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한국에 햄버거는 언제 처음 도입되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햄버거가 처음 전래된 것은 6.25 전쟁때였으며 당시 한반도에 파병 주둔중인 미군이 미국식 햄버거를 들여온 것이 시초 입니다.당시 개업한 미군부대 인근 노포 햄버거집들은 한국 사정에 맞춰 사라다 빵과 비슷한 레시피로 고향을 그리워하던 미군 상대로 장사를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9
0
0
우리나라 최초의 치과병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정규 치과의학교육을 받은 사람은 1912년 일본에서 치과 의학 전문학교를 졸업한 함석태로, 그는 최초 정규교육을 받아 면허를 받은 1호 치과의사이자 한국인 의사 면허 취득자로 개업한 최초의 치과 개업의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9
0
0
최초의 불경은 언제 어디서 발견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경 들 중 석가모니의 직접적인 언행을 기록한 최초의 경전은 팔리어로 기록된 니까야 입니다.스리랑카, 미얀마 ,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의 상좌부 불교권에서 주로 보는 불경으로 팔리 경전이라고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29
0
0
유배를 갈 때는 왜 소가 이끄는 달구지를 타고 갔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배지까지 갈때 달구지를 타지는 않았습니다.대부분 걸어서 갔습니다.소달구지로 죄수를 호송하는 건 사형수를 사형장으로 호송할때 뿐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조선시대 물가 수준이 궁금합니다. 1냥의 가치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냥은 약 84,000원 정도 입니다.쌀로 비교하면, 18세기 숙종 후기부터 정조의 시기까지 쌀 1섬의 평균 시세는 5냥, 1섬은 144kg입니다.지금과 비교하면 쌀 20kg이 6만원정도로하면 1섬에 해당하는 144kg은 42만원 정도입니다.즉 5냥은 42만, 1냥은 84,000원 정도가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백세시대에 궁금합니다. 조선의 왕들은 얼마나 장수했는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에서 70세 이상 장수한 왕으로는 태조(74세), 영조(83세) 입니다.조선시대 왕들의 평균 수명은 46세 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왕에게 보고되는 상소는 어떤 절차를 거쳐서 선정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든 상소는 승정원으로 들어오고 여기서 1차 분류, 사헌부로 사간원으로 의정부로 전문 분야로 분류 배포하게 됩니다.승정원에서 월간 2300여 권을 접수, 이중 임금에게 상소올린것은 210권으로 하루에 7건 정도 상소를 소화했다고 승정원일기에 전해집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연날리기의 유래와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을 최초로 날린 국가는 그리스와 중국으로 알려져있습니다중국은 유안이 편찬한 회남자에 노반과 묵자의 솜씨가 교묘하여 나무를 깎아 매를 만드니 사흘을 날아다니며 내려앉지 않았다고 말한다. 나무로 날아다니는 새를 만들었다고 하는 것은 괜찮지만 사흘간 내려앉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과장이다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노반은 묵자와 경쟁관계에 있던 고대 중국의 대표적인 과학자로, 한비자에는 묵자가 직접 나무 연을 만들었다고 적혀있는것으로 보아 중국의 연 기원은 약 2400년 전으로 추정합니다.서양의 연은 그리스 장군이자 기술자인 아르키타스가 나무로 새 모양을 깎아 공중에 띄우기를 시도한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우리나라의 연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의 김유신 열전으로 647년 선덕여왕 재위시기 염종과 비담이 반란군을 일으켜 명활성에 주둔, 왕은 월성에 주둔하여 10여일간 싸웠으나 승부가 나지 않았고 이때 한밤중에 큰 별 하나가 월성에 떨어지는데 비담 등이 군사들에게 말하길 내가 듣건대 별이 떨어지는 곳에는 반드시 유혈이 있다고 하니 이는 틀림없이 여왕이 패망할 징조 , 라고 했습니다.결국 별똥별이 떨어진 사건은 민심을 동요하게 했고 선덕여왕도 불안에 떠는데 이때 김유신이 여왕을 뵙고 길하고 흉한것은 정한 것이 없으며 오직 사람이 하기에 따르는 것입니다 라며 계책을 내놓습니다.그는 곧 허수아비를 만들어 불을 안기고 풍연에 실어 날려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만들었고 소문을 퍼뜨리기를 어제 저녁에 떨어졌던 별이 간밤에 도로 하늘로 올라갔다고 해 적군으로 하여금 의혹을 품게 만들었습니다.결국 연을 날려 군인들의 사기를 드높여 비담의 반란군을 패배시켰듯, 연은 우리나라에서 초창기 군사적인 목적으로 이용됨을 알수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11.28
0
0
배구에 미들블로커는 무슨 역할을 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브 시작과 동시에 전위 중앙에서 전위 블로커들을 지휘, 상대 스파이크를 저지하는 역할을 하고 중앙이라는 위치 상 속공을 많이 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한국에 k2 소총은 언제 처음 사용을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우 정밀에서 면허 생산하던 M16A1을 대체하기 위해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 1972년 당시 대통령이었던 박정희의 지시에 따라 XB소총 개발계획이 ADD주관으로 진행되어 신형 소총 개발 계획은 1974년까지 개발된 B형 소총을 개량해 XB-1형이 나왔으며 M16A1 소총 부품을 활용해 4가지의 시험용 소총 XB-2~XB-5이 개발되었습니다.이후 1975년부터 7.62mm 나토탄용 XB-6및 XB-6A 가 개발, 1977년 6월부터 이것을 기반으로 한 5.56mm용 소총을 개발해 XB-7이 개발, 이후 1980년에 XB-7B형이 완성됩니다.최종적으로 1982년 XB-7C형이 XK2가 되었고 XK2가 정식으로 인가를 받아 1984년 지금의 K2자동소총으로 명명되면서 최초의 독자개발 소화기인 K1기관단총에 이어 K2의 양산이 진행되었습니다.1982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1985년 전방 전투부대에 우선적으로보급, 1990년대 이후 후방을 제외한 대부분의 부대에 보급되어 한국군의 제식소총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예전 사용하던 M-16은 예비군용으로 반환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8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