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김종서 장군의 업적에 대해서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종서는 1383년 충남 공주에서 무관 김추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405년 문과에 급제, 1419년 사간원우정언으로 등용되고 이어 지평, 집의 , 우부대언을 지냈습니다.1433년 함길도도관찰사가 되어 두만강과 압록강 일대에 출몰하는 여진족들의 침입을 격퇴하고 6진을 설치해 두만강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장, 1435년 함길도 병마도절제사를 겸직하면서 확장된 영토에 조선인을 정착시켰고 북방의 경계와 수비를 7년동안 맡았습니다.여진족들의 정세를 탐지, 보고하고 그에 대한 대비로 비변책을 지어 건의, 세종의 명으로 변방에서 중앙의 관식을 맡으며 영향력을 가진 대신으로 역할했는데 1440년 형조판서로 승진하고 예조판서, 우참찬을 역임, 1449년 권제 등이 고친 고려사가 잘못되었다하여 왕명으로 개찬하게 되자 춘추관지사로 총책임을 맡아 1451년 간행했습니다. 그는 변방의 장수에서 역사서 편찬에도 능력을 발휘한 인물입니다.평안도도절제사를 거쳐 1450년 좌찬성으로 평안도도체찰사를 겸하며 다음해 우의정에 오르고 1452년 세종실록의 총재관이 되었으며 고려사절요의 편찬을 감수하여 간행했습니다.세종의 뒤를 이은 문종이 재위 2년 만에 죽자 영의정 황보인, 우의정 정분과 함께 좌의정으로서 문종의 마지막 유명을 받아 12세의 어린 단종을 보필, 대호라는 별호까지 붙은 지혜와 용맹을 겸비한 명신이었으나 왕위를 노리던 수양대군에 의해 1453년 두 아들과 함께 집에서 격살되고 대역모반죄라는 누명까지 쓰고 효시됨으로 계유정난의 첫 번째 희생자가 됩니다.1746년 복관되었으며, 시조 2수가 전해지며, 저서에 제승방략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도르곤은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르곤은 태조 누르하치의 14번째 아들로, 형이자 대청제국의 황제인 태종 홍타이지 밑에서 중용되어 내몽고를 정벌하는데 공헌하였으며 예친왕으로 봉해졌습니다.정치적으로는 홍타이지에 필적할 만한 세력을 보유, 태종이 죽고 순치제가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정친왕 지르갈랑과 함께 황제를 보필하며 국사를 맡아보는 보정왕으로서 봉해졌습니다.도르곤은 순치제의 섭정으로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가 되었으며 정친왕 지르갈랑을 누르고 대청의 최고 정치실력자가 되어 정국 운영의 주도권을 장악, 1644년 명나라 내분을 이용해 명의 장수인 오삼계의 투항을 받아냈으며 그를 선도로하여 명나라의 수도인 베이징에 진격, 이자성을 토벌하고 북경을 대청의 수도로 삼았습니다.이어 중국 전역을 무력으로 평정, 한편으로는 명나라의 유교적 이념과 정치제도를 도입해 한인관료를 등용했으며 이들의 충정아래 만주족이 중국대륙을 지배하는 기초를 확립했습니다.도르곤은 이러한 공적으로 황부섭정왕으로 봉해졌고 의황제성종으로 추존되었으나 그가 1650년 사냥을 하다 갑자기 사망했고 죽은 후 순치제에 의해 국권을 찬탈하려 시도했다는 죄목을 받고 모든 작위를 박탈, 128년이 지난 1778년 견륭제 때 명예가 회복되어 복권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과거 사람들도 암에 많이 걸렸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도 암은 존재했으며 지금과는 명칭이 달랐습니다.동의보감에 따르면 옹저(피부암을 포함, 외견상 드러나는 암), 폐옹(간암), 장옹(장암), 골옹(골수암) 등 운모를 환으로 만든 운모고를 먹거나 붙인다 기록되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을지문덕이 살수대첩에서 대승을 거뒀는데?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느 한쪽이 더 우수했다는 평가를 내리기 어려우나 을지문덕은 별동대를 평양성까지 유인하면서 지치게 만드는 전략을 구사했고, 전의를 상실한 수나라 군대가 회군을 결정하고 살수를 건널때 일대반격전을 벌여 30여만의 병력 중 2700명만 살아 도주하는 괴멸적 타격을 입혔으니, 전략적으로도 우수했다고 봅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1987년 KAL기 폭파사건의 공작원 김현희는 어떻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현희는 범행 후 사형 판결을 받았으나 사면되었습니다.이는 북한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캐내기 위한 차원에서 사면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상앙의 변법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4세기 진의 상앙은 법가 사상에 입각한 일련의 부국 강병을 위한 개혁 정책을 마련합니다. 군현제의 실시와 새로운 토지, 조세, 징병 제도를 만들고 법을 엄격하고 획일적으로 시행할 것을 강조, 모든 사람들에게 농사나 군역과 같은 생산적인 직업을 갖도록 강요했고, 상업을 억제하였으며 , 백성들 사이에 상호 감시 체제를 세웠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중국의 깨진그릇이 좋은 의미라고 여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은 깨진 그릇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음식점에서도 접시에 이가 가고 금이 생길 정도로 아주 오랜 시간동안 역사와 고객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는 증거로 세월의 흔적 자체를 매우 자랑스럽게 여깁니다.이는 그릇에 이가 나가면 복이 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고인돌이 권력있는 사람의 무덤이라는 것은 어떻게 알게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돌을 운반해 올리는 것 자체가 여러 사람을 이용해야 하는 것, 고인돌에서 발견된 청동검, 석검, 거울 , 토기 등으로 추정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결혼 졸업이라는 졸혼의 의미와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졸혼은 결혼을 졸업한다는 것으로 혼인 관계는 유지하되 서로의 삶을 터치하지 않고 자신의 인생을 즐기는 삶을 의미합니다.일본 작가 스기야마 유미코가 2004년 쓴 책 <졸혼을 권함>에서 처음 등장한 신조어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7
0
0
무신론의 대표적인 학자는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랑스의 계몽사상가 돌바크는 <자연의 체계>에서 종교가 자연과 이성에 모순된 것이라 비판하며 도덕을 모든 종교적 원리와 구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독일의 포이어바흐는 <기독교의 본질>에서 인간이 자신의 내적 본성을 외부로 투사하여 신을 창조했다 주장합니다.
학문 /
철학
23.11.07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