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후기 인상주의와 신인상주의 학파의 비슷한 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인상주의는 인상주의의 목적을 계승합니다. 회화의 본질을 찾고자 했던 인상주의의 목적을 신인상주의도 그대로 가져와 회화의 본질을 탐구합니다.인상주의가 표현하고자 했던 평면성을 신인상주의도 표현하고자 합니다. 인상주의 마네가 원근법과 명암법을 거부하고 회화의 평면성을 시도했듯 신인상주의도 회화의 평면성을 시도합니다.인상주의에서 전개했던 빛에 대한 탐구가 신인상주의에서도 시도됩니다. 인상주의 모네가 야외로 나가 시시각각 변하는 인상의 색을 담아냈듯 신인상주의도 색채연구를 통해 빛을 탐구합니다.차이점으로는 신인상주의는 인상주의의 무너진 구도와 형태를 거부합니다. 신인상주의는 형체를 정확히 알수없는 화면구성을 비판했고, 이에 형태와 구도를 되살리고자 명확하게 형태를 표현하고 견고한 화면 구성을 시도합니다.인상주의의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색표현을 비판하고 과학적으로 색을 표현합니다. 신인상주의는 빛의 색을 과학적으로 분석, 분할묘법이라는 표현기법을 발명하게됩니다.
학문 /
미술
23.07.11
0
0
흥선대원군은 왜 쇄국정치를 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흥선대원군 쇄국정책의 큰 이유는 서양과 있던 두번의 전쟁때문으로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입니다.긴 시간동안 프랑스와 전쟁을 벌였던 병인양요와 미국과 전쟁을 벌인 신미양요가 합쳐지며 서양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변하게 되며 쇄국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병인양요때 프랑스는 왜 들어 왔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병인박해때문으로, 병인박해는 1866년 조선 조정에서 가톨릭 교도를 대량 학살한 사건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거북선이 3층과 2층 두 가지 설로 나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북선에 대해 가장 논문을 발표한 언더우드 호레이스가 거북선의 내부 구조를 2층으로 추정했습니다.1층에는 노를 젓는 격군과 2층에 전투원이 배치되었다는 것 주장으로 거북선에 대한 국내에서의 본격적인 연구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면서 김재근 교수는 2층 구조설에 동조한 반면 남천우 교수와 장학근 이순신 연구소 소장은 기존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거북선의 2층 구조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거북선의 전투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려면 거북선의 구조는 3층이었다는 것으로 1층에 군량 무기창고 군졸의 침실과 2층의 갑판 노군과 사수의 전투장소, 3층은 포수들의 전투장소로 운영되었다고 합니다.3층 구조를 주장한 장학근 소장은 한국식의 노를 사용하는 것을 입증하고 판옥선과 거북선의 연속성을 찾으려 하였다는 점, 전투원과 격군의 활동공간이 구분되어 거북선의 위력을 극대화 할수 있는 전술적 구조라는 점에서 가능성이 높다는 것으로 2004년 8월 뉴욕에서 채색 거북선의 그림이 공개되면서 3층 구조설에 힘이 실리게 되었습니다.또한 충무공전서의 개판포구는 거북선의 좌우 방패의 포구와 별도로 개판에 포구가 있었다는 근거를 내세워 3층 구조가 설득력을 얻고 있는데 이는 2층과는 별도의 다른 층이 존재하고 그곳에서 포를 쏘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문 /
미술
23.07.11
0
0
바리새파와 사두개인은 어떤 사람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리새라는 이름은 분리시키다라는 뜻을 가진 히브리어 파라쉬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되며 바리새파는 시리아의 안티오커스 에피파네스가 유대교를 박해할 당시 이스라엘에 등장한 하시딤의 후예로 알려져있습니다.샴마이, 힐렐, 가말리엘 등 최소 3개의 학파에 약 6000명이 헤롯 당시에 활동했으며 단순 회원으로부터 가장 높은 하시드까지 다양한 등급이 존재했고 회당에서 주로 활동했으며 장로들의 전통을 중시했습니다.정결법과 십일조를 강조하고 천사의 존재, 사후 심판, 부활을 믿었으며 안식일을 철저하게 준수했는데 안식일에 집 짓는 일을 생각했다는 이유만으로 다시는 집을 짓지 않도록 결심했습니다.바리새인들은 길을 가다가도 기도시간이 되면 그 자리에 멈춰 기도를 하는데 뱀이 발목을 타고 올라와도 내버려두었고 이들은 교리 논쟁에서 승리하는 날을 기념일로 정하고 자신들의 업적을 기리는 달력을 만들었습니다.사두개인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고 , 주로 부유한 제사장 가문 혹은 귀족계근에 속한 사람들로 로마가 유대를 합병시켰을 때 대제사장은 유대인의 공식적 대표자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사두개인들은 항상 지배계급에 머물렀고, A.D 60년과 70년 사이 대제사장은 항상 사두개인이었으며 이는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의미하며, 바리새인이 믿는 교리를 배척했습니다.천사와 영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고 사후심판과 부활을 믿지 않았습니다.
학문 /
철학
23.07.11
0
0
머피의 법칙의 반대되는 법칙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샐리의 법칙은 인생에서 잘 될 가능성이있는 일은 우연히라도 꼭 그렇게 된다는 법칙으로 머피의 법칙과 반대의 개념을 가지고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화가가 되려면 어떤 과정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가가 되기 위해서는 미술대학에 진학하여 진출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는 보통 실기 시험을 치기 때문에 중, 고등학교 때 미리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학업과 미술 실기 준비를 병행하거나 예술 , 미술 고등학교에 진학해 학업과 미술 실기를 준비하기도 합니다.또 정규교육과정을 거치지 않고 개인적으로 공부, 훈련해 일정한 경지에 올라 미술 공모전 등에 입상하여 화가가 되기도 합니다.
학문 /
미술
23.07.11
0
0
서양에서는 왜 역사적으로 집 안에서도 신발을 벗지 않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난방 체계의 차이 때문입니다.벽난로와 같은 온열기구를 사용하는 서양 문화권에서는 바닥이 차갑기 때문에 그 위에서 자는 침대문화가 생겼고, 또 실내에서 신을 벗지 않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화가와 화백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가와 화백은 같은 의미이지만 차이로 보면 화가를 높여 부르는 의미로 화백, 화공이라 칭합니다.
학문 /
미술
23.07.11
0
0
신미양요때 어떻게 미국을 이겼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미양요에서 우리군의 피해가 컸지만 미국이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후퇴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조선이 이긴 전쟁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조선과 미국은 광성보에서 격렬하게 맞붙었는데 패배가 눈에 보이는 상황이었지만 쉽게 항복하지 않았고 광성보가 함락된 이후에도 조선의 저항이 계속되어 한양까지 가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한 미국은 그대로 병력을 철수시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973
974
975
976
977
978
979
980
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