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중국 수출에 의존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중국은 거대한 국가이다보니 시장 규모가 상당하며, 우리나라는 중국의 인접국이다보니 시장 의존도가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중국과의 무역수지가 과거보다 좋지 않다고해도 수출입금액 부동의 1위 국가임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는 자원이 없고 내수시장이 작다보니 수출주도형 정책을 펼쳐왔는데 중국은 큰 시장이고 산업구조의 차이로 그동안 많은 흑자를 누려왔습니다. 물론 문의하신대로 중국의 태도나 외교적인 부분은 눈쌀을 찌푸리게 할때가 종종있으며 국민 여론은 중국이랑 무역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거 아니냐고 하지만 구조적으로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시장은 없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인도와 아시아 국가로 다변화하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중국이라는 거대 국가는 싫어도 어쩔수 없는 시장인 것입니다. 우리나라 외에도 폭스바겐, 애플 등 다국적 기업이 진출하는 이유도 중국의 거대 시장의 매력 때문입니다. 또한, 공산품의 경우 중국은 세계의 공장의 역할을 맡아왔는데 저렴한 인건비와 가까운 인접성으로 물류비가 낮다는 측면에서 중국 위탁생산을 해서 수입해왔던 구조입니다. 다만,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이러한 공급망이 균열 또는 붕괴될 수 있다는 위험성 측면에서 탈 중국 흐름도 보여지고 있습니다.따라서, 국가적으로 기술발전에 따른 초격차를 유지하여 무역수지가 계속적으로 흑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특정 품목의 경우 중국에 의존시 문제가 되는 품목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대비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