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점 뺀 당일날 세안할때 클랜징폼 써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점을 뺀 당일에는 피부가 매우 예민하고 상처가 회복 중인 상태라 특별한 주의가 필요해요. 세안을 할 때 클렌징폼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대신 미지근한 물로 부드럽게 피부를 씻어주는 것이 상처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클렌징폼의 성분이 피부를 자극할 수 있어 회복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토너, 앰플, 크림 등의 스킨케어 제품도 당일에는 피하는 것이 좋아요. 이러한 제품들이 상처에 자극을 줄 수 있고 감염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답니다. 상처가 어느 정도 아물 때까지는 최소 48시간 정도는 자극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에는 피부 상태를 살펴보면서 사용하던 제품을 조금씩 다시 사용해보세요. 점 뺀 부위의 회복 상태를 잘 관찰하고, 이상이 있으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심한 관리로 빠르게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Q. 빈혈증상이 있을경우에는 어떻게 해주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어지러움을 느낀다면 이는 기립성 저혈압일 수도 있어요. 빈혈일 가능성도 있지만, 다른 원인일 수도 있거든요. 혈액이 충분한 산소를 몸에 공급하지 못하면 어지러움이 생길 수 있어요. 일단 어지러움을 줄이기 위해 천천히 일어나는 것을 추천해요. 또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하고요. 가급적이면 앉아있거나 누워있다가 일어날 때 발목을 움직이면서 혈액순환을 도와줘요. 만약 지속되거나 심하다면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통해 빈혈 여부를 확인해보는 게 좋아요. 적절한 철분 섭취도 중요해서 철분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좋아요. 식사에서 철분 섭취를 늘리기 어렵다면, 보충제를 고려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보충제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하니 한번 병원에 방문해보는 것을 고려해봐요.
Q. 어깨와 목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 팔목과 손가락 관절까지 영향이 가나요??
안녕하세요. 어깨와 목의 통증이 팔목과 손가락까지 영향을 줄 수 있어요. 특히 목의 근육이 뻣뻣하고 어깨가 뭉쳐있는 경우, 경추(목뼈) 주변의 신경이 압박되면 팔이나 손까지 통증이 확장될 수 있답니다. 이는 흔히 '경추성 신경근병증'이라고 부르며, 목의 디스크나 근육 긴장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이런 증상이 지속되면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병원을 방문하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할 것 같아요. 일상생활에서는 컴퓨터 사용 시 자세를 자주 교정하고, 휴식 시간을 가져 목과 어깨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해요. 따뜻한 찜질이나 가벼운 스트레칭도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Q. 바르는 미녹시딜을 사용해봤는데 두피에 염증이 생길때는 바르지 않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미녹시딜을 바르셨을 때 두피에 염증이 생긴다면, 사용을 중단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미녹시딜은 탈모 관리에 도움이 되는 약물이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자극이 될 수 있어요. 이미 몇 달 전부터 탈모약을 복용 중이시라니 복용 중인 약물과 사용할 때 서로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고려해봐야 해요. 염증이나 자극이 느껴지신다면 미녹시딜 사용을 멈추고 기존에 복용 중인 탈모약만 유지해보시는 것도 방법이에요. 만약 두피의 염증이 심해진다면, 그때는 병원을 방문하셔서 전문의를 만나 상담을 받아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두피는 민감한 부분이라 자극을 피하거나 가볍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머리를 감을 때도 부드러운 샴푸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Q. 관절부분을 뚜두둑 소리가 나게 하는 습관들이 관절에 좋지않은가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질문자분이 손가락이나 목에서 뚜두둑 소리를 내는 습관을 가지고 계신 것 같은데요, 여기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일반적으로 관절에서 나는 뚜두둑 소리는 관절 내 압력 변화로 인한 것으로, 이 자체만으로는 관절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어요. 이 소리를 낸다고 해서 무조건 관절에 해로운 것은 아니지만, 너무 자주 반복하게 되면 관절 주변의 인대나 조직에 불편함을 줄 수 있어요. 골다공증은 주로 뼈의 밀도와 관련된 문제이고, 이런 습관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답니다. 다만, 몸에 불편함이나 통증이 느껴지면 휴식을 취하고 무리하게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 좋겠어요. 혹시라도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