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시조가 고려 중기에 발생했다고 하는데, 그 근거가 되는 작품은 무엇인가요?
시조의 기원에 대해서 학자에 따라 설이 다르며크게 한시(중국시)의 영향을 받았다는 외래연원설과국내에서 창조된 형식이라는 재래연원설이 있구요재래연원설도 신라향가, 무녀들의 신가, 고려별곡의 반동 등 다양한 추측이 있습니다다만 현존하는 시가집들, 청구영언이나 고금가곡 등에서조선시 뿐만 아니라 이전시대의 시들 또한 몇몇 수록되어 있으며이중에서 현재의 시조와 유사한 형식을 보이는 것들의 창작시기가고려말~조선초에 모여있기 때문에그때 시조형식이 정립되었을 것이라는게 정설인 것입니다고려기의 시조작가로는 우탁, 이조년, 이색, 최영,길재,원천석 등이 있으며그 유명한 태종 이방원과 그가 죽인 정몽주도 시조를 쓴 적이 있습니다
Q. 고전소설에서 여성이 영웅인 소설은 없나요?
조선은 가부장제라는 고정관념이 있어서 잘 알아차리기 힘들지만콩쥐팥쥐, 장화홍련,심청전 등등 여성이 주인공인 이야기 자체는 많이 있고그 중에서도박씨부인전, 금방울전, 홍계월전, 옥주호연, 바리데기전 등등여성이 주도하는 이야기들도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