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금리 인상되면 누가 이익과 손실을 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입장에서 예대마진이 늘어남으로 수익이 증가할 수 있으나 기업 및 개인 부도율이 올라간다면 결국 손해가 납니다. 부동산과 주식은 당분간 보수적으로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경제 /
대출
22.12.15
0
0
글로벌 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있는데이 경기불황이 한 3년이면 마무리 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년도 예측치가 그렇다고 하지만 100% 그런것도 아닙니다. 많은 예측이 틀립니다. 그런데 3년 뒤면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알수가 없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5
0
0
집값 하락이나 서민경제의 위기는 아직 시작도 안했다는 전망이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 그렇다고 예상합니다. 일단 현재까지 금리를 올리고 있고 내년에는 올린 금리를 낮추지 않고 유지할 가능성이 매우큽니다. 이에 따른 경제 고통이 수반된다고 봅니다. 하지만 보통 이러한 점은 누구나 예상 가능하므로 정부당사자들이 새로운 정책을 낼 가능성이 있으므로 내년의 경제예상을 한다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4
0
0
경유값 많이 올라는데 언제 내려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상황으로 봤을때 우크라니아-러시아 전쟁이 끝났을때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 석유의 경유 정제작업을 하면 경유가 많이 생산되는데 현재 판매가 수월치 않아서 그런것이 큽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4
0
0
금리 인상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그렇습니다. 사실 부동산 가격도 그동안 정부정책이 모두 실패했다고 보지만 금리를 올리자 바로 하락세이잖아요.
경제 /
예금·적금
22.12.14
0
0
언제쯤 기준금리가 낮아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내년에 낮아지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지금 금리 인상 올리는 폭이 줄어들거라는 얘기만 있을뿐입니다. 따라서 금리를 낮추는것은 아직 먼 문제입니다
경제 /
대출
22.12.14
0
0
주식과 코인 시장에서 물타기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손해를 봤을때 손해 몇퍼센트가 있잖아요. 그것을 줄인다는 말이 물을 탄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 어치 주식 매입했는데 50% 손해 중인데 100만원어치를 추가 물탄다다고 하면 25% 손해로 줄어든다는 뜻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4
0
0
CPI 발표와 금리인상의 상관관계를 쉽게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PI는 미국소비자물가지수로서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 되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미국 연준에서 금리인상을 하는 이유가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함인데 CPI 올라갈수록 인플레이션 정도가 심하다고 보기때문에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지금 전세계가 내년을 우울하게 생각 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년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미국에서 자이언트 스텝으로 금리를 많이 올렸는데, 올라간 금리는 한동안 유지될 예정입니다. 그럼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도산하고 개인들도 각종 이자 비용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큽니다. 사실 우크라이나 사태도 문제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미국 금리 인상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예금금리랑 대출금리 다른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의 예대마진 차이때문에 그렇습니다. 은행도 이윤을 추구해야함으로 은행입장에서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이자보다 대출 이자가 높아야 이윤 획득이 가능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3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