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병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전문가입니다.
박병윤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학문
자격증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바다는 왜 에메랄드색 바다가 형성이 되지 않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의색은 주변 환경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에메랄드 빛 색을 가지고 있는 바다에서 녹색을 띠는 이유는 클로로필이 큰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식물성 플랑크톤 내에있는 클로로필은 작은 단세포 유기체의 녹색 색소로, 광합성을 통해 햇빛을 해양 생물의 먹이로 바꿔줍니다.이로인해 각종 부유물과 프랑크톤들이 고위도지역으로 옮겨지면서 부유물의 밀도가 훨씬 낮아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연스레 투명한 색을 띄게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쌍둥이 무지개는 어떻게 뜨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쌍무지개는 백만분의 1의 확률로 생길정도로 평생에 한번을 보기 힘들다고합니다.보통의 무지개와 달리 밝은 무지개와 비교적 어두운 무지개로 형성된 쌍무지개는 대기 중 떠 있는 물방울을 관통하는 빛이 두 차례 굴절되면서 형성된다고합니다.→ 쉽게 표현하면 ,쌍무지개의 현상은 대기 에 물방울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은 ‘국지성 소나기’로 인해 서로 다른 거리에서 물방울을 관통하는 빛줄기가 여러 차례 굴절돼 발생한 것이 쌍무지개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민물이 계속 바닷물과 섞이는데 바닷물의 염도는 왜 그대로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바다는 지구의 2/3이상을 차지할정도로 워낙 방대한 영역을 가지고 있어서 아무리 소금을 채취해간다고 해서 그 농도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습니다.또한 바다에 흘러들어오는 강수량 그이상 바닷물이 증발하여 육지에 물을 순환시켜주는 원리기 때문에 강물로인해 바닷물의 염도가 바뀌지 않는것입니다.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
화학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털은 왜 사람마다 다르게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털의 많고,적음 &길이&두께 등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크게보면 남성호르몬때문 입니다.남성호르몬은 기본적으로 털을 두껍고 길게& 까맣게& 진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여성은 남성호르몬이 남성의 10분의 1밖에 안되기 때문에 털의 양이 적고 굵기도 더 얇은 것입니다.호르몬 외에도 유전이나 영양등의 원인도 있겠지만 호르몬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화학
2023년 4월 25일 작성 됨
Q.
'산성비'를 맞으면 실제로 머리가 빠지나요?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산성비를 맞으면 머리가 빠진다는 속설은 사실이 아닙니다. 산성비를 맞는 것이 탈모로 이어지지는 않는데요.-> 샴푸의 산성농도가 산성비의 10배나 높다고 합니다.다만, 빗속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두피의 각질과 엉키면 두피의 통풍을 방해하고 습도를 상승시켜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면 염증일 생길수 있으니 가능한 피하는게 좋습니다.감사합니다.
231
232
233
234
2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