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김의균 전문가
논현재활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재활·물리치료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다리가 저릴때 의료용압박스타킹이 효과가 있나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다리 저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혈액순환 문제로 인한 저림이라면 의료용 압박스타킹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신경의 압박 디스크나 협착으로인한 증상이라면 큰 효과를 보기가 어렵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재활·물리치료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책상에 앉아서 버틸 힘? 기르는 운동 있을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장시간 앉아서 공부를 하면 능형근 날개뼈 사이에 있는 근육 및 허리 근육이 피로해질 수 있는데 이는 자세 유지를 위해 필요한 코어근육이 약하다보니 이러한 근육들이 쓰이다 보니 그럴 수 있습니다. 오래 앉아 있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코어근육을 적절히 키워주시는게 좋으며 코어 근육을 키우기 위해서 대표적인 운동으로는 플랭크와 사이드 플랭크 버드독 데드버그 브릿지등의 운동이 있습니다.유튜브에 검색하시어 따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또한 평소 자세와 습관도 중요한데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넣고 허리를 받쳐서 앉아 주시고 발바닥이 바닥에 닿을 수 있게 의자 높이를 조절해주시면 좋고 그래도 1시간마다 한번씩 자세를 움직여주시고 스트레칭 해주시면 좋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발박쪽 발가락이 찢어졌을때.....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23일에 다친 발가락이 아직도 살이 붙지 않고 계속 붓고 아프다면, 감염이나 깊은 조직 손상의 가능성이 있어요. 집에서 소독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병원에 가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상처가 깊거나 살이 벌어져 있다면 혹은 상처부위가 계속 붓고 진물이 나오거나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고름이 보이거나 열이 나고 오한이 있다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손가락이랑 손바닥 연결되는 곳 뼈 통증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손을 다친 이후 일주일 정도 시간이 지나셨고 통증이 심해지고 손을 사용할때마다 아프다면 골절이나 인대의 손상 혹은 연골의 손상일 가능성이 있으며 손목이나 손가락을 움직일때 심한 통증이 있거나 부기가 남아 있거나 누르면 통증이 더 심해진다면 의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일단 냉찜질 및 소염 진통제를 복용해보시고 증상이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팔골절수술후 팔이안올라가요 언제쯤정상적인 팔움직임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팔 골절 이후 회복과정에서 팔이 전처럼 올라가지 않는다면 어깨나 팔꿈치 주변 관절이 굳었거나 근육이 약해졌거나 통증 때문에 움직임에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재활치료를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회복을 돕기 위해 집에서 하실 수 있을 운동으로는 진자운동이나 혹은 벽을 따라 손 올리기 막대기등을 이용한 스트레칭 및 밴드를 이용한 저항 운동등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발가락이 안 벌어지면 발목 잘 삐이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발가락이 잘 벌어지지 않고 근력이 부족하면 발목이 더 잘 삘 가능성이 있습니다.발가락은 단순히 걷거나 서 있을 때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발 전체의 균형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절로 발가락을 벌리거나 움직이는 근육이 약하면 발의 지면을 제대로 잡아주지 못해 균형을 잡기 어려워지고 발목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보행 시 더 쉽게 발목을 삐긋할 수 있습니다.엄지 발가락만 들리고 나머지 발가락이 바닥에 붙는 경우 발바닥 내재근이 약해져 발의 아치가 불안정할 가능성이 있으며 발가락이 개구리발처럼 들리거나 붙어 있다면 발의 기능이 제한되면서 발목을 지탱하는 힘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집에서 하실 수 있는 조치로는 타올 잡기 및 구슬 잡아 옮기기 등의 운동 및 밴드등을 이용한 발목 저항운동등을 해보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그렇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기타 이상증상이 나타나신다면 정확한 상태 파악을 위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발목 인대 수술한 지 45주가 지났는데 통증이 생길 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발목인대 수술 하신지 45주 약 10개월이 지나셨는데도 아직까지 통증이 나타난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재활의 부족이나 혹은 과도한 사용으로 발목에 무리가 가서 통증이 생겼을 수도 있고 혹은 수술 후 남은 흉터조직이 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면서 통증이 생겼을 가능성도 존재하며 또는 발목을 오래 사용하면서 연골이 손상되거나 관절염 초기 증상일 수도 있고 또는 발목을 보호하려고 보행 패턴이 바뀌면서 발바닥 발등 종아리에 부담이 가면서 족저근막염 혹은 후경골건염등의 증상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일단 냉찜질 및 충분한 휴식 그리고 가벼운 스트레칭 및 마사지등을 해보시고 그럼에도 지속해서 통증이 있으시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족저근막염, 평벌인데 신발 착용법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발 상태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꽉 끼는 신발보다는 헐렁한 신발을 선택하고 아치형 깔창을 넣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신발의 선택씨 꽉끼는 신발을 발을 압박해서 혈액순환의 방해를 할 수 있으며 붓기가 있거나 통증이 있는 부위에 자극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뿐만 아니라 너무 헐렁한 신발은 신발 안에서 많이 움직이면서 발목이나 발가락에 부담이 갈 수 있습니다. 헐렁한 신발에 아치형 깔창을 껴주셔서 발의 아치를 적절히 지지 해주고 충격을 흡수해 통증을 완화시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계단에서 심하게 미끄러져서 너무 아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계단에서 심하게 미끄러져서 엉덩이와 허리를 다쳤다면 연부조직의 손상이나 혹은 근육 인대의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멍이 든 부위가 딱딱한 이유는 피부 아래 작은 혈관이 터지면서 생기는 출혈이 조직 속에서 굳어 단단한 혈종이 됬을 수 있으며 또는 근육이나 지방층에 손상이 생기면서 염증 반응으로 인해서 멍든 부위가 딱딱 해질 수도 있고, 근육이 충격을 받으면서 섬유조직이 손상되면서 일시적으로 뭉치는 느낌이 들 수도 있습니다.보통은 2~3주내에 서서히 가라앉지만 점점 더 커지거나 딱딱한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 된다면 혹은 엉덩이 아래쪽으로 저림이 있거나 다리까지 내려가는 통증이 있거나 하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한 손으로 운동을 많이하면 그 손이 덜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성장판 검사를 할 때 오른손잡이는 왼손, 왼손잡이는 오른손으로 검사를 하는 이유는 주로 사용하는 손이 상대적으로 더 빨리 성장판이 닫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손을 많이 사용하면 미세한 충격과 자극이 반복되면서 뼈의 성장 속도가 빠를 수 있으며,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는 손 전체가 아니라 전신 성장과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반대 손이 덜 사용으로 인해 약간 더 성장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476
477
478
479
4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