 이용해 식사를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세상에서 가장 긴 소설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가장 긴 소설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중입니다.쪽 수로는 4,215쪽입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궁관중에서 가장높은직책인 상궁제도는 언제부터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궁은 고려시대 처음 기록이 보이는데 고려사 백관지에 내직으로서 현종 때 상궁, 상침, 상식, 상침의 직이 있었다고 하며 현종의 세가에서 22년 3월 궁인 한씨로 상궁, 김씨로 상침, 한씨로 상식, 서씨로 상침을 삼았다는 기록이 있습니다.상궁제도는 중국의 수나라에서부터 시작되어 당, 송, 명에 이르기까지 존석, 청대에 폐지되며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내명부제도가 정비됨녀서 궁관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궁내 사무를 총괄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조선시대에서는 노비가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정도나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공노비 수를 보면 태종 10만, 세종 20만, 성종 35만으로 전체 노비의 10%정도가 공노비 였습니다.노비의 수는 꾸준히 증가해 40~50%수준을 유지하다 17세기 조선 전체의 인구의 60%에 이르게 됩니다.그러나 18세기 이후 점점 줄어들게 되는데 납속책이 있어 돈을 주면 노비에서 해방, 화폐경제의 등장으로 땅이 없어도 먹고 살수 있게 되면서 도망 노비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18세기 후반 약 30%정도 감소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조선시대에서는 밀가루를 어떻게 공수해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밀은 보리와 함께 양맥이라 하여 이모작용으로 널리 재배되었고, 밀가루는 연자방아나 절구를 제분에 이용했으므로 밀의 대량 제분이 불가능했습니다.쌀보다 귀해 양반들이나 왕족들만 즐길수 있었고, 사신들이 방문하는 시기, 혼례, 환갑 등의 집안 경사가 있는 날 밀가루를 이용해 만두, 면을 만들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조선시대에는 도시락을 많이 활용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도시락은 식사가 아닌 부와 지위가 있는 사람들이 나들이를 가 제대로 먹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습니다.따라서 대나무, 자개장, 놋, 백자로 만든 도시락들이 많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일본의 도쿄라는 지역은 어느정도의 인구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의 인구는 약 1억 2600만명으로, 도쿄의 인구수는 약 1400만명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러시아나 중국의 술은 왜이렇게 독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의 몇몇 지역과 러시아는 아주 추운날씨를 가졌으며 습도가 높기 때문에 식중독의 위험에 따라 독한 술을 마시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조선시대 수라상은 상궁이아니라 누가 차린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라상은 대령숙수라 불리는 남자요리사들이 수라상을 차렸고 궁녀들은 숙수들이 퇴근한 야간에 급히 식사가 필요하거나 왕실 어른들의 간식 정도를 만들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황색 저널리즘이라는 게 당시 어떤 것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황색저널리즘은 독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선정적이고 비도덕적인 기사들을 과도하게 취재, 보도하는 경향을 말합니다.183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저속하고 선정적인 기사를 위주로 하여 발행되는 신문으로, 노골적인 사진과 자극적인 기사들을 게재해 독자의 감각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발생부수를 늘립니다.
학문 /
역사
23.11.12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