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의 부채 규모가 50% 정도 된다고 하던데 다른나라는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 채무비율이 50%쯤이라 불안하단 말이 돌지만 세계 판 깔아보면 중간 테이블 정도입니다. 일본은 250% 넘겨 숫자 감각이 무뎌졌고 미국은 120%·영국 100%대로 꾸준히 부풀고 있습니다, 이탈리아프랑스가 130% 안팎, 브라질 90%, 중국도 공공부문까지 치면 80% 근방입니다. 독일은 긴축 고집해 60% 선 지키고 호주멕시코 같은 자원국은 45% 언저리에 머물러 IMF가 들이댄 60% 기준이 여전히 가이드라인 노릇을 하는 형국입니다.
Q. 외화 환전시 현물이 찢어지거나 하면 왜 환전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 은행 창구에선 찢어지거나 낙서 묻은 달러를 가져오면 직원이 뭐야 하는 눈빛부터 보냅니다. 한국은행이 외화를 재매각할 땐 미 연준이나 ECB 기준에 맞춰야 하는데, 손상 지폐는 현지 중앙은행이 감정 후 폐기 처리해 버립니다. 그러면 국내은행은 액면 전액을 못 돌려받고 송금운송비까지 물어야 해서 손실이 쌓이니 애초에 매입을 거절하는 관행이 굳어졌습니다. 게다가 찢어진 부분이 있으면 위조 판별 장치가 오류를 내고, 국제 교환소로 보내려면 별도 서류 작업보증금까지 붙어 인력비용도 늘어나죠. 결국 여행객은 미국이면 FRB 지정은행, 유럽이면 ECB 환수 창구나 발행국 공항 은행에서 교환 후 들고 오는 방식이 수수료를 덜 물고 속 편한 길입니다.
Q. 윤석열 정부같은 경우에는 실패한 정부라고 생각을 하는데 왜 실패를 한건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윤석열 정부가 실패했다는 평이 나오는 건 물가집값 잡기 약했는데다, 인사 검증 헛발로 참모 교체가 잦아 정책 드라이브가 헐겁게 느껴졌기 때문이라는 얘기가 많습니다. 야당과 협치에 삐걱거리며 민생 법안 통과가 늦어졌고, 노조언론과 갈등이 커져 국민 피로도가 쌓였다는 지적도 큽니다. 대선 때 약속했던 노동연금교육 개혁은 속도가 더뎌 기대 대비 체감효과가 희미하다는 말이 돌고 있습니다. 거기에 후쿠시마 오염수 대응처럼 외교 현안도 엇박자를 내 비호감이 번졌고, 대통령실 메시지가 거칠어 지지층 외연확장에 실패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Q. 주식거래에서 미수거래 후 미수거래 기한이 끝나는 시기에, 반대매매를 방지하기위해 지켜야할 규칙은?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미수는 매수 체결만 하고 결제대금을 증권사가 먼저 내주는 외상이라 D+2 16시까지 돈이 안 들어오면 다음 날 동시호가에 강제청산이 나갑니다, 게다가 15시40분 이후 이체는 시스템 반영이 늦어 바로 막지 못하는 사례도 잦습니다. D+1 15시30분쯤 부족액 문자 오면 곧장 현금 넣거나 보유주식 일부 매도해 예수금부터 채우고, 장 막판 급락이 오면 추가 증거금 요구될 수 있어 변동성 대비 자금 쿠션을 따로 잡아둬야 합니다. 자금이 모자라면 미리 신용대출 전환 신청하거나 타 증권사에서 즉시이체로 커버를 치는 식으로 반대매매를 피할 수 있으며, 평소 매수 전 미수잔고 체크 끄고 예탁률 140% 이상 유지해 두면 위기 때 훨씬 수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