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조가 고려 중기에 발생했다고 하는데, 그 근거가 되는 작품은 무엇인가요?
시조의 기원에 대해서 학자에 따라 설이 다르며크게 한시(중국시)의 영향을 받았다는 외래연원설과국내에서 창조된 형식이라는 재래연원설이 있구요재래연원설도 신라향가, 무녀들의 신가, 고려별곡의 반동 등 다양한 추측이 있습니다다만 현존하는 시가집들, 청구영언이나 고금가곡 등에서조선시 뿐만 아니라 이전시대의 시들 또한 몇몇 수록되어 있으며이중에서 현재의 시조와 유사한 형식을 보이는 것들의 창작시기가고려말~조선초에 모여있기 때문에그때 시조형식이 정립되었을 것이라는게 정설인 것입니다고려기의 시조작가로는 우탁, 이조년, 이색, 최영,길재,원천석 등이 있으며그 유명한 태종 이방원과 그가 죽인 정몽주도 시조를 쓴 적이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성경에 비유적 표현이 많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성경이라고 다른 경전보다 비유가 많지는 않습니다대부분 경전은 다 비유투성이거나, 최소한 그런식으로 해석되요이를 불교에선 대기설법(對機說法)이라고 하는데설법(설교)할때 중요한것은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게 말하는 것이다 는 것입니다그리고 각종 경전은(최소한 처음에 쓰여졌을 때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일반인이 알기 쉽게 이야기나 비유를 많이 쓰는 거에요현대인이 경전을 읽기 힘든건 시대가 지나서 원래의 비유가 통하지 않게 되거나아예 언어자체가 바뀌었어도, 경전의 신성함 때문에 내용을 바꿀 수 없기 때문이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이것도 소설 표절이 되는 건가요???
실제 책이 아닌 로그라인 뿐이니 확실한건 아니지만저거만 봐선 공통점 이라고는 화자가 교사인거 빼면 없는데요아예 복붙한 문장이 있는게 아닌 이상 표절이 아닌거 같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 고전소설에서 권선징악이라는 메시지의 소설은 뭐가 있을까요?
권선 징악이 없는 소설쪽이 더 드뭅니다홍길동전, 장화홍련, 콩쥐팥쥐 등등대부분 이야기에서 악인은 망하고 선인은 성공하죠그런 느낌이 약한편인 허생전조차 사치부리던 작자들이 망한다 정도는 들어있습니다조선은 유교국가 였기 때문에 아무리 사소하고 민속적인 이야기에도교훈을 넣는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삼국시대때 각 나라별로 문학의 특징이 어떻게 되나요?
신라를 제외한 두 나라는 전체적인 문화와 몇몇 설화에 관한 기록만 남아있을 뿐자세한 문학이 어떠한 지는 거의 남아있지 않습니다그나마 백제쪽은 일본에 남은 흔적이 있어서불교의, 특히 미륵신앙의 영향력이 강했다 정도는 알 수 있지만고구려는 아예 몇몇 한시(원래 한자로 적은건지 한자로 번역된 것만 남은 건지 조차 확실하지 않음)만 남아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소설책 재밌는 거 추천 해주실수 있나요?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94971729
문학
문학 이미지
Q.  평안 감사도 제 싫으면 그만이다라는 속담은 왜 생겼을까요?
현재는 북한땅인 평안도는 중국과의 국경이기 때문에상인들이 엄청 모여있어서 세금(과 뇌물)이 펑펑 나오는 지역이었습니다그래서 아무리 거지여도 평안감사 한번이면 정승 한번 급으로 돈을 벌었다고 전해집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노벨문학상의 심사과정과 심사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스웨덴 한림원에서 선정한 심사위원들이 모여서 상의합니다심사기준은 얼마나 새로운 것인지, 문학이라는 학문에 얼마나 기여 했는지세계 평화에 얼마나 기여 했는지 등이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고전소설에서 여성이 영웅인 소설은 없나요?
조선은 가부장제라는 고정관념이 있어서 잘 알아차리기 힘들지만콩쥐팥쥐, 장화홍련,심청전 등등 여성이 주인공인 이야기 자체는 많이 있고그 중에서도박씨부인전, 금방울전, 홍계월전, 옥주호연, 바리데기전 등등여성이 주도하는 이야기들도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서브컬쳐 하이컬쳐가 무엇인가요??
서브컬쳐Subculture는 하위문화 정도로 번역되는 단어로간단히 말하자면 마이너한 장르 입니다대표적으론 오덕문화가 있죠반댓말로 'Co-culture'.(코컬쳐) 하이 컬처(High Culture) 등이 있긴 하지만서브컬쳐의 반대라는건 메이저한 장르, 그러니까 거의 누구나 아는 장르란 뜻이기 때문에일상적으론 구분할 필요가 없어서 무슨 논문이 아닌 이상 잘 쓰이진 않습니다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