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오늘이 복날 중복이라고하는데 어떻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복의 유래는 고대 중국 진, 한나라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조선 후기 간행된 동국세시기에는 사기에 이르기를 진덕공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 사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를 방지했다 라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단순한 기운을 보양하기 위함이 아니라 해충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행위의 일환으로 개를 잡았고 삼복 일을 그 날로 잡아 액운을 막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더치페이의 유래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더치 트리트에서 유래한 말로 본래 더치 트리트는 자신이 먹은 음식값을 자신이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한 턱을 내거나 대접하는 네덜란드 문화를 이르는 단어였습니다.전근대시기 체면을 중시한 영국이 네덜란드인들은 자신이 먹은 것만 계산하는 째째한 민족이다 라는 인식을 심어 네덜란드인을 비하하기 위해 의미를 왜곡해 사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관동팔경에는 어떤 장소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동팔경은 관동지방 즉 강원을 중심으로 한 동해안에 있는 8개소의 명승지로 고성의 청간정, 강릉의 경포대, 고성의 삼일포, 삼척의 죽서루, 양양의 낙산사, 울진의 망양정, 통천의 총석정, 평해의 월송정인데 월송정 대신에 흡곡의 시중대를 넣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7.21
0
0
과거 신분증으로 사용되던 호패는 언제부터 사용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패는 원나라에서 시작해 고려시대 공민왕 치세를 거쳐 조선시대에 들어선 후 태종에 의해 처음 보급되어 점차 활성화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성종때 윤씨가 폐비가 된 이유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폐비 윤씨는 다소 과격한 언행으로 폐출되어 사가로 내쫓겼고 끝내 사약을 받아 숨졌는데성종에게 다소 불경한 말과 원망 섞인 말을 했는데 성종을 볼때 낯빛을 바꾸고 발자취를 없애 버리겠다는 말을 했으며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거나 반신불수로 만드는 비법을 적은 책을 상자속에 숨겨두었다가 대비에게 발각, 또 독약인 비상을 묻힌 곶감을 가지고 있다 들키거나 나무패의 말뚝을 박는 등의 주술행위를 저질렀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유교의 제사문화는 언제 우리나라에 정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전통적인 제사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한자 문화권 바탕에 한반도의 지역적 특성이 섞여 형성된 것으로 고대 중국 상나라의 왕 조갑이 주변 토착신을 배제하고 조갑의 직계 조상만 섬기는 조상신 풍습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조상을 섬기는 문화에서부터 제사가 시작되었습니다.제사는 근세에 이르러 유교와 결합하여 조상숭배의 제도로 고착되었습니다.국가 형태가 완비된 후 사직과 종묘, 원구, 방택, 농업, 잠업 등 국가 경영과 관련있는 제례가 갖추어졌고 조상 숭배 사상과 함께 보편화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우리나라의 사교육문화가 발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표적인 이유로 우리 나라 부모는 수능 경쟁에서 이기면 자식에 대한 투자를 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다고 여깁니다.이에 대학을 좋은 곳을 가면, 좋은 곳에 취직할수 있다는 믿음으로 인해 생겨났고, 자식을 훌륭하게 키워 보상을 받길 원하는 심리적인 요인과, 아이만큼은 조금 더 좋은 삶을 살수 있게 하고 싶은 마음에 다양한 사교육을 시키게 됩니다.또한 취업에 있어 대학을 보는 우리나라의 문화로 인해 좋은 대학은 곧 좋은 곳에 취업이 가능하다는 인식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과하지욕'이라는 말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하지욕이란 가랑이 밑을 기어가는 치욕을 참는다는 뜻으로 큰 뜻을 지닌 사람은 쓸데 없는 일로 남들과 다투지 않음을 빗대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조선시대 왕들의 출퇴근 시간은 언제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왕들은 현대처럼 따로 출퇴근 시간이 정해지지는 않았으나 당시 일정을 보면, 5시 일어나 왕실 아침문안을 시작으로 했으며, 밤 9시까지 왕실 저녁문안을 드린 후 야참을 즐기고 상소문, 독서를 하다 11시쯤 취침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오래전 우리 조상님들은 손톱,발톱을 어떻게 처리하였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손톱과 발톱은 위생상의 이유로 정리했습니다.동의보감에서 나오듯, 위생상의 이유로 정리하는데 주로 가위를 이용해 잘라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