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K‑뷰티도 미국 관세 붙는다는데, 무역 실무에서 이걸 어떻게 풀죠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미국에 화장품 수출시 기존에 무세(0%)였는데 어제 합의한대로 상호관세율 15%가 있기 때문에 관세 부담으로 인해 미국에서 가격 경쟁력이 상당히 약화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물류비 등 최대한 비용절감을 하거나 미국 시장 내에서 가격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 수출자가 관세의 일부를 부담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다만, 수입물품 가격을 터무니 없이 낮추면 추후 미국 CBP에서 관세 심사 및 조사를 통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조정을 해야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8월 1일 미국의 25% 관세부과를 앞두고 정부가 협상에 총력전으로 임하고 있는데 전망이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이미 일본과 EU가 미국과 협상을 마쳤으며 제안한 내용들이 있기에 아직 합의가 되지 않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질문주셨던 내용과 같이 조선업과 반도체 세계 1등 국가이므로 이 분야에 확실한 강점이 있어 제안한 내용은 분명 미국이 만족한다고 생각합니다.특히, 미국의 조선업은 사실상 없다시피 할 정도인데 미국은 세계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군함 건조 및 수리가 필수적으로 동맹국이자 기술력 및 건조능력 1위인 우리나라에서 조선소 세팅부터 MRO까지 가능하다는 점을 집중 어필하는것으로 보여집니다.다만, 미국은 여기서 추가적으로 농산물 개방 등을 요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방어해야 하는 부분이다보니 내일 막판이 되어서야 합의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