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간장??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의 주성분인 단백질을 염산으로 분해해서 간장과 같은 성분인 아미노산액을 만들 수 있읍니다.콩과 메주가 아니더라도 모든 종류의 단백질, 달걀 흰자, 육류, 생선류, 심지어 머리카락까지도 아미노산액 즉, 간장의 원료가 될 수 있읍니다. 머리카락은 아니어도 단백질을 염산으로 분해해서 만든 간장이 우리나라에서도 판매되고 있읍니다. 국내 시판 간장 중 절반 이상이 이런 방법으로 간장을 만들고 있읍니다. 탈지대두나 글루텐을 염산으로 분해한 뒤 가성소다 즉, 양잿물을 넣어 중화시키고, 마지막으로 감미료, 탈취제, 합성향료 등을 첨가해 2-3일만에 간장을 만드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더운날에 차가운 우박이 떨어지는 과학적 현상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박이 만들어지는 것은 대기 상공에서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진 빙정이 점점 커져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이상 커지면 무거워서 떨어지게 됩니다. 녹지 않고 떨어지면 눈이 되는 것이고 녹으면 비가 됩니다.우박은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적란운 내에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빙정의 크기가 점점 커져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적란운 내부를 보면 상승기류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하강기류와 상승기류가 같이 있습니다. 물론 상승기류가 훨씬 강하게 나타나지만 적란운 내부의 위치에 따라 상승,하강기류의 차이가 조금 있습니다.조금 커진 빙정이 무게에 의해 하강하다가 아주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면 다시 위로 올라가게 되고 그러면서 커지다가 떨어지고 또 다시 상승하고를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많이 할수록 더 큰 우박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우박은 여름철에 자주 발생하지만 봄이나 가을에도 많이 발생합니다. 어떤 때는 봄과 가을에 더 강력한 우박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봄, 가을에는 상층의 공기는 차가운데 하층의 공기가 태양빛이 강한 경우 지표면이 가열이 되면 더 높게 상승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