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판소리는 어떤 소리들로 구성되어 있나요?
판소리는 17세기부터 등장한 한국의 전통 음악으로'고수'라는 북 담당이 북을 쳐서 장단을 만들면노래를 하는 '소리꾼'이 오페라처럼 노래겸 연기하는 마당극입니다판소리의 구성에는창(소리), 아니리(말) 너름새(몸짓), 장단이 있으며판소리의 각본을 마당이라 하는데내용이 남아있는 것이 12마당(춘향가, 심청가, 수궁가,흥보가,적벽가,배비장타령,변강쇠타령,장끼타령옹고집타령,무숙이타령,강릉매화타령,가짜신선타령)연기까지 전부 남아 있는 것이 5마당 입니다(춘향,심청,흥보,수궁,적벽)
문학
문학 이미지
Q.  한국 고전 소설(몽자류 소설) 속 적강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소설 속 묘사를 보면 잘 나오지만, 선녀쪽도 주인공한테 반했기 때문에 놀아준 겁니다선녀라는 입장에서 일반 수도자한테 반하는거 자체가 금기였어요현실의 궁녀도, 엄중히 보호되는 궁에서 일하기 때문에 일부러 틈을 주는게 아닌이상은남녀관계를 가지기 힘들고, 그래서 둘다 처벌했죠현대인이 알기 쉽게 비유하자면엄중 경비중인 여자기숙사의거기 사는 본인만 복제 불가능한 키를 가질 수 있는 방에남자가 들어갔다면거기 사는 여자가 도와준거 아니냔 의혹이 당연히 나오는 것과 같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애기, 아기, 아가 로 파생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언어가 분화되는 것은 당연한 현상입니다언어는 무슨 자연법칙이 아니라 인간이 인간을 위해 만든 인공적인 규칙이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언어에는 사회성(여럿이 합의해서 인정된다),자의성(뜻에 상관없이 임의로 붙여진다), 창조성(누구나 만들 수 있다) 같은 특징이 있고그래서 인터넷으로 24시간 거의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현대에도각각 사이트 끼리 전혀 다른 은어를 쓰게 되는 것 입니다그러므로 한가지 단어가 지역마다, 세대마다심지어 개인마다 다른 발음으로 읽히는 것은 매우 당연한 현상입니다하지만 이런 언어분화를 그냥 놔두면 순식간에 대화가 불가능해 질 수 있기 때문에국민끼리의 결속을 위해서 표준어 라는 기준을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이며현대 한국 표준어기준으로는 "아기"와 그 변형으로 "아가" 가 표준어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이 우리나라가 세계 5위라고 하는데요
한국은 1997년 『훈민정음』 해례본과 『조선왕조실록』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것이 최초고세계 최초의 기록유산을 물어보신 거라면1997년에 기존의 세계유산중 기록물들을 따로 분리한 것이기 때문에전세계의 수십개 유물이 그때 세계기록 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can과 be able to 사용할때가 다른데 각각 언제 사용하는건가요?
사소한 뉘앙스의 차이입니다굳이 한글로 번역해 보자면can은 할수있다! 라는 능동적인 표현이고able 은 특정 조건 에서 가능하다 라는 제한적인 표현이죠그래서 이 기계는 24시간 연속가동을 할수 있다는 can이 기계는 "관리를 잘하면 " 24시간 연속가동을 할수 있다하면 able 을 씁니다물론 예외도 많이 있고, 둘을 바꿔써도 뜻 자체는 잘 통해요
문학
문학 이미지
Q.  으리으리하다라는 말에서 '으리'는 무슨 뜻인가요?
으리가 그뜻 입니다 크다, 굉장하다 뜻을 강조하기 위해 같은 단어를 두번 쓴것이고원래 단어는 사어가 되었지만 두번쓴 관용표현만 살아남은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박지원 소설은 근대저인것이 많은데 왜 한문으로 지어졌나요?
박지원(朴趾源)은 조선의 실학자이기 때문입니다조선에선 한글로 책을 쓴다는 것은"나는 한자를 모르는 바보다"라고 알리는 것으로 여겨 졌기 때문에 한글 소설작가들은 거의 항상 자신을 숨겼습니다예를 들어조선최초의 한글 소설이라 알려졌던 홍길동전이 쓰여진게 1600년대. 한글 창제로부터 200년 가까지 지난 후로 추정되며 오랫동안 작가 미상이었다가 허균의 제자 이상이 스승이 돌아가신 뒤에 스승님이 쓴 글이라 밝힌 것이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외국어를 3개 4개 외우시는 분들이너무신기해요
흔히 일어나는 일입니다한국에 귀화한 외국인이 자기네 고향 문화 단어가 생각 안나서한국단어 번역해서 찾아봤단 썰은 인터넷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죠물론 이민간 한국인들도 마찬가지구요언어는 결국 버릇이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잊혀집니다다개국어를 쓰시는 분들은 그만큼 재능이 있으면서 노력도 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거에요
문학
문학 이미지
Q.  백제에는 신라와 고구려와 다르게 건국신화가 없는데 왜 그런가요?
백제에도 건국 "설화"는 있습니다다만 그 설화에 초현실적 요소가 적어서 "신화"라고 하진 않을 뿐이죠왜 신화가 아닌지에 관해선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개인적으로 지지하는 설은백제는 소수부족의 연합으로 시작되어 여러가지 설화끼리 충돌이 있었고백제가 멸망후 그중에서 제일 얌전한 신화만이 전해진것이 아닌가 하는 설입니다이미 망한나라 이야기를 굳이 신격화 해서 띄워줄 필요 없으니까요현재까지 이야기 전체가 전해지는 백제 건국 이야기는 모두 3가지로서, 그 중 2가지는 [삼국사기]에 나오는주몽의 후손 비류와 온조가 독립해 세운 나라라는 것이고(주몽과 정확히 무슨 관계인지 2가지 설이 나옴)남은 하나는 중국쪽 기록물에 나오는 것으로부여왕(夫餘王) 동명(東明)의 후손 구태(仇台)가 세운 것이라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조선시대 가부장 질서를 비판하는 소설은 어떤 작품인가요?
홍길동전이나 전우치전은 왕을 비판했고허생전이나 아기장수 우투리는 양반을 비판했습니다뭔가가 그 시대의 주류라고 비판이 없을 순 없습니다오히려 주류인 만큼 단점도 눈에 띄기 쉬우니 비판하는 문학도 많아요그런 작품이 후대까지 살아남아서 전해질 수 있는지가 문제일 뿐이죠본론으로 돌아가, 그 설명에 해당하는 작품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아마 박씨부인전 이 아닐까 합니다이거랑 바리데기가 여성서사로는 제일 유명한데 바리데기는 가부장제 비판요소는 애매하니까요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