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선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전문가입니다.

김선민 전문가
충청북도 청주교육지원청 중앙초등학교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나이들어서도 자식들과 잘지내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지금부터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고 잘 들어주며 신뢰를 쌓는게 핵심입니다. 훈육보다 공감, 통제보다 대화 중심으로 접근하세요 따뜻한 추억을 많이 만들고 실수해도 편하게 털어놓을수 있는 부모가 되려면 아이는 자라서도 자연스레 곁에 남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6살 아이가 학원을 다니는 것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만 6살이라면 학우너보다는 정서 안정과 사회성 발달이 우선입니다. 억지로 보내면 학습에 대한 거부감만 커질수 있습니다. 학원 대신 아이가 편안하게 느끼는 놀이모임이나 소그룹 활동부터 경험하게 해보세요. 아이가 스스로 자신감을 가질때까지 기다려주는게 중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만4세 딸아이 말을 할 때 입을 안 움직이는데 어떻게?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딸아이가 말할 때 입을 잘 안움직이는 것은 말소리 조절 근육 사용이 미숙하거나 발화에 대한 불안 때문일 수 있습니다. 억지로 교정하려 하면 거부감이 생기므로, 거울 놀이처럼 재미있게 입 모양 흉내내기나 노래 동요를 활용한 말놀이로 자연스럽게 입을 쓰도록 유도해 주세요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초등학생 자녀의 친구 관계 문제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할 상황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초등 자녀의 친구 문제에 부모가 개입해야 할때는 지속적인 따돌림, 신체적 언어적 폭력, 자녀가 극심한 스트레스나 우울감을 보일때입니다. 이는 아이 자존감과 정서 발달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다툼엔 관찰 중심, 심각한 경우는 학교나 상대부모와 협력해 조율해야 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첫째아이 동생 건드리면서 시비를 거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첫째가 동생에게 시비를 거는 건 질투나 관심 부족이 원인일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 마음을 공감하며 충분히 대화를 나누고, 동생과 비교하지 않고 첫째만의 시간을 자주 만들어주세요. 또 그런 행동이 보이면 단호히 멈추게하고,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들을 키우는 홀아비인데 양육권과 친권의 차이점이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친권은 자녀의 법적, 재산적 권리와 의무를 총괄하는 권한이고 양육원은 실제 아이를 돌보는 권한입니다. 친권이 있어야 여권 신청, 병원 동의, 학교 전학 등 법적 동의가 가능합니다. 친권 없이 양육만 맡는다면 법적 결정에 제한이 있습니다. 아이가 엄마와 살더라도 친권을 꼭 줘야 하는건 아니며, 상황과 동기 등을 잘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28개월인데 밤잠을 안자려고해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28개월 아이의 밤잠 거부는 자율성 발달과 일상 변화에 대한 반응일수 있습니다. 핵심은 일관된 루틴과 감정 조절 지원입니다. 밤잠이 늦더라도 아침 7시즘 꾸준히 깨워 수면 리듬을 맞춰주세요. 낮잠 시간은 1시간 이내, 늦어도 오후 2시 이전에 끝나게 조절하며 야간에는 티비나 스마트폰 등 을 피하고 간접 조명을 유지한다면 도움이 될겁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고민이 있습니당ㅜㅜ...!!!!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는 활달한 기질이고 아직 조절이 어려운 시기이니 피드백이 반복되면 부모도 위축될수 있습니다. 선생님의 의도는 협력일수 있지만 전달 방식이 부담이 될수 있습니다. 이럴땐 '저도 집에서 계속 지도하고 있고 노력 중입니다. 혹시 아이가 잘 지낸 부분도 함꼐 알려주시면 균형있게 도와줄수 있을 것 같아요'라고 부드럽게 요청해보세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의 감정 조절 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부모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의 감정 조절을 돕기 위해서 부모는 먼저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이름을 붙여주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화가 났구나, 속상했구나'처럼 감정을 인정해 주면 아이는 자신을 이해받는다고 느낍니다. 그 후'그럴 땐 어떻게 하면 좋을까?'하며 해결 방법을 함꼐 찾아보세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문제 행동을 보이는 친구와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정리하는 현명한 대화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에게 직접 친구를 비난하지 말고, '그 친구랑 있을 때 마으이 어땠어?'처럼 아이의 감정에 초점을 맞춰 대화를 해보세요. 상황을 함꼐 돌아보며 '네가 힘들어 보였어'라고 공감하고, '조금 거리를 두는 건 어떨까?'처럼 자연스럽게 다른 선택지를 제시하는 방식이 좋습니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