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수인선(협궤열차)는 언제 중단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수인선 협궤열차는 1995년 12월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제가 그 당시 수원에 살고 있었는데 그해 수인선이 없어진다고 해서 가을에 탔던 기억이 나네요.끝까지 가지 못하고 한대앞까지만 갈 수 있어서 다시 돌아왔던 기억이 납니다.이 수인선이 25년 만에 전철로 재탄생했다고 합니다. 2020년 10일 고색역에서 수원-한대앞 구간 개통식을 갖은 수인선 복선전철의 본격적인 운행은 12일부터 시작되었다네요.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5
0
0
계절중에 가을이 왜 독서의 계절일까요?
안녕하세요. 가을이 독서의 계절로 불리는 것은 농경문화의 관습에서 유래한다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고사성어 ‘등화가친(燈火可親)’이라는 말이 있듯이 ‘한 해 농사를 마쳐 먹거리가 풍성한 가을은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공부하기에 더없이 좋은 계절’이라고 합니다.또한 가을은 기온이 적절해서 공부하고 책 읽기에 적당한 계절이기에 가을이 독서의 계절이 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다른 견해로 가을이 독서의 계절이 된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가을에 사람들이 제일 책을 읽지 않아서라고 합니다.가을은 단풍도 예쁘고 날씨도 좋아서 집에 있기보다는 밖으로 여행이나 나들이가 많아지는 계절로 상대적으로 책을 읽게 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고 합니다. 이에 출판유통업계 종사자들에 따르면 가을은 도서 매출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시기입니다.그렇기에 가을을 독서의 계절이라고 하며 독서를 유도 하려고 한다는 견해 입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철학
22.12.05
0
0
단군왕검 이름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단군왕검은 사람의 이름이 아니라고 합니다.단군왕검에서 '단군'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사람을 말하고 '왕검'은 나라를 다스리는 통치자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단군왕검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사람과 나라를 다스리는 통치자가 합쳐진 말이라고 합니다.이 말의 뜻을 알아낸건 아마도 역사학자들의 연구로 알아낸 것이 아닐까합니다. 그러니까 단군도 왕검도 사람의 이름은 아닌걸로 볼 수 있습니다.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에 단군왕검의 이야기가 실려있는 것으로 보아 일연이 알아냈거나 혹은 그 이전부터 이 사실을 알아낸 역사학자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5
0
0
유네스코가 하는일과 세워진 연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네스코(UNESCO)는 국제 연합(UN) 전문 기관의 하나입니다.유네스코는 교육, 과학, 문화의 보급과 국제 교류 증진을 통한 국제간의 이해와 세계 평화를 추구하는 단체로 본부는 프랑스 파리에 있습니다.1945년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 주최로 런던에서 열린 유네스코창설준비위원회에서 37개국 정부 대표에 의해 유네스코 헌장이 채택되었고, 이듬해 11월 20개 서명 국가들이 헌장 비준서를 영국 정부에 기탁함으로써 최초의 유엔 전문 기구로 발족했다고 합니다.유네스코가 하는 일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세계유산 지정입니다.세계유산은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구분된다고 합니다.또 세계유산과는 별개로 세계적 중요성, 또는 국가 및 지역 수준의 중요성을 지닌 기록 유산의 보존을 장려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평등한 접근성과 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세계기록유산사업을 1992년 창설했다고 합니다.2001년에는 소멸 위기에 있는 문화유산 보호의 일환으로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또는 세계무형유산을 선정하고 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5
0
0
자본을 왜 총알에 비유하게 됐을까요?
안녕하세요. 어떤 연관이 있는지는 잘모르겠지만 언제가 부터 돈을 총알이라고 한 것 같습니다.그 이유는 아무리 찾아봐도 안나오네요.총알이 있어야 총을 쏠 수 있듯이 돈이 있어야 물건을 사고 그 돈을 이용해서 더 큰 돈을 벌 수 있습니다.요즘은 돈이 돈을 버는 구조인거죠.그래서 자본, 즉 돈을 총알이라고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부족하지만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5
0
0
중학교는 왜 중등학교라고 안하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학교만 '등'자가 안들어가는 것은 원래 아니었습니다.원래 소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였던 것이 소학교가 보통학교에서 다시 소학교로 그리고 국민학교에서 다시 초등학교로 바뀌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학교만 중등학교가 아닌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말하자면 고등학교는 처음부터 고등학교였고,중학교는 변한 것이 없으며초등학교만 이름이 변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4
0
0
1년 내내 사시사철 푸른 나무에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가을이 되면 거이 모든 나뭇잎들이 색깔이 변하는데 늘푸른 초록색을 유지하는 나무가 있습니다.이렇게 늘 푸른 잎을 가지고 있는 나무를 상록수라고 하는데 상록수의 잎은 추운 환경에 적응되어서 겨울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어 늘 초록색을 띠고 단풍이 들지 않는다고 합니다.이런 상록수로는 상록상록활엽수와 상록침엽수가 있습니다.상록활엽수로는 사철나무, 동백나무, 백가시나무가 있고, 상록침엽수로는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나한송, 비자나무,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주목 등이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며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04
0
0
타로카드의 기원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타로카드의 기원에는 여러가지 견해가 있습니다.철학, 종교, 문명을 배경으로 이집트의 왕족과 길을 의미하는 Tar-Rho에서 왔다는 말이 있으며 체스의 원조인 인도의 전통놀이인 챠트랑카가 타로카드의 기원이 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또 유대교의 경전인 토라가 어원으로 19세기 서양의 오컬티즘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는 견해도 있습니다.이처럼 여러가지 기원설이 있으나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4
0
0
치킨무는 우리나라가 최초일까요?
안녕하세요.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만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피클을 만드는 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되고 저렴한 무우를 활용해서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치킨의 느끼함을 치킨무가 어는 정도 해소해주는 역할을 해서 치킨 먹을 때 치킨무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역사
22.12.04
0
0
전통국악음악은 서양음악보다 수준이 낮은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전통음악이 요즘 우리 세대가 듣기에는 별로라고 느낄 수도 있긴 합니다.하지만 옛날부터 이어 온 전통음악으로 그 음악이 지금까지 전해 내려온 나름의 가치가 있기에 서양 음악에 비해 수준이 낮다고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서로 다른 것 즉 차이가 있는 것으로 서로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서로 다른 것을 우열을 가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음악
22.12.04
0
0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