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증권회사에서 예수금에 들어가면 대용금에 대한궁금증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대용금은 내가 보유한 주식을 현금 대신 담보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내 주식을 "현금처럼 쓸 수 있는 능력"으로 환산한 금액입니다.예수금은 증권계좌에 실제로 입금된 현금으로, 바로 주식 매수에 사용하거나 출금할 수 있는 자금입니다. 반면 대용금은 보유 중인 주식의 담보 가치를 현금화한 개념으로, 직접 출금은 불가능하지만 주식 거래 시 증거금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ㄱ그렇다고 대용금이 차입금은 아니며 이로 인해서 이자가 발생하지도 않습니다.이에 대용금은 주식마다 적용비율이 다르고 삼성전자의 80%가 적용된다고 하면 1000만원 보유시 800만원만큼 대용비율로 추후 새로운 주식거래시 증거금으로 활용됩니다. 이로 인해서 삼성전자 주식 1000만원 보유하고, 예수금이 200만원이 남아있다면 800만원만큼 대용금으로 적용되어서 총 매수가능 증거금은 200만원이 아니라 1000만원으로 적용되는 원리입니다.
Q. 펀드 끝부분에표기된 내용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답변부터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펀드 명칭 끝부분에 표기되는 '-C-Pe', 'Ae', 'Ce' 등은 펀드의 클래스 또는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같은 펀드라도 투자자가 부담하는 수수료 체계, 판매 채널, 투자자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클래스로 구분됩니다.우선 간단하게 기본 클래스를 설명하자면 A클래스는 선취 판매수수료 방식을 의미합니다. 펀드 가입 시점에 투자 금액의 일정 비율(보통 0.5~1.0%)을 판매수수료로 미리 지불하는 대신, 연간 운용보수와 판매보수는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됩니다.반면 C클래스는 후취 수수료형 또는 무선취 수수료형을 의미합니다. 가입할 때는 판매수수료를 내지 않지만, 대신 연간 운용보수와 판매보수가 A클래스보다 높게 설정됩니다.그리고 'e' 표기는 'electronic' 또는 'online'의 약자로, 온라인 전용 클래스를 의미합니다. 온라인 채널을 통해서만 가입할 수 있으며, 일반 클래스보다 수수료나 보수가 할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Ae'는 선취수수료가 있지만 온라인 할인이 적용된 A클래스이고, 'Ce'는 온라인 할인이 적용된 C클래스입니다.'P' 표기는 'Pension'의 약자로, 연금저축펀드, 퇴직연금등 연금 계좌 전용 클래스를 의미합니다. 연금 계좌는 장기 투자를 전제로 하고 세제 혜택이 있는 만큼, 일반 클래스보다 수수료와 보수가 현저히 낮게 책정됩니다. 즉 위에서 말한 C-Pe는 연금계좌 전용이면서 온라인으로 가입하는 C클래스를 의미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