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3일 전 작성 됨
Q.
이더리움의 전망 앞으로 어떻게들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이더리움이 올초에는 부진하다가 중반부터 강세를 보이는 배경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우선 펙트라 하드포크를 하게 되면서 체질이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우선 이더리움은 B2B 스마트계약에서 주도를 하고 있으며 솔라나는 B2C쪽입니다 즉 B2B분야에선 강자를 보이고 있는 이더리움이 결국 디파이나 스테이킹에서 주도를 하고 있으며 각종 레이어2코인도 여전히 활발합니다 그과정에서 펙트라 하드포크는 기존의 32ETH에서 2152ETH로 대폭적으로 스테이킹을 할 수 있는 한도량을 늘려놓으면서 기업고객들에게 있어서 대량의 이더리움을 예치할 수 있는 디파이 환경을 만들어놧다는 점입니다. 거기다가 보안성과 수수료개선 속도개선까지 이뤄냈으며 거기다가 최근 이더리움을 통한 리스테이킹 예치이자율이 높아지면서 기관들의 수요가 더 높아진것도 가치상승의 원인입니다거기다가 이더리움은 현재 유일하게 비트코인이외에 현물 ETF가 상장된코인입니다 솔라나나 리플은 여전히 승인을 앞두고 있는것이지 승인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보니 6월말부터 본격적으로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이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저평가라고 판단하면서 현물 ETF쪽이 대거 이더리움으로 유입이 되면서 현재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것입니다.
3일 전 작성 됨
Q.
한국 경제 성장률 0.8%는 근거있는 수치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이번 경제성장률이 0.6%로 나왔으며 이미 한국은 저성장국가입니다. 과거의 고성장시기를 보시고 부정적으로 생각하시는것 같습니다. 2024년도에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2.2%로 집계되었으며 1분기에는 -0.2% 이번에는 0.6%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즉 IMF가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낮게보는것은 이미 국내 내수소비와 투자부문의 성장이 제로에 가까우며 재정지출로 인한 성장기여도도 기대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오직 순수출 하나뿐인데 문제는 보호무역주의와 대미 관세로 인해서 감소할게 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낮춘것입니다. 그렇다고 코스피지수와 국내 경제로 보시면 안됩니다. 경제성장률은 실질성장률이며 지수는 기업의 이익이고 이익은 명목이익입니다. 그리고 경제성장률은 국내 경제만 포함이 되며 내수소비나 국내 투자부문만 포함될뿐이며 국내 전체 모든 주체의 생산의 합이기 때문입니다. 코스피지수는 상장기업이고 실질적으로 주도하는것은 국내 대기업 그룹사들이며 이들은 국내 GDP에 포함이 되지 않는 해외의 직접공장에서 매출이 발생되는게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여전히 국내의 수출은 유일하게 성장하고 있고 이 수출을 주도하는것도 국내기업이기 때문입니다 즉 경제논리와 주가지수 논리는 다르며 한예로 독일의 경제성장률은 최근 몇년간 마이너스성장에 처참하지만 오히려 주가지수는 매년 최고가입니다
3일 전 작성 됨
Q.
코스피의 전망은 앞으로도 밝을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삼성전자의 코스피지수의 영향력을 보시면됩니다. 현재 16.7%의 지수의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이말은 여전히 삼성전자가 코스피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이번 테슬라의 계약으로 전망은 좋은게 사실이며 여기서 더 핵심은 실제 수율과 결과가 중요합니다 AI6칩에 대해서 수율이 어느정도 인지 대략으로적으로 시장에서 나오게 되고 이후 테슬라의 도조칩2까지 수주를 하게 될경우에 삼성전자의 모멘텀을 더 발생하게 되며 이때 AMD나 퀄컴등의 추가수주가 나오게 되면 다시금 10만전자이상도 갈 수 있는 여력이 생긴다고 보입니다
3일 전 작성 됨
Q.
솔라나 지갑끼리 송금할 때 수수료는 얼마나 드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솔라나의 현재 체인이 유저들이 얼마나 스왑을 하고 송금을 하고 민팅을 하느냐에 즉 트랜잭션의 혼잡도에 따라서 수수료는 달라지는 점을 참고하셔야합니다. 그렇다면 네트워크수수료가 얼마나 드느냐는 과거의 솔라나스캐너를 보게디ㅗ면 보통 트랜잭션 발생시 네트워크수수료 0.00006sol~0.00008sol 사이로 드는게 일반적이며 이도 혼잡도에 따라서 더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평상시 기준으로 말씀드립니다
3일 전 작성 됨
Q.
주식, 코인이 저점일땐 별로처럼 보이는데 고점 돌파하면 매력적으로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원래 기본적으로 사람 즉 인류는 하락하는것에 대한 본능적으로 회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보이는 시각에 대해서 판단을 하기 때문에 가격이 폭락하게 되면 더 빠질것 같고 본능적으로 더 위험하다는 감성적인 면이 즉각적으로 반응하게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주식이나 코인뿐만이 아니라 부동산도 과거에 부동산 뉴스를 2000년부터 쭉 보시면 하락장에선 거래량이 감소한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사람은 기본적으로 하락장에선 더 빠질것 같다는 본능적인 리스크 회피성향이 발동하다보니 발생하는것이며 똑같이 폭등할때는 일종의 나만 지금의 장세에서 소외된다는 심리가 강해지고 이러한 보상심리와 더 오를것 같다는 착시효과로 덥석 사게되는 경향을 보이는것입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