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식종목에 있어서 PBR은 무엇을 의미하고, 그게 낮을수록 견실한 기업이라 보나?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PBR은 밑바탕 자산덩어리를 주가로 나눈 값이라 1이면 장부가 그대로라는 뜻이고 0.5쯤이면 시장이 반값 세일로 칠 때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렇다 해도 싸다고 다 건실한 건 아니고 산업 구조가 삐걱대거나 숨은 부실충당금 때문에 눌려 있을 수도 있으니, 장부 안쪽 현금흐름부채 만기자산 품질을 같이 훑어봐야 함정을 피합니다. 반대로 무형자산 비중 큰 플랫폼 업종은 PBR이 몇십 배라도 현금 창출력 튼실하면 투자자들이 오히려 건강하다 여기는 사례도 많아, 낮은 숫자 하나만 믿고 뛰어들기보단 업황과 자본구조를 엮어 해석하는 게 실전 체감상 안전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Q. 코인거래소 회사를 차리려면 조건이 까다롭나요? 어떤 조건에 충족해야 빗썸이나 업비트 같은 거래소로 성공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국내서 거래소 만들려면 일단 금융정보분석원 신고 접수 전에 ISMS 인증, 20억 이상 납입 자본, 자금세탁방지 전담임원, 실명계좌 계약한 은행까지 네 박자 맞춰야 합니다. 서버 이중화콜드월렛 분리도 필수라 초기 인프라 비용이 꽤 묵직합니다. 또 해킹 사고 대비 예치금 100% 이상 예치보험 가입, 상장 투명성 보고서 주기 공시 의무도 따라붙어 행정 서류가 산더미입니다. 빗썸업비트 급으로 크려면 메이커 유동성 풀을 확보해 호가 스프레드 좁히고, 잡코인 상장 난립 막는 심사 체계, 수수료 캐시백 같은 프로모션으로 이용자 끌어오는 체력이 있어야 버틴다는 현장 얘기가 많은 것 같습니다.
Q. 지역화폐를 사용하면 10%의 비용절약이 되어 사용하고 싶은데도, 사용처가 한정되어 있어 있어 불편한데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지역화폐 쓰임새 좁다 느껴질 땐 가맹점 맵 앱부터 켜 보시고, 동네 프랜차이즈 본사 계약 따라 편의점카페같이 숨어 있는 곳이 의외로 많습니다. 온라인몰 결제는 카드사 QR 연동만 열려 있으면 지역페이 잔액이 그대로 빠져나가서 꽤 편리하며, 남은 금액은 중고마켓에 액면가 근처로 교환 글 올리면 거래가 빠르게 성사되는 편입니다. 또 대형마트 행사 때 모바일 상품권으로 전환되는 프로모션이 종종 떠서 체감 할인폭이 큰 편이고, 자치단체가 배달앱문화공연 결제와 교통카드 기능까지 붙이는 추세라 카드 한 장으로 버스 타고 치킨 사면서 적립도 함께 챙길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Q. 메인 은행이 저축 이율이 높은가요?제2금융권이 높은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 이율만 놓고 보면 상호저축은행, 신협, 새마을금고 같은 제2금융권이 정기예금 금리를 시중은행보다 1~2%p 높게 깔아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치만 영업기반이 작아 시장금리 변동 시 조기 해지 유도하거나 한도 소진 후 금리를 확 낮추는 식으로 리스크를 떠넘기기도 해서 5천만원 초과 자금이라면 분산이 필수입니다. 제1금융권은 금리 짠맛이지만 신용등급 조회 영향 없고 모바일 특판, 마이너스통장 연계 우대금리, 예금보험공사 지원이 겹쳐 안정감이 커서 급전 대비 통장으로는 여전히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