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본은 어떤산업이 가장 우세한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일본은 여전히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으로서 고도로 발달된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자동차산업이 가장 강국입니다. 자동차 산업은 일본 제조업 생산액의 약 20%를 차지하며, 직간접적으로 약 550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일본 경제의 핵심 축으로서 도요타, 혼다, 닛산을 필두로 한 일본 자동차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또한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장비와 소재 분야에서는 여전히 세계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 장비 분야에서 전 세계 시장의 약 35%를, 반도체 소재 분야에서는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도쿄일렉트론, 어드반테스트, 스크린 홀딩스, 디스코 등의 장비 기업과 신에츠화학, SUMCO, TOK 등의 소재 기업들이 이 분야의 핵심 플레이어들입니다. 또한 마지막으로 일본은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전 세계 시장의 약 45%를 점유하고 있으며, 화낙은 세계 1위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입니다. 화낙, 야스카와전기, 키엔스, SMC 등이 대표적인 기업들로, 이들은 전 세계 공장의 자동화와 스마트 제조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Q. 중국주식들의 상승세가 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가장 큰 이유는 중국 정부와 인민은행이 연이어 발표한 대규모 경제 부양책이 가장 직접적인 촉발 요인입니다. DP 성장률 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드러나면서, 중국 정부의 경제 관리 능력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회복되었으며 이러한 정책 드라이브는 단순한 경기 부양을 넘어서 공적자금의 투입까지 이루어졌다는 점입니다. 거기다가 중국 경제의 핵심 현안인 부동산 위기 해결을 위한 구체적 조치들이 시장 심리 개선에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주택 구매 제한 완화, 모기지 금리 대폭 인하, 다운페이먼트 비율 조정, 그리고 부실 부동산 기업에 대한 직접 지원 등이 포함되었으며 특히 작년부터 중국정부가 중국증시를 부양하기 위해서 현재 각종 주요 민간기업들을 IPO를 통해서 상장시키고 있고 각종 밸류업정책과 여러 부양책을 한국이나 일본처럼 강력하게 실시하고 있으며 이제는 투자가 아니라 중국의 인민들의 소득을 늘리고 이들의 소비부양책과 주식의 부를 통한 자산으로서 소비를 늘리고자 하는 이런 효과가 중국 증시의 강력한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