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노스트라다무스는 왜 예언으로 유명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세기말에 지구종말 등을 예언하였지만 일어나지 않았지요.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노스트라다무스는 정말 미래를 내다본 예언자였을까? 아니라고 단언할 수도 없지만, 그렇다고 단언할 확증도 없긴 마찬가지다. 다만 “성취된 예언”으로 간주된 것들은 모두 “사후약방문”과 “견강부회”에 불과했고, 심지어 1999년 7월의 경우처럼 모든 해석자가 확실하다고 장담했던 예언마저 빗나가고 말았다. 이쯤 되면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은 사실상 가치가 전혀 “없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그의 예언이 “틀렸다”고 단언하기는 곤란해도, 최소한 예언의 진위를 판별할 방법이 “없다”는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은 지난 수백 년간 그랬던 것처럼, 앞으로도 계속 대중적 인기를 누릴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인간은 원래 강력한 호기심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처럼 앞날이 불투명하고 위기감이 팽배한 상황에서,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나올 때마다 사람들이 반신반의하며 눈길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결국 그의 예언은 비록 미래를 이야기해주지는 못하더라도, 우리의 현재 상황이 어떤지는 간접적으로나마 이야기해주는 셈이다.
학문 /
역사
23.03.30
0
0
조선후기에 나타난 근대적요소중 사회적인면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신분제가 동요하기 시작했습니다. 평민 중에서도 돈을 많이 번 상인이 등장했고 중인인 역관도중국과의 교역으로 성공하게 되고 특히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양반도 별것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평민들 사이에도 팽배하게 됩니다. 반면에 몰락한 양반도 생기고 그들은 더 비참한 생활고를 겪게 됩니다. 이러한 사회상 속에서 양반첩을 돈으로 살수 있었고 관직도돈을 주고 살수 있는 세상, 지금의 자본주의의 모습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즉 사회적인 측면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신분제가 동요했다입니다.
학문 /
역사
23.03.30
0
0
옛날에 냉장고처럼 석빙고 사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용산에 가면 동빙고도 있었습니다. 말씀 하신바와 같이 예전에는 냉장고가 없었기 때문에 동빙고, 서빙고 등에서 얼음을 가지고 와서 왕실 등에서 사용 하였습니다. 얼음이 귀하기도 했지요.제 답변이 조금이라도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3.30
0
0
'대만'은 왜 정식 국가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대만이 중국의 유일한 합법정부였습니다. 국제 UN상임이사국이 대만이었구요.하지만 현재의 중국이 부상하면서 중국의 영향력으로 인하여 어찌보면 국제사회에서 고립되었고 국제사회가 중국의 눈치를 보게되면서 대만과 단교를 하고 중국과 수교를 하게 되었던 것이었지요. 이처럼 국제사회는 힘의 논리가 작용하고 냉정합니다.중국이 대만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그것을 주장하기 때문에 대만을 국제사회에서 국가로 인정해 주지 않는 것입니다.하나의 중국 이것이 중국이 주장하는 것이지요. 그거 아시나요. 조선의 독립을 국제사회에서 먼저 이야기 한 것이 지금 대만의 총통이었던장제스였던 것을 역사라는 것이 참 아이러니 하지요.
학문 /
역사
23.03.30
0
0
에그타르트의 원조가 포르투갈이라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8세기 이전에는 수도원에서 달걀 흰자를 활용하여 제복에 풀을 먹이곤 하였는데, 이때 남은 달걀노른자로 타르트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 오늘날 에그 타르트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이 수도원은 포루투갈 리스본의 산타 마리아 드 벨렘(Santa Maria de Belém) 시민 교구에 있는 제로니모스 수도원(Mosteiro dos Jerónimos)으로, 이후 1820년대 자유주의 운동의 여파로 이 수도원이 문을 닫으면서 에그 타르트 레시피는 인근에 있는 설탕 정제 공장에 팔리게 되었습니다. 그 후 리스본에 사는 클라리냐(Clarinha) 가족이 이를 구매해 1873년 ‘파스테이스 드 벨렘(pasteis de belem)’이라는 빵집을 열고 수도원에서 만들던 타르트를 그대로 재현하였습니다. 현재 이곳은 포르투갈에서 가장 오래된 베이커리로 전통 에그 타르트를 판매하고 있으며, 이 레시피를 아는 요리사는 단 세 명뿐인 것으로 전해집니다.에그 타르트는 20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마카오에 전해졌고, 마카오가 1999년 말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자 홍콩에도 전해져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때 각 나라별로 만드는 방법이나 재료에 차이가 생깁니다.
학문 /
역사
23.03.30
0
0
남해 죽방렴어업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죽방렴이란 명칭은 대나무 발 그물을 세워 고기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대나무 어살이라고도 하며, 물때를 이용하여 고기가 안으로 들어오면 가두었다가 필요한 만큼 건지는 재래식 어항입니다. 이곳에서 잡힌 생선은 최고의 횟감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물살이 빠른 바다에 사는 고기는 탄력성이 높아 그 맛이 뛰어납니다.
학문 /
역사
23.03.30
0
0
정철이라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정철은 우리에게 가사문학의 대가로 알려진 바, 관동별곡, 사미인곡 등 4편의 가사 이외에도 1백여 수 이상의 시조 등 주옥과 같은 작품이 전해집니다. 그 가운데 관동별곡은 그가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할 때 지은 가사인데, 이 가사를 지은 이유는 목적성이 있었습니다. 즉 정철이 강원도관찰사로 재직하면서 백성들의 풍속이 우매한 것을 보고 교화를 위해 관동별곡을 지었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상당수의 작품들 속에는 이런 목적성이 내포되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우리에게 가사문학의 대가로 알려진 정철, 그는 실상은 치열한 정치 현장에서 온 몸으로 상대 당파에 맞섰던 정치인으로써 성격이 더 강합니다. 특히 선조시대에는 정적을 제거하기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았으며정여립 사건 때는 우의정 겸 서인의 영수로서 동인들을 가혹하게 숙청하여 원성을 샀습니다. 왕세자 책봉문제로 선조의 노여움을 사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을 맞아 다시 복귀했으나 동인의 모함으로 사직하고 강화에 우거하다가 사망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3.30
0
0
조선시대 전성기를 이끈 왕은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후기에는 정조이지요. 정조시대는 세종이 다스리던 시대보다 더 국정을 운영하기 어려웠습니다. 일단 권신의 세력이 너무 강해졌고 붕당정치가 극에 달해 있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규장각을 만들어 자신의 문신세력을 초계문신제를 통하여 양성했고 그들의 스승을 정조가 하였습니다. 또한 장위용을 만들어 왕의 친위부대를 만들어 왕권을 강화하였습니다. 탄탄하게왕권을 다져 놓고 정조는 삼정의 폐단을 잡기 위해 노력하였고 조선의 경제, 과학 등을 발달 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끈 왕입니다.
학문 /
역사
23.03.30
0
0
인도 불가촉천민은 어떻게 생겨났는지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달리트(Dalit), 하리잔(Harijan)이라고도 합니다. 인도에는 수천 년간 인도인의 생활을 규율해 온 신분제도로서 카스트가 있는데, 브라만(Brahman)·크샤트리아(Kshatriya)·바이샤(Vaisya)·수드라(Sudra) 등의 4계급으로 나누어진 카스트 체제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을 일컫습니다.제5계급인 불가촉천민은 인도의 전역에 거주하며, 총인구의 약 15%에 달합니다. 이들은 청소·세탁·이발·도살 등 가장 힘들고 어려운 일을 담당하며, 거주·직업 등에서 엄격한 차별대우를 받아왔습니다. 이러한 계급질서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인도 사회를 안정시키고 결속시키는 데 도움을 준 면도 있으나, 사회를 정체시키고 활력을 잃게 하는 등 많은 폐단을 낳았습니다.1955년에 불가촉천민법이 제정되어 하리잔에 대한 종교적·직업적·사회적 차별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도에는 1억 명이 넘는 하리잔이 있는데, 정부에서는 입학이나 취업시 일정비율을 이들에게 배정해 주는 등 혜택을 주고 있으며, 하리잔 출신의 장관도 배출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정말 일부의 이야기이고 아직까지 많은 제약이 남아있고 차별도 있습니다.이처럼 법적으로는 차별이 금지되었으나 인도 전역에는 아직도 카스트의 영향력이 강하게 남아 있어 종교적·문화적·사회적으로 차별을 받으며 절대적인 가난 속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백정계급과 같은 연유에서 생겨 났다고 봐도 유사하겠습니다.
학문 /
철학
23.03.30
0
0
조선시대 왕 중에서 혹시나 자살을 한 왕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스스로 자살한 왕은 없었습니다. 왕위에서 쫒겨난 왕(연산군, 광해군, 단종)은 있었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은 왕이 없었고 살해되지도 않았습니다. 정조를 살해하기 위해 자객을 보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외에는유교사상이 근본이 되었던 조선에서 왕의 자살은 용납 할 수 없는 일이 었지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3.30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