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혈변의 반복 발생, 병명을 유추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증상을 겪고 많이 놀라고 무서우셨을 것 같습니다. 크론병이나 궤양성대장염, 장의 혈관기형, 소장종양이나 드물지만 소장의 암, 소장 궤양, 소장 미란, 멕켈게실 등의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대장내시경이 정상인데도 혈변이 나타나는 것이라면 말씀 들으신 것 처럼 소장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장은 항문에서 대장의 끝인 회맹판까지만 볼 수 있고 소장은 볼 수 없기 때문에, 소장에 병변이 있는 경우라면 내시경으로 진단이 불가능합니다. 캡슐내시경이나 소장조영술, 핵의학 검사로 멕켈게실 스캔 등을 추가로 검사하는 것을 고려해야겠습니다. 진료 대기가 길어서 답답하시겠지만 진료 잘 받으시고 치료 받으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원인 모를 발진,두드러기....어떻게해야되죠?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증상 때문에 많이 힘드실 것 같습니다. 만성 두드러기나 주기성 알레르기 반응 등이 의심됩니다. 신체는 밤에 더 히스타민 분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어 같은 자극이더라도 밤에 더 강한 두드러기나 가려움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또 눕거나 이불을 덮으면 피부 온도가 상승하여 혈관이 확장하고 이에 따라 두드러기가 더 잘 유발될 수 있습니다. 피검사나 알레르기 검사에서 정상이더라도 두드러기가 반복될 수 있는데 이를 특발성 두드러기라고 합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을 매일 꾸준히 일정량을 복용하시면 히스타민 분비 자체가 줄어드는데 2-4주 이상 지속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루 시간대나 증상의 부위, 먹은 음식, 스트레스 등을 기록해보시면 두드러기의 원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가벼운 이불이나 땀이 덜 나는 잠옷으로 변경해보시고 샤워 이후에는 몸을 완전히 건조시키세요. 스트레스 자체도 히스타민 분비와 연관이 있으므로 너무 괴로우면 정신건강의학과 상담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고추가 커진 후에도 껍질이 안벗겨지면 포경수술을 받아야 할까요?(사진 포함)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사춘기 초반에는 포피가 귀두에 자연스럽게 붙어있는 경우가 많고, 시간이 지나면서 벗겨지는 경우가 많아 아직은 경과관찰을 해도 되겠습니다. 발기해도 귀도가 드러나지 않고 포피 끝이 너무 좁아 소변보기도 불편할 정도라면 이는 진성 포경으로 비뇨기과에서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귀두포피염이나 냄새, 분비물, 통증 등이 자주 있으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발기 시 통증이 생기거나 포피 안에 하얀 덩어리, 냄새, 가려움이 있는 경우, 소변 줄기가 가늘거나 잘 퍼지는 경우, 포피가 전혀 까지지 않고 강제로 벗기면 통증이 심한 경우 등이라면 비뇨기과 진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수술이 필요한지, 연고 치료 등으로 해결이 가능할지는 비뇨의학과 의사가 직접 보고 판단해야 정확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어느순간 입천장에 돌기가 생겼어요 이게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경미한 점액낭종이나 구개융기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타액 분비샘이 막히거나 손상되면 말랑한 낭종이 형성되는데 눌렀을 때 약간 아프거나 투명한 액체가 나올 수 있습니다. 선천적 또는 점차 생기는 단단한 뼈 돌출인 구개융기는 통증이 없고 표면이 매끄럽고 단단합니다. 드물게 자주 자극을 받는 부위에 생기는 구강섬유종이나 양성종양 가능성이 있는데 점차 커지는 경우에는 병원에서 절제가 필요합니다. 네뷸라이저 사용 이후 입안 점막이 자극되어 일시적인 염증 및 부종이 생긴 것일 수도 있습니다.1-2주 이상 지속되며 크기 변화가 있는 경우, 점점 커지거나 단단해지는 경우, 통증, 출혈, 궤양이 생기는 경우, 음식 섭취에 불편을 줄 정도로 커지는 경우 등에는 치과나 이비인후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알레르기 인지 잘 모르겠는데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접촉성 피부염이나 두드러기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특정 환경 노출 이후 증상이 유발된 점에서 외부 자극에 대한 알레르기 또는 과민 반응이 의심됩니다. 작업 중 손등, 목, 어깨쪽이 가렵고 긴팔 및 장갑 착용에도 발생했다면 공기 중 노출 또는 재료 자체와의 반응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속 냄새를 맡고 멀미, 구역질이 난 것에 대해서는 화학자극, 냄새에 대한 비특이적인 과민 반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속 알레르기나 공기 중의 화학물질에 대한 접촉성 피부염, 물리적/화학적 자극에 대한 알레르기성 두드러기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선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보세요. 가려움 조절에 가장 효과적이며 약국에서 구매가 가능합니다. 작업 이후에는 꼭 샤워 및 노출 부위 세정을 철저히 하여 피부에 금속가루나 자극물질이 남아있지 않도록 합니다. 100% 면 소재나 자극이 없는 옷을 착용하시고 작업복은 별도로 세탁해주시기 바랍니다. 3일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호흡곤란, 눈/입 부종이 생긴다면 즉시 피부과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왼쪽 무릎이 거슬리게 아픕니다 병원 안가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관절내 연골, 인대, 슬개골 주변 구조의 미세 손상이나 염증 가능성이 있습니다. 통증이 5일 이상 지속되고 점차 악화되거나, 계단 오르내릴 때, 앉았다 일어설 때 찌릿하거나 무릎이 꺾이는 느낌이 드는 경우 무릎 질환 가능성이 있으니 정형외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파스만으로 해결이 되지 않고 통증이 지속되는 상황이므로 진료를 권해드립니다. 요즘에는 휴일에도 진료하는 병원이 많으니 시간을 내서 진료받아보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