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싫다라는 말을 자주 하는 아이 어떻게 지도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우선, 아이가 싫다라고 말할 떄 그 배경을 파악하는 것이 중ㅇ요합니다 아이가싫다는 말을 하는 상황을 관찰하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아이가 무엇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해요 아이가 거부감을 느끼는 이유가 무엇인지 이해하면 아이와 더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아이에게 감정을 표현하는 다른 방법을 알려주세요 싫다라는 말만 사용하는대신, 아이가 감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나는 그 일이 하기싫어"대신 "그것 나한테 얼운일이야"같은 구체적인 표현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겁니다
Q. 초등학교 3학년 딸아이 반항이 심해졌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 감정을 이해하는것이 필요합니다 반항은 종종 부모의 요구나 규칙이 아이의 감정과 충돌할 때 발생합니다 딸아이가 왜 반항하는지, 무엇에 대해 불만이 있는지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며,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이해할 수 있고 그에 맞는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는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반항적일 때, 그 행동을 바로잡기 보다는 아이의 의견을 경청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아이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일방적인 지시를 내리는 것보다는 아이가 생각하는 바를 이해하고 그와 대화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가는과정이 필요합니다
Q. 놀이 중에 쉽게 화를 내고 친구와 싸우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아이가 화를 낼 때 그 감정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어떤 상황에서 주로 화를내는지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화를 내는 이유를 파악하고, 그 감정이 왜 일어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해야합니다 에를 들어서 놀이에서 지거나 자신이 원하는대로 일이 진행되지 않을때, 아이는 불안하거나 좌절감을 느끼며 화를낼 수 있습니다아이에게 감정을 표현하는 다른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를 내는 대신, 차분하게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 지금 너무 속상해서 화가 나"라고 말하는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하도록 안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에게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도효과적입니다 깊게 숨을 쉬거나 잠깐 멈춰서 생각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화가나기 전에 잠시 여유를 가지도록 도와주세요
Q.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는 아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부모의 말이 아이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너무 많은 지시를 하거나 일관되지 않게 명령을 내리면, 아이는 그것에 반발하거나 무시하려는 경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명확하고 간결하게 의사소통을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불필요한 지시보다는 함께 협의하며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방법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는 일관성있는 태도를 유지하는것이 중요합니다 한번 허용했던 것을 다음에 제지하는 등 부모의 태도가 일관되지 않으면, 아이는 무엇이 옳은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부모의 규칙과 제한은 명확하게 설정하고 그것을 지키는 모습도 보여야합니다
Q. 계속 같은 책을 읽는 아이 다양한 책을 읽히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책을고르는 과정에서 아이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직접 책을 고를 수 있도록 도와주면 새로운 책에 대해 더 흥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도서관이나서점을 자주 방문하여 아이가 다양한책을 손에 쥐어볼 수 있게 하며, 아이가 스스로 새로운 책을 선택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세요 그리고 다양한 주제의 책을 한 번에 여러권씩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아이가 좋아하는 동물, 공룡,우주와 같은 다양한 주제의 책을 한번에 보여주고 그 주제와 관련된 책을 조금씩 읽을수 있도록 유도하세요 이렇게하면아이는 여러가지 주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며 새로운 책에 대한 호기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