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포도를 처음 재배한 원산지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산지는 오늘날의 중동지역으로 현재 조지아 지역에 위치한 , 지금으로부터 약 8000년 전의 고대 유적에서 포도씨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인간이 포도를 재배한 것은 그 이전으로 추정하며 한반도에는 삼국시대 무렵 전래된 것으로 봅니다.
학문 /
미술
23.07.07
0
0
문학)성인들은 어떤 책들을 읽는 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인들이라고 해서 굳이 성인에 맞춘 책이란 것이 있을지 의문입니다.좋은 책이란 것이 단순히 글감이나 책의 내용 등으로 판단된다기 보다 본인의 기준에 맞춰 판단하는 것이 좋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본인이 읽고 즐겁고 배울수 있는 책이라면 어떠한 분야이던 관계 없이 다 좋은 책일텐데요다만 성인이라는 개념으로 굳이 좋은 책을 결정해야 한다면, 철학 관련 서적이 제일 좋을 듯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우리나라의 과거 놀이 중에 투석전은 언제부터 생긴 놀이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옛 기록에 따르면 석전은 최소 삼국시대 고구려때부터 있었다고 합니다.이 시기 석전은 이후 조선시대 유행한 것과 기록상 다소 차이를 보여 풍년을 기원하는 주술적인 성격이었을 것이라 추측하거나 조선에서 명절이나 명나라 사신을 접대 할 때 석전을 행한것으로 보아 무언가 특별한 의미를 담아 했을 것으로도 보입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클래식의 국민악파는 어떤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민악파 특징은 독일, 오스트리아의 기악과 이탈리아 오페라의 주도적인 영향에서 탈피해 작곡가들이 자신의 조국 민요, 춤곡, 전설, 국민주의 문학적 소재를 살려 그들 고유의 리듬과 가락을 넣은 것입니다.러시아의 미하일 글린카, 아나톨리 리아도프, 동유럽의 판초 블라디게로크, 제오르제 에네스쿠, 북유럽의 칼 닐센, 장 시벨리우스, 스페인의 이삭 알베니스, 마누엘 데 파야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07
0
0
곤룡포는 언제부터 대홍색으로만 입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홍룡포를 입기 시작한 것은 세종 26년 , 1444년부터 입니다.이전에는 태조 이성계의 어진에서 나온 바와 같이 파란색이었으나 이는 명 태조 홍무제가 조선과의 기 싸움으로 이성계에게 고려의 군주 대행이라는 뜻을 가진 권지고려국사라는 직책만 내리고 바라던 조선왕 책봉을 안해준것이 발단이었고 조선왕 책봉은 태종 1년 명 혜종 건문제가 태종 이방원을 정식으로 책봉한 이후부터였으며 이후 세종시대부터 새 군주가 즉위하면 명나라 쪽에서 단령과 단삼을 내려줬지만 양란 이후 명나라는 망했고 이후 조선에서 알아서 만들어 입게 되었고 단삼은 원삼으로 바뀌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훈민정음의 혜례본과 예의본, 언해본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례는 성삼문, 박팽년 등 세종을 보필하며 한글을 만들었던 집현전 학사들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만든 원리와 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 글 입니다.임금의 글- 어제 서문, 본문: 세종이 간략히 해설한, 글자의 운용 방법신하의 글- 해례 / 제자해: 글자 창제에 관한 해설, 초성해: 초성 글자에 관한 해설, 중성해: 중성 글자에 관한 해설, 종성해: 종성 글자에 관한 해설, 합자해: 초중종 글자를 합한 글자에 관한 해설, 용자례: 글자를 활용한 예시정인지 후서- 정인지 서문의 위치를 따르면 발문에 가깝습니다.예의본은 해례와 예의가 모두 포함된 해례본과 달리 예의 부문만 들어가 있습니다.언해본은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을 우리말로 번역한 것입니다.
학문 /
미술
23.07.07
0
0
조선시대에 정약용도 천주교를 다녔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약용은 천주교로 세례명은 사도 요한 입니다.그러나 한 차례 가톨릭 신앙을 포기했는데 이후 다시 가톨릭으로 복귀했는지에 대해서는 계속 유교로 있었나 다시 복귀했나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서희의 외교담판으로 강동6주를 손에 넣게되었습니다. 그 역사적 의미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희의 담판은 당시 동아시아 최강국 요나라를 최종적으로 외교담판을 통해 물리친 것에 의의가 있습니다.당동 6주는 고려가 북방과 교류하고 이들의 침입을 물리치는데 중요한 전진 기지 역할을했고, 이곳을 개척함으로써 고려는 압록강 하류 일대를 확보할수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40살이 된 기념으로 볼 만한 영화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40살 관련 영화로는 러브, 어게인40살까지 못해본 사람캘버스턴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노다지라는 단어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다지는 어원이 무엇인지 정확하지 않습니다.과거 이국인에 의한 금 채굴이 활발했을 때 금광을 발견하면 외국인이 손대지 말라고 노 터치 라고 한것을 노터치-> 노타치->노다지라고 잘 못 듣고 , 금광의 광맥= 노다지 라고 인식한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7
0
0
991
992
993
994
995
996
997
998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