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가 캄보디아와 FTA 협정이 맺어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한국과 캄보디아 간에 적용되는 무역협정은 한-아세안 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RCEP) 및 최근에 발효된 한국-캄보디아 FTA까지 총 3가지입니다. 먼저, 한-아세안 FTA는 한국과 캄보디아 간 적용된 첫 무역협정입니다. 캄보디아는 후발 아세안 가입국(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으로 다른 아세안 국가에 비해 느린 관세철폐 스케쥴이 적용됐습니다. 일반품목은 2020년에 관세철폐가 완료됐고 민감품목과 초민감품목(일부 과일, 휘발유 등)은 2024년까지 관세율을 인하할 예정에 있습니다.또한, 2022년 1월에는 캄보디아에서, 2월에는 한국에서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이 발효됐습니다. RCEP 발효 후 2022년 1월부터 10월까지 양국 간 교역액은 8억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을 정도입니다.마지막으로 한-캄보디아 FTA를 통해 기존 한-아세안, RCEP 대비 관세를 추가 철폐하여 한국은 95.6%, 캄보디아는 93.8%의 자유화율을 달성했습니다.주요 수출입 품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 무역협회, AIF)수출입 통계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kiep.go.kr/aif/businessDetail.es?brdctsNo=336678&mid=a30400000000&systemcode=03감사합니다.
Q. 보세사, 무역영어 등 이직 관련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무역 회사 취업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외국어'입니다. 무역이란 국가와 국가 사이에 서로 필요한 물품, 자본, 기술 등을 거래하는 경제활동을 말합니다. 무역의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무역은 국가와 국가 사이의 거래이기 때문에 소통의 수단으로 외국어가 필수일 수 밖에 없습니다.외국어 중에서도 영어가 가장 기본이며, 추가적으로 중국어, 일본어와 같은 제2외국어를 구사하실 수 있다면 취업에 굉장히 유리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역 회사 취업이 목표라면 외국어를 1순위로 두고 준비하시는게 좋습니다.따라서 외국어를 1순위로 두고 공부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Q. 보호무역과 자유무역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1. 자유무역자유무역이란 개인이나 기업의 무역활동에 국가가 일체 간섭하지 않고 자유롭게 거래하는 무역 형태를 말합니다. 자유무역의 경우 나라마다 가지고 있는 생산요소의 효율성을 높여 생산량을 늘리고 가격이 내려가고, 가격이 낮아지면 수출이 늘어나게 되어 기업들이 더 많은 생산을 하게 되고, 생산 설비와 인력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일자리가 늘어나고 국내 경제 상황이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수입국의 입장에서도 싼 가격으로 좋은 상품을 사용할 수 있어서 생활이 더 편리해 집니다. 자유무역을 하게 되면 수출 수입이 늘어나서 세계 경제가 성장하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반면, 산업이 발달한 선진국에게만 유리하게 작용하여 세계의 빈부 격차를 점점 더 확대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2. 보호무역보호무역이란 국가에서 관세 등 직접적으로 무역을 통제·간섭하여 타국 상품과의 경쟁을 막는 무역 형태를 말합니다.보호무역을 하게 되면 취약한 국내의 산업을 보호하고 발전시켜 경제력을 높일 수 있고, 자원이 많은 나라는 싼 가격으로 판매하지 않아도 되고 관세를 통한 정부수입이 늘어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다만, 자국제품보다 값싼 외국제품이 들어오지 않으면 수요자들은 보다 비싼 제품을 쓸 수 밖에 없어 소비자가 피해를 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3. 우리나라에 적합한 무역 형태우리나라의 경우 부존자원이 극히 부족하고, 국내시장은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보호무역보다는 비교우위수출상품을 되도록 많이 확보하여 외국으로 안정적으로 수출하고, 그 대신 국내 생산이 불가능하거나 비교열위 수입 상품을 외국에서 안정적으로 수입할 수 있는 자유무역이 적합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