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지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전문가입니다.

김지호 전문가
서울대학교
Q.  우리나라 삼면 바다에서 많이 살고 있는 어종 중에 돌돔은 최상의 횟감인데, 돌돔은 주로 어디에서 서식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돌돔(Oplegnathus fasciatus)은 우리나라 삼면의 바다에서 서식하는 도미과의 대표적인 고급 어종 중 하나로, 맛과 식감이 뛰어나 최상의 횟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돌돔은 특히 회로 먹었을 때 단단한 육질과 감칠맛이 우수하며, 숙성 회로 먹었을 때는 고소한 맛이 더욱 두드러지기 때문에 미식가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돌돔은 생물학적으로 암반 해저 지형을 선호하는 어종입니다. 이들은 성장함에 따라 이동 범위를 넓히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암초, 갯바위, 테트라포드 주변, 수심 5~50m 이내의 연안 바다에서 자주 관찰됩니다. 특히 이들은 해조류와 무척추동물이 풍부한 수온 15~25℃의 온난한 해역을 선호합니다. 우리나라 해역 중 돌돔이 주로 서식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주도 연안: 제주도는 해저 지형이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암반과 해조류가 풍부하여 돌돔의 서식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합니다. 특히 제주 남부와 동부 해안, 성산 일대에서 자주 출현하며, 이 지역은 돌돔 낚시의 명소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2. 남해안: 경남 남해, 거제도, 통영, 욕지도 등 남해안 일대는 암반 해저 지형이 풍부하고, 수온이 비교적 안정되어 돌돔의 주요 서식지입니다. 이 지역은 양식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자연산 돌돔도 자주 어획됩니다. 3. 동해 남부 해역: 울산, 포항 인근 등 동해 남부 해역에서도 돌돔이 서식하지만, 북상할수록 수온이 낮아 자연 개체수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암반이 발달한 동해 일부 갯바위 지대에서는 개체가 발견되며, 일부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서해안: 서해안은 조간대가 넓고, 모래질 해저가 많아 돌돔의 주요 서식지로는 적합하지 않지만, 서해 남부의 암반 지형이 있는 일부 해역에서는 관찰되기도 합니다. 돌돔의 개체수에 대해서는 정확한 통계가 해마다 달라지지만, 다음과 같은 내용을 통해 어느 정도 유추가 가능합니다. 자연산 돌돔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유는 과거 남획과 환경 변화, 산란장 파괴, 그리고 개체의 회복 속도가 느리기 때문입니다. 돌돔은 성장 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산란 시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회복력이 높지 않은 어종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돌돔 양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산과학원에서는 수정란 방류와 방류사업을 통해 자원 회복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연 500~1000톤 내외의 돌돔이 어획되며, 이 중 상당수는 양식산입니다. 자연산은 전체 어획량 중 적은 비율을 차지하며, 그만큼 희소성과 가격이 높아 고급 횟감으로 취급됩니다. 요약하자면, 돌돔은 우리나라 바다 중에서도 제주도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한 암반성 연안 해역에 주로 서식하며, 일부 동해 남부와 서해 남부에서도 제한적으로 발견됩니다. 자연산 돌돔의 개체수는 과거에 비해 감소 추세이지만, 양식과 방류 사업을 통해 일정 부분 공급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돌돔은 생물학적 희소성과 미식적 가치를 동시에 갖춘 어종으로, 향후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를 위한 노력이 계속 필요한 수산 자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Q.  바다 생선중에 우리나라 바다에서 잡히는 돔의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돔은 생물학적으로 어떤 생선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돔은 일반적으로 도미과(Sparidae)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이며,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서 널리 분포합니다. 생물학적으로 보면, 돔은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농어목(Perciformes) 도미과(Sparidae)에 속하는 어류로서, 체형은 전형적으로 타원형이며 몸이 납작하고 등지느러미가 길며, 강한 턱과 이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도미과 어류는 전반적으로 육식성이면서도 기회주의적 식성을 보여, 갑각류, 연체동물, 작은 어류 등을 먹으며 성장합니다. 우리나라 주변 해역, 특히 동해, 남해, 서해 및 제주도 인근 해역에서는 다양한 돔류가 잡히며, 이들 중 일부는 어획량과 식용 가치 면에서 특히 중요하게 취급됩니다. 주요한 돔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돔 (Pagrus major)은 가장 널리 알려진 돔류로, 고급 횟감으로 매우 인기 있으며 ‘도미’라는 이름이 보통 참돔을 지칭할 정도입니다.남해안과 동해안에서 흔히 잡히며, 수심 20~200m의 암반 지대에서 서식합니다. 최대 1m 이상까지 성장하며, 체중은 10kg 이상 나올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은 참돔과 달리 몸빛이 어두운 회색이며, 주로 연안의 방파제, 갯바위 주변에 서식합니다. 낚시 대상어로서도 인기가 많고, 겨울철에 특히 맛이 좋다고 평가받습니다. 최대 50~60cm까지 자라며, 드물게 70cm 이상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은 검은 줄무늬가 있는 독특한 외형을 가진 돔으로, 어린 시기에는 무늬가 뚜렷하며, 나이가 들면 점점 흐려집니다.주로 제주도 연안 및 남해의 암반지대에서 발견되며, 회뿐 아니라 구이용으로도 인기가 높습니다. 최대 80cm 이상 자라며, 몸무게도 6~8kg에 이를 수 있습니다. 벤자리 (Evynnis japonica)는 ‘벤돔’이라고도 불리며, 참돔과 유사하지만 비교적 몸이 짧고 둥그스름한 형태입니다. 맛이 담백하여 회, 찜 등으로 쓰이며, 참돔보다 가격은 다소 낮은 편입니다. 흑돔 (Acanthopagrus latus)은 감성돔과 가까운 종이며, 몸빛은 노르스름하거나 진한 회갈색을 띱니다. 서해와 남해 연안에 서식하며, 해조류와 작은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습니다. 이 외에도 치돔, 참치돔, 긴꼬리돔, 긴줄돔 등 다양한 돔류가 우리 해역에서 발견되며, 이들 중 일부는 지역적으로만 제한되어 소비되거나, 학술적으로만 구분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돔류는 일반적으로 성장 속도가 느리지만, 장수하는 어종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참돔의 경우 30년 이상 생존한 개체도 보고된 바 있으며, 그 과정에서 성장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수온, 먹이 조건, 서식 환경에 따라 성장 속도는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성체가 되면 크기뿐 아니라 성전환(예: 참돔은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하는 프로토안드로우스형 성전환어)도 일어나는 등 생리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특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요약하면, 돔은 생물학적으로 도미과(Sparidae)에 속하는 육식성 해양 어류이며,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서는 참돔, 감성돔, 돌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들 돔류는 크기와 맛, 서식처의 차이로 어획 및 소비에서 각각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최대 성장 크기는 종에 따라 다르지만 1m 내외까지 성장하는 개체도 존재합니다.
Q.  고목에서 주로 버섯이 잘 자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버섯들이 고목, 즉 오래되었거나 죽어가는 나무에서 주로 잘 자라는 이유는 과학적으로 몇 가지 중요한 생리적·생태적 요인에 기반합니다. 버섯은 균류(Fungi)로서 일반적으로 부생성(saprophytic) 또는 기생성(parasitic) 생존 전략을 따르며, 이 중 약용버섯의 다수는 부생성 혹은 기생-부생성 혼합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버섯들이 고목에서 잘 자라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고목은 조직이 약화되어 있어 균사 침투가 용이합니다. 건강한 나무는 리그닌(lignin)과 셀룰로오스(cellulose)가 단단히 결합된 형태로 세포벽이 구성되어 있고, 그 안에는 병원균이나 균류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어물질(예: 피톤치드, 탄닌 등)을 생성합니다. 하지만 고목은 수세가 약화되거나 이미 고사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방어체계가 무너지며, 그 틈을 타서 균사가 쉽게 침투하고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됩니다. 둘째, 고목은 풍부한 유기물 공급원이 됩니다. 버섯은 영양분을 스스로 합성하지 못하므로 외부 유기물을 분해하여 흡수하는데, 고목은 부패가 진행되며 리그닌,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와 같은 고분자 유기물이 풍부하게 존재합니다. 일부 버섯은 이 중 특정 성분(예: 리그닌만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백색부후균)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면서 자신이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얻습니다. 셋째, 고목은 수분을 오래 머금기 쉬운 구조적 특성을 가집니다. 살아있는 나무는 수분이 지속적으로 이동하지만 고목은 수분이 정체되거나, 나무 조직이 물을 머금기 쉬운 해면질로 변화하면서 균류가 자라기에 적절한 습윤 환경을 제공합니다. 버섯은 균사의 생장을 위해 높은 습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환경은 매우 유리합니다. 넷째, 경쟁 식물의 뿌리 활동이 줄어들어 균사 성장에 적합한 공간이 확보됩니다. 살아 있는 나무는 주변에 강한 생물학적 경쟁력을 발휘하여 버섯의 균사체가 확산되기 어려운 반면, 고목은 그 생태적 영향력이 약화되어 주변 환경이 버섯 균사에게 유리한 공간으로 바뀝니다. 따라서 균사의 확산과 자실체(버섯)의 형성이 촉진됩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하면, 고목은 기질(자라는 기반)로서 구조적, 화학적, 생태적으로 버섯에게 매우 이상적인 서식지를 제공하는 셈입니다. 실제로 상황버섯, 영지버섯, 차가버섯 등 많은 약용버섯은 대부분 살아 있는 건강한 나무보다는 생리적으로 쇠약한 나무나 고목, 심지어는 완전히 죽은 나무에서 자주 발견되며, 그 속에서 균사의 군락을 형성하고 자실체를 생성하여 생애주기를 완성합니다. 따라서 고목이 버섯의 생장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단지 ‘죽은 나무이기 때문’이 아니라, 균류의 생리적 요구와 고목의 환경 조건이 정교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Q.  참나무나 자작나무가 많이 자라는 장소에는 약용버섯이 어떤 것이 많이자라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참나무나 자작나무와 같은 활엽수는 다양한 약용버섯의 생육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나무들은 고유의 수종 특성과 목질 성분 때문에 특정한 종류의 버섯들과 공생하거나 부후균(腐朽菌)의 기질로 이용되며, 각각의 나무에서 선호하는 버섯 종이 존재합니다. 우선 참나무(Quercus spp.)는 강한 목질과 풍부한 탄닌 성분을 지닌 나무로, 그 위나 주변에서 자주 발견되는 대표적인 약용버섯으로는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그리고 까치버섯(Inonotus obliquus, 차가버섯의 근연종) 등이 있습니다. 특히 영지버섯은 죽은 참나무에 주로 발생하며, 면역 강화, 항암, 항산화 효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상황버섯 역시 참나무류의 고사목에서 잘 자라며, 전통적으로 간 보호 및 항염 작용 등으로 쓰여 왔습니다. 반면에 자작나무(Betula spp.)는 비교적 부드러운 목질을 가지고 있으며, 자작나무에서 특이적으로 잘 자라는 약용버섯으로는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이 가장 유명합니다. 차가버섯은 북방기후대에서 자작나무에 기생하여 자라며, 강력한 항산화 작용, 면역 조절 효과, 항암 작용으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벚나무버섯(Lenzites betulina)과 같은 일부 부후균도 자작나무에서 발견됩니다. 버섯의 형태가 조금씩 다른 이유는 동일한 종이라도 기생한 나무의 종류, 기후 조건, 수분과 온도, 나무의 생리적 상태(죽은 나무인지, 살아 있는 나무인지 등) 등에 따라 발생 형태와 색상, 크기 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는 곰팡이류인 버섯이 환경에 매우 민감한 생물군이기 때문이며, 특히 약용버섯일수록 이차대사산물의 생산량과 구성도 기질 나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Q.  박쥐는 어떻게 하여 하늘을 나는 유일한 포유류가 된것인가요?
안녕하세요.박쥐가 하늘을 나는 유일한 포유류가 된 이유는 수천만 년에 걸친 진화의 결과로, 특정 생태적 틈새(niche)를 활용하고 살아남기 위해 날 수 있도록 적응해 왔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돌연변이의 누적이 아니라,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이 자연선택을 통해 축적된 진화적인 전략입니다. 고생물학적 증거에 따르면 박쥐의 조상은 약 5천만 년 전 에오세(Eocene) 시기에 출현하였으며, 초기 형태의 박쥐는 이미 날개 구조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이는 날 수 없는 조상에서 갑작스럽게 날개가 생긴 것이 아니라, 점진적인 앞다리의 길이 증가, 손가락 뼈의 연장,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얇은 비막(patagium) 구조의 형성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오늘날에도 박쥐의 앞다리를 보면 뚜렷하게 나타나며, 인간의 손처럼 다섯 개의 손가락을 가지되 그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져 있고, 그 사이에 얇은 피부막이 펼쳐져 있어 활공이 아닌 진정한 비행이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하필 박쥐만 하늘을 나는 포유류로 진화했는가에 대한 질문은 생태적 압력과 자원 경쟁의 회피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지상에는 이미 다양한 포유류들이 서식하고 있었고, 수목이나 초지에서 활동하는 생물들과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공중이라는 새로운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된 생물은 경쟁이 적고 먹이 자원이 풍부한 환경을 활용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박쥐는 주로 야행성으로 진화하여 곤충이나 과일, 꽃꿀, 또는 소형 동물 등을 먹으며 야간 공중 생태계에서 독특한 자리를 차지하였습니다. 낮에 활동하는 조류들과는 시간대를 달리함으로써 경쟁을 피할 수 있었고, 이는 생태적 분화를 더욱 강화시켰습니다. 게다가 박쥐는 단순히 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향정위(echolocation)라는 초음파를 이용한 독특한 감각체계를 갖추어, 어두운 밤에도 사물을 인식하고 곤충을 정확히 사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비행 능력과 함께 매우 효과적인 생존 도구로 작용하였고, 박쥐의 생태적 성공을 더욱 공고히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박쥐는 포유류 중 유일하게 비행 능력을 갖게 된 이유는, 신체 구조의 진화적 변화, 공중 생태계라는 새로운 틈새의 활용, 그리고 초음파 감각을 통한 고도의 야간 환경 적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이는 수천만 년 동안의 자연선택과 생존 경쟁 속에서 이루어진 진화적 독립 경로라 할 수 있습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