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의 부채는 얼마정도인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2025년 현재 미국 연방정부의 총 부채는 약 36조 달러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GDP의 약 130-135%에 해당하는 천문학적인 규모로,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부채는 일반 대중의 보유부채가 약 28-29조 달러 규모 개인투자자, 기관투자자, 외국 정부, 연방준비제도가 보유하고 있으며 외국인 비중이 30%로 매우 높고 주요국은 일본과 중국입니다. 그리고 정부의 내부부채보유는 약 7-8조 달러 규모로, 사회보장신탁기금, 연방직원 퇴직기금 등 정부 내부 기금들이 보유한 특별 국채입니다.
Q. 중국증시에 상장하는것과 홍콩증시에 상장하는것 어느곳이 더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홍콩 증시는 글로벌 투자자 접근이 용이하고, 외화 조달, 구조·지배구조 유연성, 해외 M&A/스톡옵션 운용에 유리합니다. 글로벌 기관·헤지펀드 접근이 쉬워 IR/신뢰도·해외 커버리지가 좋다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중국증시는 중국 내국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대체로 더 높은 밸류에이션(A주 프리미엄)과 두터운 내수 투자자층, 정책 지원의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외국인들이 접근하기에는 매우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서 본토 시장에서는 소비·제조·신에너지·장비 등 '국산화/실물' 섹터에서 A주 프리미엄이 흔하게 나타나는 반면 홍콩에서는 뉴이코노미 대형 플랫폼 일부를 제외하면 멀티플이 낮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고, 시장 사이클에 민감합니다.
Q. 식자재 물가 상승 원인 대체 뭣 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자재 물가 상승은 여러 복합적 원인이며 최근 코로나 이후 기후변화와 자연재해의 직접적 타격으로 인한 공급물량의 감소가 첫번째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2022년과 2023년 연속된 폭염과 가뭄, 집중호우가 채소류 생산량을 크게 감소시켰습니다. 특히 배추, 무, 양파, 감자 등 주요 채소의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급등했으며, 이는 김치나 국물 요리 등 한국인의 기본 식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캘리포니아의 가뭄, 인도의 폭염, 유럽의 극한 기후 등이 글로벌 농산물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어,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식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것입니다.두번째는 한국은 밀, 옥수수, 대두 등 주요 곡물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곡물 가격 변동에 매우 취약한 구조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세계 곡물 수출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던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국제 곡물 가격이 급등한게 원인이며 거기다가 높아진 환율로 인하여 수입비용이 증가하면서 식자재 원가가 증가한것입니다. 한국의 농산물 유통 구조는 여전히 다단계로 이루어져 있어 중간 유통업체들의 마진이 최종 소비자 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거기다가 에니저비용의 상승과 인건비상승 물류비상승도 간접적인 원인입니다.
Q. 우리나라 경주에서 APEC 정상회담이 열리는데요 주요 의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현재 상황을 본다면 한국이 IT 강국으로서 보유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핵심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5G/6G 통신기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통상 규범 정립, 데이터 이동과 신뢰체계 강화, 전자상거래 규범 현대화, 사이버보안 협력, AI의 안전하고 책임있는 활용 등이 주요 논의 주제가 될 것입니다. 또한 녹색성장과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이 중요한 의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확대, 수소경제 활성화, 원전을 포함한 무탄소 전원 믹스, 에너지 효율 개선, 메탄 감축, 녹색해운 및 지속가능항공연료 도입, 기후 리스크 대응 등이 구체적인 논의 주제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