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쇼츠,릴스와 같은 인위적 도파민에 과다 노출되면 나중에 나이를 더 먹었을 때 파킨슨 병의 발병률이 높아지나요?
안녕하세요. 파킨슨병은 뇌간의 중앙에 존재하는 뇌흑질의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됨으로써 움직임에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을 말하는데요, 도파민은 뇌의 기저핵에 작용하여 우리가 원하는 대로 몸을 정교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신경전달계 물질입니다. 파킨슨병의 증상은 뇌흑질 치밀부의 도파민계 신경이 60~80% 정도 소실된 후에 명확하게 나타납니다. 병리 검사를 시행하면 뇌와 말초신경의 여러 부위에 발병성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침착되어 생긴 루이소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파민은 의욕과 보상, 운동기능, 뇌하수체 호르몬 조절까지 담당해 인체의 생명 유지와 관련 있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생체 물질인데요, 따라서 도파민은 과하면 각종 중독 문제를 유발하지만, 반대로 부족하면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도파민을 제대로 생성하지 못하면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유발할 수 있고 우울증에 빠지기도 쉽습니다.
Q. 유칼립투스 잎은 다른 방면으로 활용이 어려운가요?
안녕하세요. 코알라의 주식이기도 한 유칼립투스 잎은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유칼립투스는 그리스어의 ‘아름답다’와 ‘덮인다’의 합성어로 꽃의 모양에서 유래되었는데요, 전 세계에 300종 이상이 자라는데, 높이 100m 이상인 것도 있습니다. 늙은 나무껍질은 잘 벗겨져서 시멘트 기둥처럼 보이기도 하며, 잎은 홑잎으로서 가죽 같은 질감이 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흰빛이 돌고 어긋나거나 마주납니다. 신선한 잎에서는 향기가 나고 휘발성인 유칼리유를 채취해 약으로 쓰기도 합니다. 칼립투스는 생명력이 강하고 성장이 빠른 편이고, 예전에는 상처를 치유하는 염증과 발열 치료제로 사용했습니다. 또한 유칼립투스 잎으로 아로마 오일을 만들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두피가 가렵고 비듬이 잘 생기는 분들에게 가려움증을 개선해주고 살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비듬이 생기는 걸 예방해준다고 합니다.
Q. 생물마다 조상을 찾는 게 과학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모든 육상동물과 조류가 바다에서 진화했다는 사실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이를 각각의 진화적 줄기로 나누어 연구하는 것은 여러 가지 학문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우선 진화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은 단순한 분류 작업이 아니라, 생물의 공통 조상과 적응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육상동물과 조류가 어떤 해양 생물에서 유래했는지 추적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사지동물(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은 어류에서 진화했으며, 폐어와 실러캔스 같은 육기어류가 그 조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오는 과정에서 호흡 기관, 골격 구조, 번식 방식 등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이해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폐와 다리가 발달하면서 물속에서 육상으로 이동한 과정이 밝혀졌습니다. 이외에도 서로 다른 육상 생물들이 어떤 조상 그룹에서 갈라져 나왔는지를 밝히는 것은 생물 분류학과 계통학에서 핵심적인 연구 주제입니다. 예를 들어, 조류는 공룡에서 진화했고, 포유류는 단궁류에서 진화한 것이 밝혀졌습니다. 정리하자면 모든 육상동물과 조류가 바다에서 진화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진화적 줄기를 연구하는 것은 생물학적 계통, 의학, 생태학, 환경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합니다. 진화의 줄기를 나누는 것은 단순한 분류 작업이 아니라 생명의 기원과 변화를 이해하고, 생물 간의 유전적 관계를 밝히며, 질병 치료, 환경 보호, 생태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과학적 토대를 마련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생물학에서 진화의 계통을 나누어 연구하는 것은 앞으로도 학문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입니다.
Q. 함몰유두는 유전일 확률이 높을까요??
안녕하세요. 함몰 유두는 젖꼭지가 안쪽으로 파묻혀 숨어 있는 것으로, 이는 한쪽 또는 양쪽 유두가 돌출되지 않고 유방 쪽으로 들어가 있는 증상을 말하는데요, 함몰 유두는 전 세계 여성의 약 2%, 우리나라 여성의 3% 비율로 발생하며, 양측성인 경우가 흔합니다. 함몰 유두는 정도에 따라 1등급에서 3등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두 함몰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유선관이 잘 발달되지 못해서 발생할 수 있는데요, 유선관은 모유가 나오도록 유두에 연결되었는데 유선관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여 짧게 유지되면 유선관이 유두를 잡아당겨서 함몰되도록 만들수 있습니다. 이외에는 유두 밑의 조직이 치밀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유두 밑에는 유두를 받쳐주는 섬유 조직이 있는데 섬유 조직이 허술하면 유두가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안으로 가라 앉게 되면서 함몰됩니다. 드물게 정상인에게는 없는 섬유 밴드를 갖고 있어서 유두를 아래로 잡아당겨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선관 발달 미숙과 비슷한 원리지만 유선 대신 섬유 밴드가 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유방암이나 염증 등의 질환으로 조직의 섬유화가 함몰을 발생 시킬수 있습니다. 이는 선천적인 함몰 유두가 아니라 성장한 후 함몰이 발생하며 가슴에 종괴가 만져질 수 있는데, 이렇게 과거에 없던 함몰 유두가 생기면 유방암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진단이 필요합니다.
Q. 다람쥐가 겨울잠을 잔다는 의미는 특정공간에서 나오지 않는다는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겨울잠을 자는 대표적인 온혈동물로는 다람쥐가 있는데요, 다람쥐가 겨울잠을 잔다고 해서 겨울 내내 잠만 자는 것은 아닙니다. 추운 겨울 동안에 다람쥐들이 먹이를 얻기란 쉽지 않은데요, 그래서 다람쥐들은 땅속둥지에 가을 동안 700~2000 여개의 도토리를 모으고 마른 잎이나 풀을 쌓아서 따뜻한 잠자리를 만듭니다. 그리고는 겨울잠을 자는데요, 겨울잠을 잔다고 하면 몇 달 동안 계속 잠만 잘 것만 같지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동물에 따라 겨울잠을 자는 방식은 다양한데 다람쥐는 잠을 자다가 약 일주일마다 잠을 깨며, 깨어 있는 동안 먹이도 먹고 똥도 누는데 짧게는 10시간에서 길게는 이틀 정도 활동하다가 다시 잠에 든다고 합니다. 또 겨울잠을 자는 동안 에너지 소비량을 조절하기 위해 체온과 호흡수를 조절하기도 하는데요, 평소 다람쥐의 체온은 약 37~38도로 사람보다 따뜻하고, 호흡수는 1분에 50~120번으로 사람보다 3~6배 많지만, 겨울잠 자는 동안에는 체온은 약 8~10도, 때로는 약 3도까지 내려가고 호흡수도 1분에 3~4번으로 떨어진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