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직업교육이나 기술만 배우면 일자리 얻을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질무자님 말씀처럼 실제로는 그렇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많은 분이 그렇게 생각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접적인 실용성 : 기술은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수있는 실질적인 능력으로 인식됩니다. 특정 기술을 익히면 해당 분야의 직무를 곧바로 수행할수있다는 기대가 크기 때문입니다. 성공 사례의 영향 : 미디어 등을 통해 기술 습득후 성공적으로 취업하거나 고소득을 얻은 사례들이 부각되면서, 기술이 곧 안정적인 일자리와 연결된다는 인식이 형성되는 경향이있습니다. 특히 IT등 특정 기술 분야에서 이러한 인식이 강합니다. 교육 및 정책적 강조 : 특성화고, 직업훈련기관, 정부의 취업 지원 프로그램등에서 기술 습득을 통한 취업을 핵심 가치로 내세우며 홍보하는 영향도 큽니다. 과거의 경험 : 과거 산업화 시대에는 기술 숙련자가 부족하여 기술만 있으면 쉽게 취업이 가능했던 경험이 현재까지 이어지는 경향이있습니다. 단순화된 해결책 : 복잡한 취업 시장에서 기술 습득은 상대적으로 명확하고 달성 가능한 목표로 여겨지기 때문에 많은 분이 이를 통해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수있다고 믿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술=일자리 라는 인식이 널리 퍼지게 되는것 같습니다.
Q. 냄새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나오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 냄새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은 현재 활발히연구되고 있습니다. 전자코 기술의 발전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냄새 분석이 핵심입니다. 일본 히타치 등 여러 기업에서도 이분야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이기술이 상용화되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온라인 쇼핑 및 배달 앱 : 향수나 음식의 향을 미리 체험하고 구매할수있게 되어, 온라인 구매 경험이 혁신적으로 개선될 것입니다. 가상 현실(VR) 및 증강 현실(AR) : 게임, 여행,교육 등 VR/AR 콘텐츠에 후각이 더해져 몰입감이 극대화될 것입니다. 예를들어, 가상 숲을 거닐때 흙냄새나 풀냄새를 맡을수있게 됩니;다. 환경 모니터링 : 대기 오염 물질이나 유해 가스, 수질 오염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환경 안전에 크게 기여할수있습니다. 의료 및 건강 :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거나 환자의 상태 변화를 냄새로 감지하는 기술이 발전할수있습니다. 교육 및 연구 : 화학 실험시 위험한 물질의 냄새를 안전하게 경험하거나, 역사 교육에서 과거 시대의 냄새를 재현하는등 새로운 학습 경험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처럼 냄새의 디지털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고 안전하게 만들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