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이성계가 새로운 국가 이름을 조선이라고 지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말 혼란기 황산대첩 등의 활약으로 명장으로서 명성을 얻은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으로 고려를 멸망시키고 옛 고조선의 이름을 그대로 가져와 건국합니다.1392년 음력 7월 이성계가 새 왕조의 첫 군주로 즉위하나 국호는 그대로 고려라 합니다. 고구려에서 비롯된 오랜 전통의 고려라는 이름을 새왕조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았고, 이성계와 건국 주도세력은 1392년 11월 명이 새 국호가 무엇인지 빨리 알리라고 요구하야 그때야 비로소 신하들을 모아 의논해 조선을 새국호로 정하게 됩니다.조선은 고조선에서 비롯된 것으로 고려 후기 주요 지식인 사이에서 대두한 단군으로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이어져왔다는 역사계승의식을 담고 있었습니다.이 땅에 유교 문명이 처음으로 자리를 잡도록 한 인물이라고 유학자들이 믿은 기자도 고조선의 국왕이었다고 전하고 있어 유교를 받드는 핵심 지배층에게 조선은 새 왕조국가의 국호로 삼기 충분한 조건을 갖춘 이름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18세기 국어에는 방점이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구권 서적또한 일본어 중역으로 들어오던 1980년대 이전 책에서는 흔히 찾아볼수 있었으나 가로쓰기가 표준화됨과 문장 부호가 전반적으로 서구화 되고 조판이 컴퓨터와 되면서 차츰 사라졌습니다.즉 17세기 방점 표기는 사라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토종닭은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은 후 토종닭은 달걀을 적게 낳는다는 이유로 사육농가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었고 일제강점기 양계업이 활성화되면서 일본에서 들여온 개량종에 밀려났으며 한국전쟁으로 인해 토종닭의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전쟁 후 복구사업의 일환으로 육계 전용종이 미국에서 수입되면서 재래종 토종닭을 만나기 어려워 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양주는 우리나라 역사상 언제 처음 등장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0년대까지 한국은 양주 원액의 수입과 사용을 통제, 1950~60년대 위스키 원액의 유통이 아예 금지된 시절 주정에 위스키 향료와 색소를 넣은 물건이 인기를 끌었는데 국제 양조장에서 생산해 1950~60년대를 풍미한 도라지 위스키로, 희석식 소주나 리뉴얼된 후의 갶틴큐 처럼 주정에 색소, 위스키 향을 혼합한 것으로 위스키 원액은 한방울도 들어가지 않은 가짜 위스키였습니다.1970년대 들어 위스키 원액의 수입이 제한적으로 허가, 백와양조, 진로, 오비씨그램 등의 업체가 위스키를 생산합니다.그러나 이 역시 원액 100%는 아니었으며 1984년 원액 수입 규제가 완전히 풀려 썸씽 스페셜, 패스포트 등을 필두로 원액 100% 진짜 위스키가 시판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조선시대에 훈민정음이 반포되고나서 백성들에게 교육을 시키는 기관이 따로 설립되었나요? 어디서 교육을 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446년 음력 9월 훈민정음 반포, 훈민정음 해례본이 같이 간행되었는데 이 책에 훈민정음의 창제목적과 원리, 사용법 등을 설명했습니다.세종은 하급 관리를 뽑을 때 훈민정음을 시험 과목에 추가, 삼강행실과 같은 국가 윤리를 훈민정음으로 풀어 백성들에게 가르치도록 했습니다.사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게 했고 백성들이 관가에 제출하는 서류를 훈민정음으로 작성토록하며 형률 적용 과정에서 그 내용을 훈민정음으로 번역해 알려주도록 했습니다.궁중의 여인들에게 훈민정음을 익히도록 하고 세종 자신은 조정의 대신과 기관에 훈민정음으로 글을 내리기도 했으며 이후 민간과 조정의 일부 문서에서 훈민정음을 사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신라의 김유신 장군을 흥무대왕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유신이 사망하고 162년 후 흥덕왕이 김유신은 신하였으나 삼국 통일을 이루는 큰 공을 세웠고 많은 백성들이 받들고 있으니 왕으로 부를만 하다 해서 흥무대왕으로 높여 불렀습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일본 야쿠자에 대해서 궁금한데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야쿠자는 본래 바쿠도와 데키야 라는 두 개의 기원을 가지며 바쿠도는 헤이안 시대로 임협의 무리인 협객의 기원은 무로마치 시대로 도세이닌으로 불렸습니다. 데키야는 야시라고도 부르며, 에도시대, 도박은 중범죄로서 엄하게 다루었는데 에도 중기 이후 상습적으로 도박을 행하던 도박집단이 나타나 현대에 이릅니다. 에도의 야쿠자와 교토, 오사카 등의 가미가타 라는 야쿠자는 구별되며 데키야는 히닌 신분으로 구성되며 에도시대에는 절과 신사의 경내 등에서 도박판을 벌여 수입을 얻었고 이를 데라제니라고 합니다. 도시뿐 아니라 지방에서도 존재, 근래에 이르러 사회 구조 밖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고구려의 연개소문은 왜 왕에 안 오른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자신을 지지한 세력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고씨가 계속해 집권해있던 것을 쿠데타를 일으켜 뒤집게 되면 연개소문 자신을 지지할 뒷받침이 될 세력이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조금 어리석고 모자라 제구실을 못하는 사람 또는 그런 태도나 행동을 속되게 이르는 말인 쪼다의 어원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은어의 어원을 고구려의 태자 고조다 라고 알려져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구려 내부에서 왕족의 이름을 욕설로 쓰는데 말이 안되고 고구려 밖에서 만약 욕설로 사용했다 하더라도 조다 라는 표기는 현대식 한국식 한자 독음이며 고조다가 살았던 약 1500년 전 발음이 지금과 같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역사학과 고고학의 차이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학은 사서를 연구하는 것으로 작게는 집안의 족보, 크게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 본격적인 사서, 비석을 포함하며 역사에 관련된 자료는 어떤 것이든 연구하는 학문입니다.이는 연구대상이 되는 자료가 글 일때 해당합니다.고고학은 연구대상으로 설정되는 시간대가 문자가 없던 시대인 선사시대를 연구합니다.
학문 /
역사
23.12.05
0
0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