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무역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무역 전문가입니다.
김주봉 전문가
해드림 관세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무역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한국에서 캐나다로 소주를 수출할 때 무역 세율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주류를 수출하려는 경우 관할 세무서로부터 주류 수출입허가가 있어야 하므로 사전에 준비가 필요합니다.관세의 경우 캐나다에서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세율로는 종량세로 12.28센트/리터당 알코올이지만 한-캐나다 FTA 적용시 관세가 면제됩니다 다만, 소주도 식품의 일종이므로 검역 등의 절차가 요구될것으로 보여지는데 수입국의 규제는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 현지 바이어를 통해 확인하여 필요서류를 안내받으시는것을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무역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베트남 하노이 부근에서 무역 파트너를 찾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바이어를 찾기 위해서는 현지 박람회나 무역 사절단으로 참석하여 직접 업체 담당자와 미팅하고 물건을 보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또한, 코트라 하노이 무역관도 있으므로 연락하시어 바이어 정보를 요청하는 등 여러가지 루트를 모색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무역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한-미 FTA에서 원산지증명서 제출이 면제되는 경우는 어떤 상황이며 그 기준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한-미 FTA 원산지증명서는 제출면제를 규정하고 있으며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이 미화 1천달러 이하의 '소액물품'에 대해서 적용하고 있습니다. 상업용 여부와 관계없이 1천달러 이하의 여행자 휴대품, 우편물, 특송물품에 대해서 면제를 하고 있는데 구매영수증이나 제품의 원산지 표기 등을 통해 원산지를 간이하게 확인하여 협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아무래도 소액물품의 경우 증명을 면제하는 것이 업무적으로 효율적이다보니 이러한 규정들을 한-미 FTA외에 다른 협정들도 규정하고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무역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한-중 FTA에서 수출대행자가 수출자로 기재된 원산지증명서의 인정 가능성은 어떠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중국은 특이하게도 한-중 FTA 원산지증명서 수출자란에 실제 수출자가 아닌 수출대행자가 기재되거나 과거에는 On behalf of 방식으로 기재되어 협정 발효 초기 혼란이 있었습니다. 다만, 현재는 중국과는 EODES 시스템이 시행중인 관계로 중국에서 증명서가 발행되면 우리나라 관세청에 정보가 전달되고 있어 대행자로 기재되었다고 하더라도 협정적용을 하는데 크게 무리가 없으므로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무역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인공 대기나 산소를 수출입하는 시대가 온다면, 이에 대한 관세 정책은 어떻게 수립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산소캔이라는 아이템이 등장했을 정도로 미래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해당 물품을 수입하는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산소의 경우 관세율표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수입통관을 한다면 해당 코드로 신고하고 관세 등을 납부하면 되겠습니다. 다만, 관세율표가 모든 항목을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기술의 발전과 세태에 맞게 관세율표도 개정될 것으로 보여지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