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3일 전 작성 됨
Q.
SKT개인정보 유출로 신뢰를 회복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항상 과거 건선사들 GS건설이나 현대산업이나 등등을 보게 되면 항상 국내기업들은 사고가 나고 뒤늦게 대응을 하며 SPC삼립도 과거 공장에서 사고날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머 이런 것은 국내 과거 기업사례에서도 흔히볼 수 있는 사례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이제와서 보안투자를 한다고 신뢰를 회복을 하느냐는 당연히 어렵다고 생각되며 이미 이로 인해서 고객이탈이 올해내내 많이 일어난 상황입니다. 그렇다고 아예 무대응으로 하는것도 문제이기 때문에 일단은 뒤늦게라도 투자를 하는것으로 보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일 전 작성 됨
Q.
주식이나 코인을 하시는분들은 매일 거래를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주변의 대부분의 일반인 투자자들은 주식이나 코인을 매일 거래하지도 않고 저도 그리고 제 주변도 마찬가지입니다. 극히 오직 전업으로만 하는 투자자라기보다는 데이트레이딩을 업으로하는 트레이더들이나 매일 거래를 하는것입니다. 이렇게 매일 거래를 하는건 트레이딩이라고 하지 투자라고 하지도 않습니다. 즉 오직 차트와 호가를 보고 확률적 매매를 통한 손해와 이익을 통산하여 손익비에서 이익이나는 구조로 트레이딩을 전문적으로 하는 전업트레이더나 일부 며칠보유하여 매도하는 트레이딩 매매들만 자주보고 매일 거래하는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3일 전 작성 됨
Q.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메리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스테이블코인 이야기가 나온것은 미국 때문입니다. 즉 미국 트럼프정부가 달러스테이블 코인을 패권화 하려고하자 다른 국가에서도 이에 대한 패권경쟁으로 같이 경쟁하게 된것으로 보시면됩니다. 우선 미국은 현재 재정적자가 천문학적인 수준이며 세수수입으로는 1년에 국채발행으로 발생한 이자도 갚지 못하게 되면서 이제는 매년 국채를 새로 발행해야하고 거기다가 재정지출을 줄이고 세입을 늘려야 할 상황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트럼프 정부는 오히려 감세정책과 재정지출 확대를 발표했으며 이에 추가적인 국채발행을 해야하고 이를 사줄 주체가 필요한것입니다. 그러다보니 단기국채는 스테이블코인사들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때 이에 대한 준비금 목적으로 100%이상을 보유하도록하고 준비금은 90일 이하 만기의 달러 국채자산으로만 편입되도록 지니어스법안을 통과시킨것입니다 즉 스테이블코인사들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늘림으로써 미국의 단기국채에 대한 수요자로서 받아줄 주체를 키우고자 노린 정책으로 보셔야 합니다
4일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0.6%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2분기에도 수출이 견인하면서 수출회복을 통한 성장세가 컸습니다. 반면 투자부문은 여전히 부진하여 투자는 1.5%의 감소부문이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민간소비부문은 최근 소비자심리지수가 110포인트가 넘어설정도로 2분기 반등이 일어나면서 민간소비가 0.5%성장을 견인했고 정부지출도 1.2%나 성장하였습니다. 즉 수출이 핵심적으로 견인하고 나머지 민간소비와 정부지출이 투자부문을 상쇄하면서 이번에 0.6%의 성장세를 보인것입니다
4일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 바이오 기업 셀트리온이 미국 제약 공장 인수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어떤 전략일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미국이 자국내 들어오는 약품에 대해서도 관세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는 셀트리온도 미국과 유럽이 주요 매출처이기 때문에 리스크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수입관세리스크를 해소하고자 현지생산을 통한 전략으로 인수를 추진하는것입니다. 이는 미국에서 새롭게 공장을 짓게 되면 시간과 자본투자 거기다가 허가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차라리 즉시 인수를 통해서 하는게 발이 빠르기 때문입니다. 거기다 앞으로 미국내에서 여러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의약품을 팔아야하기 떄문에 전략적으로 인수한것으로 보입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